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인 유전성 유방암 가계에서 BRCA1/2 유전자 돌연변이 사실에 대한 가족과의 의사소통 실태
Communication with Family Members about Positive BRCA1/2 Genetic Test Results in Korean Hereditary Breast Cancer Families 원문보기

Journal of genetic medicine, v.8 no.2, 2011년, pp.105 - 112  

강은영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외과) ,  박수경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김구상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외과) ,  최두호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방사선종양학과) ,  남석진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외과) ,  백남선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외과) ,  이종원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외과) ,  이민혁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외과) ,  김성원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외과) ,  한국유방암학회 (한국유방암학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유전성 유방암 가계에서 BRCA 유전자 돌연변이 결과 공유의 중요성은 가족검사를 통해 돌연변이 보인자를 확인하고 적극적인 암 발생 감시와 예방적 치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유전성 유방암 가계에서 돌연변이 사실에 대한 공유 정도, 등친 별 의사소통 차이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한국인 유전성유방암 연구에 등록되어 BRCA1 또는 BRCA2 돌연변이가 확인된 발단자 106명을 대상으로 검사 후 유전상담, 유전성 유방암 지식도 평가, 돌연변이 사실에 대한 가족간의 의사소통 과정, 가족 검사 현황에 대해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최종 응답자 106명 중 99명은 적어도 한 명 이상의 친족에게 자신의 유전자 검사결과를 알렸으며, 일등친 가족에게만 알린 경우는 68.7%, 일등친과 이등친 이상의 가족에게 돌연변이 사실을 알린 경우는 31.3%였다. 단변량 분석결과 일등친 가족에게만 검사결과를 알린 군이 이등친 또는 삼등친 가족에게 돌연변이 사실을 알린 군에 비해 기혼자의 비율이 더 높았으며, 검사 후 유전상담일로부터 설문조사 시점까지 기간이 유의하게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에게 돌연변이 사실을 알린 이유에 대해서는 가족들에게 BRCA 유전자 돌연변이 가능성과 유방암 발병위험성을 알리기 위함에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결론: 유전성 유방암 가계에서 BRCA 돌연변이 사실에 대한 정보를 보다 많은 가족과 공유하기 위해서는 유전상담 시 환자 개개인의 가계 구조를 파악하여 차별화된 의사소통 방법을 제시해 주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Sharing genetic information with family members is important for cancer awareness and preven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disclosure patterns of positive BRCA genetic test results to patients' relatives.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106 probands who had positive BRCA g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설문 항목은 총 55 문항으로, 검사 후 유전상담에 대한 만족도와 도움이 된 항목 평가 4문항, 유전성 유방암에 대한 지식 수준을 평가하기 위한 16문항, 돌연변이 사실에 대한 가족간의 의사소통 과정과 장애요인을 평가하기 위한 11문항, 가족구성원의 검사 현황 3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돌연변이 사실에 대한 가족간의 의사소통 과정을 확인하기 위해 배우자 및 가족에게 돌연변이 사실을 알렸는지 여부와 알린 가족의 등친 범위, 가족과 검사 결과를 공유한 동기와 시기, 돌연변이 사실을 알린 것에 대한 후회 여부와 이유, 가족에게 결과를 알리지 않은 경우에 그 이유와 향후 정보 제공에 대한 계획을 조사하였다. 대상자의 심리적 불안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Beck 불안척도(Beck Anxiety Inventory, BAI) 한글판 21문항을 이용하였으며, 불안 점수는 BAI 계산방법에 근거하여 산출하였다.
  • 또한 본 연구에서는 지식도 평가 문항에 대한 답안 항목에 ‘틀리다’, ‘맞다’ 외에 ‘모른다’ 항목을 추가하여 실제 알고 있는 지식의 정확도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BRCA 유전자 돌연변이가 확인된 발단자가 그들의 가족에게 얼마나 돌연변이 사실을 알리며, 어떠한 이유로 검사 결과를 공유하는지, 가족검사의 장애요인은 무엇인지 분석하기 위해 시행되었으며, 이에 대한 국내 최초 보고라는데 의의가 있다. 분석 결과 응답자의 대부분은 가까운 친족인 일등친 가족과 유전자 검사 결과를 공유하였으나 비교적 먼 친족인 이등친 또는 삼등친 가족에게 돌연변이 사실을 알린 발단자의 비율은 31.
  • 본 연구는 유전성 유방암 환자가 그들의 돌연변이 사실을 가족과 어떻게 공유하며, 등친 별 의사소통 구조의 차이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 본 연구는 현황적 관찰 연구로 KOHBRA 연구에 기반하여 BRCA 유전자 돌연변이가 발견된 발단자를 대상으로 시행된 설문조사 연구이며, 분당서울대학교병원 기관 윤리 심의위원회의 심의를 통과 하였다(IRB N B-0908/081-007). 설문조사 대상자는 2007년 5월부터 2009년 5월까지 KOHBRA 연구에 모집된 1,212명의 유전성 유방암 고위험 유방암 환자 중 유전자 검사 결과 BRCA1 또는 BRCA2 유전자 돌연변이가 확인된 180명의 발단자로 하였으며, 설문조사는 2009년 11월 11일부터 2010년 4월 21일까지 진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BRCA 유전자 돌연변이는 무엇에 가장 중요한 원인인가? BRCA 유전자 돌연변이는 유전성 유방암의 가장 중요한 원인으로1), BRCA 유전자 검사 결과는 개인의 의학적인 면뿐만 아니라 정신사회적 삶에도 다양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돌연변이 양성 결과가 확인된 경우 집중적 암발생 감시뿐만 아니라 예방적 수술 또는 화학요법 등의 보다 적극적인 방법으로 암을 예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받게 되며, 돌연변이 음성 결과가 확인 된 경우 심리적으로 안도감을 느끼거나 불필요한 예방적 중재술을 피할 수 있게 된다.
돌연변이 양성 결과가 확인된 경우 어떤 기회를 제공받게되는가? BRCA 유전자 돌연변이는 유전성 유방암의 가장 중요한 원인으로1), BRCA 유전자 검사 결과는 개인의 의학적인 면뿐만 아니라 정신사회적 삶에도 다양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돌연변이 양성 결과가 확인된 경우 집중적 암발생 감시뿐만 아니라 예방적 수술 또는 화학요법 등의 보다 적극적인 방법으로 암을 예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받게 되며, 돌연변이 음성 결과가 확인 된 경우 심리적으로 안도감을 느끼거나 불필요한 예방적 중재술을 피할 수 있게 된다. 반면, 돌연변이 양성 결과는 불안, 우울 등의 부정적 감정 반응을 야기시킬 수 있으며, 유전성 유방암 가계에서 음성 결과를 확인 받은 자는 죄책감을 경험할 수도 있다2).
돌연변이 양성 결과를 장기 추적 관찰 결과 어떤 차이를 보였는가? 반면, 돌연변이 양성 결과는 불안, 우울 등의 부정적 감정 반응을 야기시킬 수 있으며, 유전성 유방암 가계에서 음성 결과를 확인 받은 자는 죄책감을 경험할 수도 있다2). 하지만, 장기 추적 관찰 결과 보인자와 비보인자 사이에 부정적 심리 상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3,4). 이처럼 BRCA 돌연변이 검사 결과가 여러 부정적인 영향을 야기시킬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BRCA1 또는 BRCA2 유전자 돌연변이 보인자의 경우 평생 동안 유방암에 이환 될 확률은 평균 65%, 45%로 높은 침투율을 보이므로 유전성 유방암 고위험 대상에 대한 검사는 간과되어서는 안될 것 이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Wooster R, Weber BL. Breast and ovarian cancer. N Engl J Med 2003;348:2339-47. 

  2. Pasacreta JV. Psychosocial issues associated with genetic testing for breast and ovarian cancer risk: an integrative review. Cancer Invest 2003;21:588-623. 

  3. van Oostrom I, Meijers-Heijboer H, Lodder LN, Duivenvoorden Duivenvoorden HJ, van Gool AR, Seynaeve C, et al. Long-term psychological impact of carrying a BRCA1/2 mutation and prophylactic surgery: a 5-year follow-up study. J Clin Oncol 2003;21:3867-74. 

  4. Heshka JT, Palleschi C, Howley H, Wilson B, Wells PS. A systematic review of perceived risks, psychological and behavioral impacts of genetic testing. Genet Med 2008;10:19-32. 

  5. Antoniou A, Pharoah PD, Narod S, Risch HA, Eyfjord JE, Hopper JL, et al. Average risks of breast and ovarian cancer associated with BRCA1 or BRCA2 mutations detected in case Series unselected for family history: a combined analysis of 22 studies. Am J Hum Genet 2003;72: 1117-30. 

  6. Rebbeck TR, Lynch HT, Neuhausen SL, Narod SA, Van't Veer L, Garber JE, et al. Prophylactic oophorectomy in carriers of BRCA1 or BRCA2 mutations. N Engl J Med 2002;346:1616-22. 

  7. Hendrick RE, Smith RA, Rutledge JH 3rd, Smart CR. Benefit of screening mammography in women aged 40-49: a new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J Natl Cancer Inst Monogr 1997:87-92. 

  8. Hartmann LC, Schaid DJ, Woods JE, Crotty TP, Myers JL, Arnold PG, et al. Efficacy of bilateral prophylactic mastectomy in women with a family history of breast cancer. N Engl J Med 1999;340:77-84. 

  9. Kim EK, Kim KS, Park SK, Ahn SH, Lee MH, Kim SW, et al. The Korean Hereditary Breast Cancer (KOHBRA) Study: protocol rewiew. J Breast Cancer 2007;10:241-7. 

  10. Kang E, Ahn SH, Noh WC, Noh DY, Jung YS, Kim LS, et al. The KOHBAR Study has changed the practive patterns for managing hereditary breast cancer in Korea. J Breast Cancer 2010;13:351-6. 

  11. Han SA, Park SK, Ahn SH, Lee MH, Noh DY, Kim LS, et al. The Korean Hereditary Breast Cancer (KOHBRA) Study: Protocols and Interim Report. Clin Oncol 2011;23: 434-41. 

  12. Foster C, Evans DG, Eeles R, Eccles D, Ashley S, Brooks L, et al. Non-uptake of predictive genetic testing for BRCA1/2 among relatives of known carriers: attributes, cancer worry, and barriers to testing in a multicenter clinical cohort. Genet Test 2004;8:23-9. 

  13. McGivern B, Everett J, Yager GG, Baumiller RC, Hafertepen A, Saal HM. Family communication about positive BRCA1 and BRCA2 genetic test results. Genet Med 2004;6:503- 9. 

  14. Green MJ, Peterson SK, Baker MW, Harper GR, Friedman LC, Rubinstein WS, et al. Effect of a computer-based decision aid on knowledge, perceptions, and intentions about genetic testing for breast cancer susceptibility: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AMA 2004;292:442-52. 

  15. Kim KS, Kim SW, Lee MH, Ahn SH, Park SK, Korean Breast Cancer Society. Practice patterns of surgeons for the management of hereditary breast cancer in Korea. J Breast Cancer 2008;11:95-101. 

  16. Garber JE, Patenaude AF. Ethical, social and counselling issues in hereditary cancer susceptibility. Cancer Surv 1995;25:381-97. 

  17. Julian-Reynier C, Eisinger F, Vennin P, Chabal F, Aurran Y, Nogues C, et al. Attitudes towards cancer predictive testing and transmission of information to the family. J Med Genet 1996;33:731-6. 

  18. American Society of Clinical Oncology. American Society of Clinical Oncology policy statement update: genetic testing for cancer susceptibility. J Clin Oncol 2003;21: 2397-406. 

  19. Hughes CH, Lynch H, Durham C, Snyder C, Lemon S, Narod S, et al. Communication of BRCA1/2 test results in hereditary breast cancer families. Cancer Res Ther Control 1999;8:51-9. 

  20. Claes E, Evers-Kiebooms G, Boogaerts A, Decruyenaere M, Denayer L, Legius E. Communication with close and distant relatives in the context of genetic testing for hereditary breast and ovarian cancer in cancer patients. Am J Med Genet A 2003;116A:11-9. 

  21. McGivern B, Everett J, Yoger GG, Baumiller RC, Hafertepen A, Saal HM. Family communication about positive BRCA1 and BRCA2 genetic test results. Genet Med 2004;6:503- 9. 

  22. Patenaude AF, Dorval M, DiGianni LS, Schneider KA, Chittenden A, Garber JE. Sharing BRCA1/2 test results with first-degree relatives: factors predicting who women tell. J Clin Oncol 2006;24:700-6. 

  23. Stoffel EM, Ford B, Mercado RC, Punglia D, Kohlmann W, Conrad P, et al. Sharing genetic test results in Lynch syndrome: communication with close and distant relatives. Clin Gastroenterol Hepatol 2008;6:333-8. 

  24. Han SA, Park SK, Ahn SH, Son BH, Lee MH, Choi DH, et al. The Breast and Ovarian Cancer Risks in Korea Due to Inherited Mutations in BRCA1 and BRCA2: A Preliminary Report. J Breast Cancer 2009;12:92-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