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과주스의 이화학적 품질과 항산화 기능성
The Physicochemical Qualitie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Apple Juices Marketed in Korea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18 no.5, 2011년, pp.700 - 705  

황인욱 (경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식품공학부) ,  김창섭 (외식호텔조리산업계열, 포항대학교) ,  정신교 (경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식품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내에서 제조하여 판매되고 있는 사과주스 제품(혼탁형 4종, 청징형 4종)의 이화학적 품질특성과 항산화 활성, 폴리페놀 성분 조성을 조사하였다. 적정산도는 0.299~0.556 범위로 제품형태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p<0.05). 가용성 당질 함량은 $10.03\sim13.00\;^{\circ}Brix$로서 클라우디형이 높았으며 환원당 함량은 40.47~119.17 g/L이었으며 청징형이 높았다(p<0.05). 사과주스의 색도 및 탁도는 혼탁형이 청징형보다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p<0.05). 비타민 C 함량은 0.74~1.22 g/L 범위로 형태에 따른 큰 유의적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총 페놀 함량은 혼탁주스(1.13~1.42 g/L)가 청징주스(0.12~0.32 g/L)보다 4~12배 정도 많았다. 사과주스의 폴리페놀화합물은 chlorogenic acid, caffeic acid, (-)-epicatechin, quercitrin, phloridzin을 포함하여 9 종이 HPLC로 분리되었으며, 총 함량은 혼탁주스(319.37~985.63 mg/L)가 청징주스(92.88~214.39 mg/L)보다 높게 나타났다. DPPH 방법으로 측정한 사과주스의 항산화 활성은 혼탁주스($1490.92\sim1676.02{\mu}M$ GAE)가 청징주스($326.22\sim648.28{\mu}M$ GAE) 보다 강하였으며, FRAP 방법에서도 혼탁주스($3278.52\sim5115.22{\mu}M$ TE)가 청징주스 ($423.86\sim1506.16{\mu}M$ TE)보다 강한 활성을 보였다. 사과주스의 항산화 활성은 총 페놀 함량과 HPLC로 분석한 폴리페놀화합물의 함량과 높은 상관성(r>0.95)이 있었으며, 색도 또한 항산화 활성과 상관성이 높았다(r>0.95).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hysicochemical qualities, antioxidant activities, and polyphenols composition of eight kinds of cloud and clear apple juice products marketed in Korea were investigated. The acidities of eight kinds of cloud and clear apple juice products were in the range of 0.299~0.556 and showed no signific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사과주스가 다른 음료 및 과일 주스에 대하여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기 위하여 우선 현재 시판되고 있는 사과 주스 제품들의 품질과 건강 기능성을 분석하여 비교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제품 개발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국내에서 주로 시판되고 있는 혼탁형과 청징형 사과주스의 색도 및 당, 산 등의 이화학적 성분 함량과 페놀성 물질의 함량과 항산화활성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과 및 사과주스는 어떤 성분을 함유하고 있는가? 사과주스 제조에 있어서 품질저하의 요인은 주로 살균 등의 열처리에 의한 갈변화 반응이 있으며(1,2) 부분적으로 고온 열처리에 의한 향미의 변화와 영양소의 파괴 등도 문제가 된다(3). 사과 및 사과주스는 유기산과 당류와 같은 기호성 성분 이외에도 비타민, 미네랄 성분 및 폴리페놀화합물과 같은 생리활성물질들을 함유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 chlorogenic acid, caffeic acid, epicatechin과 같은 폴리페놀 물질(4)은 활성산소에 의한 생체 성분의 산화적 손상에 의하여 유발되는 동맥경화, 당뇨, 고혈압을 비롯하여 각종 암과 같은 퇴행성 질환의 예방에 효과가 있다(5-6). 따라서 포도나 블루베리 등의 과일과 다양한 채소와 약용식물 뿐만 아니라 가공 음료 및 다양한 종류의 발효 제품에 대하여도 함유하고 있는 천연 항산화 성분과 항산화 활성에 대하여 연구되어 보고되고 있다.
국내에서 제조하여 판매되고 있는 사과주스 제품(혼탁형 4종, 청징형 4종)의 이화학적 품질특성과 항산화 활성, 폴리페놀 성분 조성을 조사한 결과는 어떻게 나타났는가? 국내에서 제조하여 판매되고 있는 사과주스 제품(혼탁형 4종, 청징형 4종)의 이화학적 품질특성과 항산화 활성, 폴리페놀 성분 조성을 조사하였다. 적정산도는 0.299~0.556 범위로 제품형태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p<0.05). 가용성 당질 함량은 10.03~13.00 °Brix로서 클라우디형이 높았으며 환원당 함량은 40.47~119.17 g/L이었으며 청징형이 높았다(p<0.05). 사과주스의 색도 및 탁도는 혼탁형이 청징형보다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p<0.05). 비타민 C 함량은 0.74~1.22 g/L 범위로 형태에 따른 큰 유의적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총 페놀 함량은 혼탁주스(1.13~1.42 g/L)가 청징주스(0.12~0.32 g/L)보다 4~12배 정도 많았다. 사과주스의 폴리페놀화합물은 chlorogenic acid, caffeic acid, (-)-epicatechin, quercitrin, phloridzin을 포함하여 9 종이 HPLC로 분리되었으며, 총 함량은 혼탁주스(319.37~985.63 mg/L)가 청징주스(92.88~214.39 mg/L)보다 높게 나타났다. DPPH 방법으로 측정한 사과주스의 항산화 활성은 혼탁주스(1490.92~1676.02 μM GAE)가 청징주스(326.22~648.28 μM GAE) 보다 강하였으며, FRAP 방법에서도 혼탁주스(3278.52~5115.22 μM TE)가 청징주스(423.86~1506.16 μM TE)보다 강한 활성을 보였다. 사과주스의 항산화 활성은 총 페놀 함량과 HPLC로 분석한 폴리페놀화합물의 함량과 높은 상관성(r>0.95)이 있었으며, 색도 또한 항산화 활성과 상관성이 높았다(r>0.95).
사과주스 제조에 있어서 품질저하의 요인은 무엇인가? 대부분 사과주스는 착즙 후 농축하고 다시 희석하여 개별 포장기에 충진하여 판매하는 형태이지만, 소비자들의 건강 지향적 사고방식과 천연적이며 신선한 과일의 향과 맛을 선호하는 경향에 따라 최근 수확기에 직접 착즙하여 바로 충진하는 프리미엄급의 주스도 소규모로 가공되고 있다. 사과주스 제조에 있어서 품질저하의 요인은 주로 살균 등의 열처리에 의한 갈변화 반응이 있으며(1,2) 부분적으로 고온 열처리에 의한 향미의 변화와 영양소의 파괴 등도 문제가 된다(3). 사과 및 사과주스는 유기산과 당류와 같은 기호성 성분 이외에도 비타민, 미네랄 성분 및 폴리페놀화합물과 같은 생리활성물질들을 함유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 chlorogenic acid, caffeic acid, epicatechin과 같은 폴리페놀 물질(4)은 활성산소에 의한 생체 성분의 산화적 손상에 의하여 유발되는 동맥경화, 당뇨, 고혈압을 비롯하여 각종 암과 같은 퇴행성 질환의 예방에 효과가 있다(5-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Hong HD, Kim SS, Kim KT, Choi HD (1999) Changes in quality of domestic apple juice concentrates during long-term storage.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2, 235-239 

  2. Hong HD, Kim SS, Kim KT, Choi HD (2001) Quality changes of apple juice concentrates with diffderent storgae temperature. Korean J Food Nutr, 14, 28-33 

  3. Park NY, Kim JW, Woo SC, Jeong YJ (2010) Quality changes in apple juice containing pulp upon sterilization by hot water. Korean J Food Preserv, 17, 230-235 

  4. van Boekel MA, Jongen WM (1997) Product quality and food processing: how to quantify the healthiness of a product, Cancer Lett, 114, 65-69 

  5. Manach C, Mazur A, Scalbert A (2005) Polyphenols and prevention of cardiovascular diseases, Curr Opin Lipidol, 16, 77-84 

  6. Mennen LI, Sapinho D, De Bree A (2004) Consumption of foods rich in flavonoids is related to a decreased cardiovascular risk in apparently healthy French women. J Nutr, 134, 923-926 

  7. Serafini M, Ghiselli A, Ferro-Luzzi A (1996) In vivo antioxidant effect of green and black tea in man. Eur J Clin Nutr, 50, 28-32 

  8. Mukamal KJ, Maclure M, Muller JE (2002) Tea consumption and mortality after acute myocardial infarction. Circulation, 105, 2476-2481 

  9. Hirano R, Momiyama Y, Takahashi R (2002) Comparison of green tea intake in Japanese patients with and without angiographic coronary artery disease. Am J Cardiol, 90, 1150-1153 

  10. Serafini M, Maiani G, Ferro-Luzzi A (1998) Alcohol- free red wine enhances plasma antioxidant capacity in humans. J Nutr, 128, 1003-1007 

  11. Di Castelnuovo A, Rotondo S, Iacoviello L, Donati MB ,De Gaetano, G (2002) Meta-analysis of wine and beer consumption in relation to vascular risk. Circulation, 105, 2836-2844 

  12. Klatsky AL, Friedman GD, Armstrong MA, Kipp H (2003) Wine, liquor, beer, and mortality. Am J Epidemiol, 158, 585-595 

  13. Djousse L, Ellison RC, Beiser A, Scaramucci A, D'Agostino RB, Wolf PA (2002) Alcohol consumption and risk of ischemic stroke: the Framingham Study. Stroke, 33, 907-912 

  14. Lee HR, Jung BR, Park JY. Hwang IW, Kim SK, Choi JU. Lee SH, Chung SK (2008) Antioxidant activity and total phenolic contents of grape juice products in the Korean market. Korean J Food Preserv, 15, 445-449 

  15.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4th ed, p 844.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16. Jeong PH, Kim YS, Shin DH (2006) Changes o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chizandra chinensis during postharvest ripening at various temperature.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469-474 

  17. Mille, GL (1959) Use of dinitrosalicylic acid reagent for determination of reducing sugar. Anal Chem, 31, 426-428 

  18. Mill MB, Daron CM, Roe JH (1949) Ascorbic acid, dehydroascorbic acid and diketogluronic acid in fresh and processed foods. Anal Chem, 29, 707-710 

  19. Singleton VL, Orthofer R, Lamuela-Raventos RM (1999) Analysis of total phenolic and other oxidation substrates and antioxidants by means of Folin-Ciocalteu reagent. Methods Enzymol, 299, 152-178 

  20. Blois MS (1958) Antioxidants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21. Benzie IFF, Strain JJ (1996) The ferric reducing ability of plasma as a measure of antioxidant power, the FRAP assay. Anal Biochem, 239, 70-76 

  22. SAS Institute, Inc. (1990) SAS User's Guide. Statistical Analysis Systems Institute, Cary, NC, USA 

  23. Elkins RE, Matthy, A, Lyon R, Huang CJ (1996) Characterization of Commercially Produced Apple Juice Concentrate. J Food Compos Anal., 9, 43-56 

  24. Schilling S, Schmid S, Jaeger H, Ludwig M, Dietrich H, Toepfl S, Knorr D, Neidhart S, Schieber A, Carle R (2008) Comparative Study of Pulsed Electric Field and Thermal Processing of Apple Juice with Particular Consideration of Juice Quality and Enzyme Deactivation. J Agri Food Chem, 56, 4545-4554 

  25. Will F, Roth M, Olk M, Ludwig M, Dietrich H (2008) Processing and analytical characterisation of pulp-enriched cloudy apple juices. Food Sci Technol, 41, 2057-2063 

  26. Eisele TA, Drake SR (2005) The partial compositional characteristics of apple juice from 175 apple varieties. J Food Comp Analysis, 18, 213-221 

  27. Bielig HJ, Hofsommer HJ (1982) The importance of the amino acid spectrum in apple juices. Flussiges Obst, 49, 50-56 

  28. Sacchetti G, Cocii E, Pinnavaia GG, Mastrocola D, Rosa MD (2008) Influence of processing and storage o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apple derivatives. Int J Food Sci Technol, 43, 797-804 

  29. Orak HH (2007) Total antioxidant activities, phenolic anthocyanins, polyphenoloxidase activities correlation of some important red wine grape varieties are grown in turkey. J Food Sci Technol, 111, 235-24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