$\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CANDU 사용후핵연료 처분시스템 효율향상 개념 도출
Alternative Concept to Enhance the Disposal Efficiency for CANDU Spent Fuel Disposal System 원문보기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Radioactive Waste Society, v.9 no.3, 2011년, pp.169 - 179  

이종열 (한국원자력연구원) ,  조동건 (한국원자력연구원) ,  국동학 (한국원자력연구원) ,  이민수 (한국원자력연구원) ,  최희주 (한국원자력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리나라에서 운영하는 원자력발전소는 PWR형과 CANDU형 2종류가 있으며, 원자력발전에 의한 지속적인 에너지 공급을 위하여 이들로부터 발생하는 사용후핵연료에 대한 안전관리는 매우 중요한 인자이다. 사용후핵연료 처분을 위한 연구는 1997년부터 시작하여 한국형 사용후핵연료 처분시스템을 개발하였으며, 현재는 개발된 기술에 대한 실증 및 처분시스템의 효율향상을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또한, PWR형 사용후핵 연료의 경우 사용후핵연료 재활용 공정을 거쳐 원료물질로 다시 사용하는 연구가 진행 중이므로, 이들 공정으로부터 발생하는 고준위폐기물을 처분하는 방안을 강구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PWR형과 CANDU형 사용후핵연료 모두를 직접 처분하는 개념으로 개발한 한국형 사용후핵연료 처분시스템을 바탕으로 CANDU형 사용후핵연료 처분 시스템의 처분효율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형 사용후핵연료 처분시스템의 CANDU 사용후핵연료 처분용기를 개선하여 현재 원자력발전소에서 사용하고 있는 사용후핵연료 60 다발(Bundle) 용량의 저장바스켓을 포장 활용하는 개념을 도출하고, 열해석을 통하여 처분시스템 완충재의 온도가 $100^{\circ}C$를 넘지 않도록 하는 요건을 만족하는 처분터널 및 처분공 간격을 정하여 이들에 대한 처분시스템 개념을 도출하였다. 이렇게 설정된 개념들을 단위면적당 열효율, 우라늄밀도(U-density), 처분면적, 굴착량, 완충재 및 폐쇄 물질량 측면에서 분석하여 처분효율이 가장 높은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추후 실제 부지특성자료와 연계하여 PWR 사용후핵연료 재활용공정으로부터 발생한 고준위폐기물 처분시스템과 함께 복합 처분장 설계에 활용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re are two types of nuclear reactors in Korea and they are PWR type and CANDU type. The safe management of the spent fuels from these reactors is very important factor to maintain the sustainable energy supply with nuclear power plant. In Korea, a reference disposal system for the spent fuels ha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한국형 사용후핵연료 기준 처분시스템 개발 이후 현재는 PWR 사용후핵연료의 경우 유용한 자원 재활용 공정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므로, 이에 맞추어 이 공정으로부터 발생하는 고준위폐기물을 처분하는 방안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그리고 재활용 가능성이 희박하여 직접 처분을 고려하고 있는 CANDU 사용후핵연료에 대해서는 처분효율 향상을 위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이의 일환으로 원자력발전소에서 사용 중인 60 다발용 저장 바스켓을 그대로 처분용기에 포장하는 개선된 처분용기 개념을 도출하였다. 그림 5는 처분용기 개선개념을 나타내고 있으며, 그림 6과 표 3은 바스켓을 적재할 수 있는 용량에 따라 4종류의 개선된 처분용기 및 그에 따른 사용후핵연료 적재량 및 처분용기 제원을 보여주고 있다.
  • CANDU 사용후핵연료 처분을 위한 대안 개념은 처분공에 동일한 용량의 사용후핵연료를 처분하되 처분용기 용량에 따라 그 수를 달리하여 처분하는 개념으로 설정하였다. 따라서 본 분석에서는 각 개념별 처분효율과 그에 따른 처분용기 재료 및 완충재/뒷채움재의 증감을 고려하여 가장 효율적인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 그러나, CANDU 사용후핵연료는 농축하지 않은 천연우라늄을 사용한 핵연료로 여러 측면에서 재활용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CANDU 사용후핵연료의 가장 안전한 심지층 직접 처분방법을 고려하여, 기존의 한국형 처분시스템인 KRS를 바탕으로 처분효율을 분석하고 그 향상방안을 도출하였다. 기존에 개발한 한국형 사용후핵연료 처분시스템의 처분용기 개념에 대한 개선방안을 도출하고 이에 대하여 처분시스템의 열적요건을 만족시키는 처분개념을 설정하여, 처분면적, 열용량, 처분용기 재료량, 굴착량, 완충재량 등 기술적 효율성 측면에서 비교·분석하여 최적의 방안을 제시하였다.
  • 고준위폐기물을 유리화시켜 처분할 계획인 일본은 경암과 연암으로 구분하여 구조적 건전성 및 완충재 최고온도 요건에 따른 다양한 처분개념을 도출하여 굴착량 등 분석에 의한 최적 배치방안을 제안하고, 보다 처분효율을 높일 수 있는 CARE(CAvern REtrievable Storage)개념의 처분방안을 대안개념으로 설정하고 있다[1]. 또한, 사용후핵연료를 직접 처분하는 정책을 결정한 스웨덴, 핀란드에서도 일본과 유사한 연구를 수행하여 가장 처분효율이 높은 방안으로 배치개념을 설정하고 있으며[2, 3], 수평처분 개념을 설정한 캐나다의 경우 CANDU 사용후핵연료의 냉각기간에 따라 처분장 온도요건을 만족시키는 처분터널과 처분용기 간격을 설정하고 처분장에서의 열하중, 우라늄 밀도 등 단위 면적당 처분효율을 분석하여 최적의 조건을 도출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4].
  • 본 연구에서는 유용한 자원의 재활용 가능성이 희박하여 재처리 또는 재활용 공정을 수행하는 것 보다는 직접 처분하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판단되는 CANDU형 사용후핵연료를 대상으로 하여, 기존 PWR형 및 CANDU형 사용후핵연료를 동일한 제원의 처분용기 적재하여 처분하는 개념인 한국형기준처분시스템을 바탕으로, 처분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CANDU 사용후핵연료 처분용기 개념을 수정/보완하고 처분효율을 향상시킨 개념을 도출하였다. 또한, 열해석을 수행하여 주요 설계인자인 열적 요건을 만족시키도록 하는 처분 개념별 처분공 간격과 처분터널 간격을 설정하고 그 결과에 따른 처분효율성분석을 수행하였으며, 결론은 다음과 같다.
  • 사용후핵연료를 심부 지하에 처분하기 위한 지하 처분구역 배치에 있어서 중요한 제한 요건은 사용후핵연료로부터 발생하는 열로 인하여 공학적 방벽을 이루고 있는 완충재의 온도가 100℃를 넘지 않도록 설계하여야 한다는 것이다[17,18]. 이는 처분용기로의 지하수 침수 및 처분한 방사성물질이 처분용기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억제하는 완충재인 벤토나이트의 성분을 변화시키지 않고 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가설 설정

  • 3. A concept of disposal container emplacement in deep geological repository.
  • 즉, 지하수의 흐름을 억제하거나 폐기물 용기로부터 발생하는 가스와 방사성 물질의 누출을 제한하여 생활환경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며, 또한 지표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자연적 인위적 변화들로부터 심부지층을 보호한다. 국내 지질에 대한 조사결과를 기반으로 기준 처분시스템의 모암은 화강암반으로 가정하였다. 자연방벽이 방사성물질을 영구히 생태계로부터 격리시켜 심부지하에 처분한 방사성물질에서 나오는 독성으로부터 생태계의 안전성을 유지시킬 수 있어야 하겠지만, 이러한 자연계는 비균질성과 불확실성을 가지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심지층 처분시스템의 목적은 무엇인가? 심지층 처분시스템의 목적은 사용후핵연료 또는 고준위폐기물의 방사선적 위험이 소멸될 때까지 인간환경으로부터 격리하는 것이다. 사용후핵연료 처분시스템은 사용후핵연료를 처분용기에 포장하여 지하 수백 미터의 암반에 처분동굴을 굴착하여 처분하는 심지층 처분을 기본으로 하고 있으며, 이러한 심지층 처분시스템은 가장 안전한 방법으로 고려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운영하는 원자력발전소는 어떤종류가 있는가? 우리나라에서 운영하는 원자력발전소는 PWR형과 CANDU형 2종류가 있으며, 원자력발전에 의한 지속적인 에너지 공급을 위하여 이들로부터 발생하는 사용후핵연료에 대한 안전관리는 매우 중요한 인자이다. 사용후핵연료 처분을 위한 연구는 1997년부터 시작하여 한국형 사용후핵연료 처분시스템을 개발하였으며, 현재는 개발된 기술에 대한 실증 및 처분시스템의 효율향상을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처분터널은 처분용기를 매설하고 난 후 뒷채움재로 폐쇄하는데 이때 뒷채움재의 주요기능은 무엇인가? 또한, 처분터널은 처분용기를 매설하고 난 후 뒷채움재로 폐쇄한다. 뒷채움재의 주요 기능은 지하수 유입과 방사성 핵종누출 제한, 열전달 및 구조적 건전성 유지로, 이 기능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낮은 수리전도도, 방사성 핵종 저지능, 팽윤성과 적절한 기계적 강도를 가져야 한다[9, 10]. 뒷채움재로는 굴착암을 파쇄한 골재와 칼슘 벤토나이트를 혼합하여 사용하며, 혼합재의 조성은 입자크기 20 mm 정도의 파쇄암반 골재 70 %와 칼슘 벤토나이트 30 %로 구성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JNC, "H12 Project to Establish Technical Basis for HLW Disposal in Japan, Supporting Report 2-Repository Design & Engineering Technology," Japan Nuclear Cycle Development Institute, 1999. 

  2. H. Hokmark and J. Claesson, "Use of an Analytical Solution for Calculating Temperatures in Repository Host Rock," Engineering Geology Vol. 81, Elsevier Science, 2005. 

  3. Kari Ikonen, "Thermal Analyses of Spent Nuclear Fuel Repository," Posiva Oy, POSIVA 2003-4, 2003. 

  4. P. Baumgartner, "Technical Implication of Aging Used Fuel Prior to Disposal within a Deep Geologic Repository," Canadian Nuclear Society, WM., Decommissioning and Environmental Restoration for Canada's Nuclear Activities: Current Practices and Future Needs, Ottawa, Ontario, Canada, May 8-11, 2005. 

  5. J. Y. Lee, H. J. Choi, "Preliminary Conceptual Design of the Korean Reference Repository System for HLW in Vertical Emplacement," KAERI, KAERI/TR-3012/2005, 2005. 

  6. J. Y. Lee, D. Cho, H. Choi, J. Choi, "Concept of a Korean Reference Disposal System for Spent Fuels," JNST, Vol. 44, No. 12, 2007. 

  7. Svensk Krnbrnslehantering AB, "Final repository for spent fuel in Forsmark basis for decision and reasons for site selection," SKB doc 1221293, June 2009. 

  8. Posiva Oy, "Interim Summary Report of the Safety Case," POSIVA 2010-02, 2010. 

  9. ANDRA, "Assets of granite formations for deep geological disposal," ANDRA, Dossier 2005 Granite 2005. 

  10. ANDRA, "Evaluation of the feasibility of a geological repository in an argillaceous formation Meuse/ Haute-Marne site," ANDRA, Dossier 2005 Argile, 2005. 

  11. NUMO, Development of Repository Concepts for Volunteer Siting Environments, Nuclear Waste Management Organization of Japan (NUMO), NUMO-TR-04-03, 2004. 

  12. J. W. Choi and C. H. Kang, "Reference Spent Fuel and Its Characteristics for a Deep Geological Repository Concept Development," J. KNS, Vol.31 (6), 1999. 

  13. KAERI, "Progress Report on the R&D Program for the Disposal of HLW in Korea,"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2002. 

  14. S. S. Kim, J. W. Choi, K. S. Chun, "Requirements Performance and Design of Container, buffer and Backfill materials for the Disposal of Spent Nuclear Fuel," KAERI/TR-2628/2003, KAERI, 2003. 

  15. H. J. Choi, J. Y. Lee, "Design Requirements for the Korean Reference Repository System of HLW," KAERI, KAERI/TR-3003/2005, 2005. 

  16. Svensk Krnbrnslehantering AB, "Buffer and backfill process report for the safety assessment SR-Can," TR-06-18, Swedish Nuclear Fuel and Waste Management Co. 2006. 

  17. J. Y. Lee, S. G. Kim, J. W. Kim, "Analysis of Disposal Tunnel Spacing and Disposal Pit Pitch for the HLW Repository Design," Journal of the Korean Radioactive Waste Society, V. 3, No. 4, 2005. 

  18. J. Y. Lee, H. J. Choi, D. G. Cho, "Analysis of the Thermal and Structural Stability for the CANDU Spent Fuel Disposal Canister," Journal of the Korean Radioactive Waste Society, V.6, No. 3, 2008. 

  19. D. G. Cho, H. J. Choi, J. W. Choi, "Current status and characterization of CANDU spent fuel for geological disposal system design," Journal of the Korean Radioactive Waste Society, V.6, No. 2, 2008. 

  20. SKB, "Programme for research, development and demonstration of methods for the management and disposal of nuclear waste," SKB Technical Report TR-07-12, 2007. 

  21. Dassault systems, "Abaqus/CAE 6.10 User's manual," Dassault systems simulia corp.,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