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시판김치의 김치담금부터 숙성까지의 미생물 균총 변화
Change in the Microbial Profiles of Commercial Kimchi during Fermentation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18 no.5, 2011년, pp.786 - 794  

장지윤 (조선대학교 식품영양학과.김치연구센터) ,  최유리 (조선대학교 식품영양학과.김치연구센터) ,  장해춘 (조선대학교 식품영양학과.김치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내 김치 산업체의 김치위생상태 현황을 조사하기 위하여 반찬가게김치, 중소기업김치, 대기업김치를 $10^{\circ}C$에서 10일간 발효하면서 발효시간에 김치의 일반특성 및 미생물 균총 변화를 조사하였다. 3종류 시판김치의 구입당일 pH는 평균 5.8에서 발효 10일에는 pH 4.1 부근으로 감소하였으나, 대기업김치가 다른 시판김치에 비해 발효초기 급격한 pH 감소를 나타내었다. 시판김치의 구입당일 산도는 대기업김치가 다른 두 종류의 시판김치보다 낮았으나, 발효 10일에는 세 종류의 시판김치 모두 1.1% 정도의 산도를 나타내었다. 시판김치의 염도는 중소기업김치가 다른 두 시판 김치보다 다소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으며, 시판김치의 당도는 반찬가게김치가 중소기업김치와 대기업김치보다 다소 높은 당도를 나타내고 시료별 당도 차이도 크게 나타났다. 시판김치의 구입당일 총균수와 유산균의 수는 대기업 김치가 다른 두 시판김치에 비해 높은 수가 검출되었으며 발효 초기에 급격히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구입당일 시판김치 내 유산균외 그람양성 세균수는 반찬가게김치가 가장 많이 검출되었으며 중소기업김치, 대기업김치 순이었으며, 발효 10일까지 거의 비슷한 수준의 균수가 검출되었다. 시판김치의 구입당일 대장균 및 대장균군을 포함한 그람음성 세균수는 반찬가게김치가 가장 높게 검출되었으며 중소기업김치, 대기업김치 순으로 나타났다. 반찬가게김치의 그람음성 세균수는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서서히 감소하였으나 발효 10일까지도 검출된 반면, 중소기업김치와 대기업김치는 발효 8일부터는 검출되지 않았다. 김치가 과숙됨에 따라 산도 저하와 함께 검출되는 효모는 산도0.36%이하의 익지 않은 반찬가게김치(구입당일)와 중소기업김치(발효 2일차)에서도 검출되었으나, 대기업김치는 산도가 0.96% 이상인 발효 8일째부터 검출되었다. 제조회사별 김치에 존재하는 유산균을 제외한 그람양성균으로는 Bacillus 속이, 그람음성균으로는 E. coli, Enterobacter 속, Sphingomonase 속, Stenotrophomonas 속 등이 공통적으로 검출되었으며 그 분포는 시판김치에 따라 다소 상이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김치의 세계화와 김치의 산업화를 위해서는 김치의 제조관리에 보다 위생적이며 체계적으로 매뉴얼화된 생산공정 확립과 관리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investigate the sanitary-quality level of commercial kimchi in South Korea, the pH, acidity, and microbial-flora changes in the kimchi were determined. Samples of kimchi produced by three different manufacturers (a small grocery store, a small/medium-sized enterprise, and a large food company) we...

주제어

참고문헌 (41)

  1. Lee CH (1986) Kimchi; Korean fermented vegetable foods. Korean J Dietary Culture, 1, 395-402 

  2. Ku KH, Sunwoo JY, Park WS (2005) Effects of ingredients on the its quality characteristics during kimchi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267-276 

  3. Codex. Codex: Alimentarius Commission Codex standard for kimchi. Codex Stan 223. (2001) 

  4. USA. Health magagine: Available from http://eating. health.com. Updated Feb. 1, (2008) 

  5. Jeon CG (2009) Marketing analysis of the imported kimchi and challenges for the domestic kimchi industry. Korean J Food Marketing Economics, 26, 79-101 

  6. Kim OS, Joo NM (2007) A study on purchasing current status and promotion factors for commercial kimchi of women in seoul area. Korean J Food Culture, 22, 167-175 

  7. You JH, Shin MJ, and Choi SK (2008) Importance and satisfaction with selection attributes when purchasing kimchi.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8, 624-632 

  8. Shin DH, Kim MS, Han JS, Lim DK, Bak WS (1996) Changes of chemical composition and microflora in commercial kimchi.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137-145 

  9. Han HU, Lim CR, Park HK (1990) Determination of microbial community as an indicator of kimchi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2, 26-32 

  10. Jeon YS, Kye IS, Cheigh HS (1999) Changes of vitamin C and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kimchi on different cabbage variety and fermentation temperatur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773-779. 

  11. Rhee HS, Lee CH, Lee GJ (1987) Changes in the chemical composition and textural properties of Korean cabbage during salting. Korean J Soc Food Sci, 3, 64-70 

  12. Korea. Nongmin newspaper: Available from http://www.nongmin.com/article/ar_ detail.htm?ar_id164547&subMenuarticletotal. Accessed July. 31 (2009) 

  13. Kim MJ, Chun JS (2005) Bacterial community structure in kimchi, a korean fermented vegetable food, as revealed by 16S rRNA gene analysis. Int J Food Microbiol, 103, 91-96 

  14. Ko JL, Oh CK, Oh MC, Kim SH (2009)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from commercial kimchi.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732-741 

  15. Kwon EA, Kim MH (2007) Microbial evaluation of commercially packed kimchi products. Korean Food Sci Biotechnol, 16, 615-620 

  16. Inatsu Y, Bari ML, Kawasaki S, Isshiki K (2004) Survival of Escherichia coli O157:H7, Salmonella Enteritidis, Staphylococcus aureus, and Listeria monocytogenes in kimchi. J Food Prot, 67, 1497-1500 

  17. Shin DH, KIM MS, Han JS, Lim DK, Park WS (1996) Changes of chemical composition and microflora in commericial kimchi. Korean J Food Technol, 28, 137-145 

  18. Ahn DK, Han TW, Shin HY, Jin IN, Ghim SY (2003) Diversity and antibacterial activity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31, 191-196 

  19. Choi EH, Kim YB, Lee SR (1977) Isolation of microorganisms from red pepper power and their radiosensitivity. Korean J Food Sci Technol, 9, 205-210 

  20. Choi KC (1978) Studies on the yeasts isolated from kimchi. Korean J Microbiol, 16, 1-10 

  21. Kim HS, Jeong YS (1966) Identification of the aerobic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and laver. J Korean Soc Appl Biol Chem, 3, 19-24 

  22. Ko JL, Oh CK, Oh MC, Kim SH (2009)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from commercial kimchi.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732-741 

  23. Lee CW, Ko CY, Ha DM (1992) Microfloral changes of the lactic acid bacteria during kimchi fermentation and identification of the isolates. Korean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0, 102-109 

  24. Lee MJ, Cho KH, Han ES, Lee JH (2010) Bacterial diversity in the initial fermentation stage of Korean and Chinese kimchi.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38, 207-215 

  25. Lee JS, Heo GY, Lee JW, Oh YJ, Park JA, Park YH, Pyun YR, Ahn JS (2005) Analysis of kimchi microflora using 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Int J Food Microbiol, 102, 143-150 

  26. Lim CR, Park HK, Han HU (1989) Reevaluation of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gram-positive bacteria kimchi. Korean J Microbiol, 27, 404-414 

  27. Park JA, Heo GY, Lee JS, Oh YJ, Kim BY, Mheen TI, Kim CK, Ahn JS (2003) Changes of microbial communities in kimchi fermentation at low temperature. Korean J Microbiol, 39, 45-50 

  28. Shim SM, Lee JH (2008) PCR-based detection of lactic acid bacteria in Korean fermented vegetables with recA gene targeted species-specific primers.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36, 96-100 

  29. Shim SM, Lee JH (2008) Evalu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community in kimchi using terminal-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analysis.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36, 247-259 

  30. Kim YS, Zheng ZB, Shin DH (2008) Growth inhibitory effects of kimchi(Korean traditional fermented vegetable product) against Bacillus cereus, Listeria monocytogenes, and Staphylococcus aureus. J Food Prot, 71, 325-332 

  31. Lee JK, Jung DW, Kim YJ, Cha SK, Lee MK, Ahn BH, Kwak NS, Oh SW (2009) Growth inhibitory effect of fermented kimchi on food-borne pathogens. Korean Food Sci Biotechnol, 18, 12-17 

  32. Lee SH, Kim MK, Frank JS (1995) Growth of Listeria monocytogenes Scott A during kimchi fermentation and in the presence of kimchi ingredients. J Food Prot, 58, 1215-1218 

  33. Park YS, Lee SR, Kim YG (2006) Detection of Escherichia coli O157:H7, Salmonella spp., Staphylococcus aureus and Listeria monocytogenes in kimchi by multiplex polymerase chain reaction(mPCR). J Microbiol, 44, 92-97 

  34. Shin SM, Park JY, Kim EJ, Hahn YS (2005) Investigation of some harmful bacteria in commercial kimchi. Korean J Food Cookery Sci 21, 195-200 

  35. Kim ID, Park MJ, Kim SD (1997) Changes in coliform bacteria during fermentation of kimchi. Korean J Food Sci Technol, 9, 71-73 

  36. Kim JG, Yoon JS (2005) Changes of index microoganisma and lactic acid bacteria of Korea fermented vegetables (kimchi) during the ripening and fermentation-part 1. Korean J Env Hlth, 30, 79-85 

  37. Park MJ, Kim SD, Kim MK, Kim ID (1997) Microbial contamination of materials, washing of Chinese cabbage by ozon treatment and fermentation of kimchi. Korean J Food Sci Technol, 9, 25-32 

  38. Chung CH, Kim YS, Yoo YJ, Kyung KH (1997) Presence and control of coliform bacteria in kimchi.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999-1005 

  39. KFDA (2011) Food code. Korean Food & Durg Administration, Seoul, Korea 

  40. AOAC (1995)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6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41. USA (2010)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Nucleotide Blast Search Program, http://blast.ncbi.nlm.nih.gov/Blast.cgi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