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부지역에서 유기조사료 생산을 위한 작부체계 확립

Establishment of Cropping System for Organic Forage Production in Middle Region of Korea

韓國有機農業學會誌 = Korean journal of organic agriculture, v.19 no.3, 2011년, pp.373 - 384  

박준혁 (연세대학교) ,  윤기용 (연세대학교) ,  박상수 (연세대학교 생명과학기술학부) ,  노진환 (연세대학교 생명과학기술학부) ,  이주삼 (연세대학교 생명과학기술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실험은 중부지역 작부체계 확립을 위한 유기조사료 생산하여 중부 지방에 적합한 초종을 선별하고 생산성 및 사료가치를 조사하여 가축사육능력을 추정하고자 수행되었고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실험 결과 밭 토양에서는 밭 토양에서의 건물수량은 수수${\times}$수단그라스 교잡종이 10.9 $ton{\cdot}ha^{-1}$이었고 호밀+레드클로버와 호밀+헤어리베치에서 3.3 $ton{\cdot}ha^{-1}$로 가장 높았으며 호밀 단파구에 대한 상대수량이 높아 혼파효과가 입증되었다. 수수${\times}$수단그라스 교잡종이 조단백질(CP) 함량은 6.2%, 상대사료가치(RFV)는 옥수수가 가장 뛰어난 96.6이지만 수수${\times}$수단그라스 교잡종의 84.4와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호밀+레드클로버에서 TDN(total digestible nutrient) 함량 59.7%로 다른 처리 구보다 높았다. 상대사료가치는 호밀+레드클로버가 83.8로 가장 높았지만 처리 간 유의한 차이는 발생하지 않았다. 밭 토양에서 가축사육능력은 $K_{CP}$ 값과 $K_{TDN}$ 값의 평균이 수수${\times}$수단그라스교잡종이 4.27 head/ha/yr로 나타났다. 동계작물에서는 $K_{CP}$ 값과 $K_{TDN}$ 값의 평균이 호밀+레드클로버가 1.74 head/ha/yr로 가장 높았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논토양에서 건물수량은 유기볏짚이 3.3 $ton{\cdot}ha^{-1}$이였고 호밀+레드클로버가 4.1 $ton{\cdot}ha^{-1}$로 유의하게 가장 높았다. 논토양에서 유기 볏짚의 조단백질함량은 3.1%였고, 유기볏짚의 TDN 함량은 55%이었다. 호밀+레드클로버에서 TDN 함량은 59.7%로 다른 처리 구보다 높았다. 상대사료가치는 호밀+레드클로버가 83.8로 가장 높았지만 처리 간 유의한 차이는 발생하지 않았다. 논토양에서 가축사육능력은 유기볏짚이 $K_{CP}$ 값과 $K_{TDN}$ 값의 평균 1.04 head/ha/yr. 호밀+레드클로버의 $K_{CP}$ 값과 $K_{TDN}$ 값의 평균이 1.84 head/ha/yr로 가장 높았으나 전 처리 구에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유기조사료 생산을 위한 중부지역의 최적 작부조합은 밭 토양에서 수수${\times}$수단그라스교잡종+(호밀+레드클로버)와 논토양에서는 유기볏짚+(호밀+레드클로버)을 최적의 작부체계라고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selection of regional double cropping system for production of organic forage in middle part of Korea and investigated their productivity, feed values and stock carrying capacity. The test results proved the Sorghum${\times}$Sudangrass hyb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관행농법에서 벗어나 유기자원을 이용한 적절한 시비설계로 안전성이 높은 사초를 생산할 수 있는 유기재배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부지역의 논과 밭에서 알맞은 유기조사료 생산을 위한 작부체계 확립과 사료가치, 가축사육능력의 평가 및 혼작효과를 평가하여 지속가능한 유기조사료 생산의 기반을 조성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 본 실험은 중부지역 작부체계 확립을 위한 유기조사료 생산하여 중부 지방에 적합한 초종을 선별하고 생산성 및 사료가치를 조사하여 가축사육능력을 추정하고자 수행되었고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실험 결과 밭 토양에서는 밭 토양에서의 건물수량은 수수×수단그라스 교잡종이 1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호밀이 가장 안정적인 생산작물로 알려진 이유는 무엇입니까? 우리나라에서는 하계작물 재배 후 월동사료 작물로서 청보리,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호밀 등을 논과 밭에서 권장하고 있지만 중부 지역에서는 남부지방에 비하여 평균기온이 낮기 때문에 월동성이 높고 토양 적응성이 뛰어난 호밀이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호밀은 답리작이 가능한 추파 사료작물 중 단위면적당 수량이 가장 높고(Briggle, 1959; Hay 등, 1993), 불량한 토양 및 기후조건에 대한 적응성이 비교적 강해서(Martin, 1976) 가장 안정적인 생산이 가능한 사료작물로 알려져 있다. 호밀은 예취시기에 따라 사료가치의 감소 폭이 크기 때문에 기호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지만 기호성을 보완하기 위해 두과작물과의 혼파를 권장하고 있다.
두과작물과 화본과작물의 혼파는 어떠한 장점이 있습니까? 호밀은 예취시기에 따라 사료가치의 감소 폭이 크기 때문에 기호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지만 기호성을 보완하기 위해 두과작물과의 혼파를 권장하고 있다. 두과작물과 화본과작물의 혼파는 화본과 단파에 비해 건물수량 뿐만 아니라 단백질 수량도 높이는데 이는 두과로부터 유래된 질소를 이용하였기 때문이며(Ta와 Faris, 1987) 증수되는 양은 13~32% 정도이고(Russelle과 Hargrove, 1989), 도복을 방지하며 단작에 비해 정착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Chapman과 Carter, 1976). 현재 농가에서는 조사료 생산과정에서 수량증대를 목적으로 한 화학비료 의존적 생산체계를 유지하고 있어 토양이 산성화 되고, 호 질소성 잡초의 증가 및 식물체에서의 질산 태 질소의 집적과 토양에서의 용탈등 비경제적인 시비관리가 이루어져 온 것이 현실이다(Jo, 1989).
관행농법의 현황 및 문제점은 어떠합니까? 두과작물과 화본과작물의 혼파는 화본과 단파에 비해 건물수량 뿐만 아니라 단백질 수량도 높이는데 이는 두과로부터 유래된 질소를 이용하였기 때문이며(Ta와 Faris, 1987) 증수되는 양은 13~32% 정도이고(Russelle과 Hargrove, 1989), 도복을 방지하며 단작에 비해 정착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Chapman과 Carter, 1976). 현재 농가에서는 조사료 생산과정에서 수량증대를 목적으로 한 화학비료 의존적 생산체계를 유지하고 있어 토양이 산성화 되고, 호 질소성 잡초의 증가 및 식물체에서의 질산 태 질소의 집적과 토양에서의 용탈등 비경제적인 시비관리가 이루어져 온 것이 현실이다(Jo, 1989). 따라서 관행농법에서 벗어나 유기자원을 이용한 적절한 시비설계로 안전성이 높은 사초를 생산할 수 있는 유기재배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김동암.권찬호.한건준. 1992. 청예용 호밀의 수확시기가 사초의 수량과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12(3): 173-177. 

  2. 권찬호.김동암. 1994. 조.만생 사초용 호밀의 파종 및 수확시기에 관한 연구 II. 파종 및 수확시기별 수량 및 사료가치.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14(4): 316-323. 

  3. 농림부. 2008. 농림업 주요 통계집. 

  4. 박호기.김영두.신만균.서석기.채재석.고재현.장영선. 1988. 남부지방에 적합한 사료 작물과 수도 작부체계에 관한 연구. 농시논문집(축산편). 30(1): 33-46. 

  5. 배동호.정근기. 1985. 볏짚 암모니아 처리 시 암모니아원으로써 요소의 이용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농축산대학 핵심전문연구 최종보고서. 

  6. 서종호.김석동. 2005. 논의 밭전환 연차간 우분시용에 의한 질소공급 및 밭사료작물의 생산력 변화. 한국작물학회지. 50(6): 387-393. 

  7. 이석순.이정모. 1989. 흑조위축병이 심한 남부지방에서 옥수수를 중심으로 한 사료작물 작부체계. 한작지. 34(1): 30-39. 

  8. 이주삼. 2006. 자원 순환형 농업을 위한 유기경종(자원순환형 유기농업 표준 모델 개발). 농림부. 

  9. 윤세형.김종근.정의수.성시홍. 2007. 중부지역에서 유기조사료 생산에 적합한 작부체계에 관한 연구. 한국초지학회지. 27(4): 275-280. 

  10. 조익환. 2003. 지역별 순환농업에서 가축분뇨의 시용이 Tall fescue의 잠재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기농업학회지. 1문(1): 69-83. 

  11. 축산과학원. 2007. 한국가축사양표준(한우). 

  12. Anon. 1973. Rondup (R) herbicids formulation of isopropylamine salt of glyphosate (Nphosphonomethglycine). Postmergence herbicide. Monsanto Agric. Div., St, Louis. Missouri. Tech. Bull. Mon 0573-2-73. 

  13.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14. Briggle, L. W. 1959. GroWing Rye. U.S.D.A. Farmers' Bull. No. 2146. 

  15. Dilz, K., K. J. Postmus, and W. H. Prins. 1990. Residual effect of long term applications of farmyard manure to silage maize. Fertilizer Research 26: 249-252. 

  16. Goering, H. K. and P. J. Van soest. 1970. Forage fiber analysis. USDA Agric. handbook No. 379. Washington, D.C. 

  17. Hay, R. K. M. and M. K. Abbas al-ani. 1983. The physiology of forage Rye. J. Agric. Sci., Camb. 101: 63-70. 

  18. Heizel, K. A. 1974. The agronomic significance of mixed cropping. I. Maize interplanted with cowpea. Ghana J. Agric. Sci. 7: 169-178. 

  19. James, R. A. and R. K. Obura. 1983. Yield of Corn, cowpea and soybean under different intercropping systems. Agron. J. 75: 1005-1009. 

  20. Jo, I. H. 1989. wirksamkeit der mineralischen Stickstoffduengung auf Ertrag und Pflanzebbestand des Gruenlandes im osterreichischen Alpenraum. Diss. Univ. Bpdenkultur. Wien. 

  21. Loomis, R. S. and D. J. Connor. 1998. Crop Ecology. p. 28. 

  22. Lund, Z. F. and B. D. Doss. 1980. Residual effect of Dairy cattle manure on plant growth and soil properties. Agronomy Journal 72: 123-130. 

  23. Martin, J. H., W. H. Leonard, and D. L. Stamp. 1976. Principle of field crop production. Collier MacMillan Pub. London. Third ed. 

  24. Osman, A. E. and A. M. Osman. 1982. Performance of mixture of cereal and legume forage under irrigation in the Sudan. T. Agric. Sci. Camb. 98: 72-71. 

  25. Russelle, M. P. and W. L. Hargrove. 1989. Cropping system: Ecology and management. pp. 277-317. In R. F. Follett (ed) Nitrogen management and groundwater protection. Elsevier Science Publ. Co. New York. 

  26. Ta, T. C. and M. A. Faris. 1987. species variation in the fixation and transfer of N from legumes to associated grasses. Plant Soil. 98: 265-274. 

  27. Wolf, J. and H. Van Keulen. 1989. Modelling long-term crop response to fertilizer and soil nitrogen. II. Comparison with field result. Plant and soil 120: 23-3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