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염에서 생장하는 젓갈 유래 Bacteria의 분리 및 고염에서의 생육 특성
Isolation of Bacteria from Jeotgal Using High-salt-content Media and Their Growths in High-salt Condition 원문보기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v.39 no.3, 2011년, pp.294 - 300  

안두현 (경기대학교 식품생물공학과) ,  이종훈 (경기대학교 식품생물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젓갈의 숙성에 미치는 bacteria의 역할 규명을 목표로 고염에서 생장하며 단백질 분해활성을 나타내는 bacteria를 멸치젓과 새우젓으로부터 분리하여 이들의 고염에서의 생장을 검토하였다. NaCl이 15% 첨가된 고체배지를 이용하여 bacteria를 분리한 경우, 멸치젓으로부터는 Bacillus 및 근연속이, 새우젓으로부터는 Staphylococcus 속이 우점으로 분리되었고, 멸치젓으로부터 분리된 Virgibacillus halodenitrificans와 새우젓으로부터 분리된 Halobacillus trueperi가 단백질 분해활성을 나타내었다. NaCl이 8% 첨가된 고체배지에서 단백질 분해활성을 나타낸 멸치젓 유래 bacteria는 Vb. halodenitrificans를 중심으로 한 Bacillus 근연 속으로 NaCl 농도 15%에서 생장하는 bacteria의 군집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 그러나 NaCl이 8% 첨가된 고체배지에서 단백질 분해 활성을 나타낸 새우젓 유래 bacteria는 NaCl 농도 15%에서 분리된 우점균 Staphylococcus, Salinicoccus, Salimicrobium 속이 아닌 Bacillus 속과 Planococcus, Salinivibrio 속으로 확인되어 새우젓의 우점종은 단백질 분해와 큰 관련이 없는 것으로 추정된다. 멸치젓의 우점종 Vb. halodenitrificans와 새우젓의 우점종 Staphylococcus equorum은 NaCl이 25% 첨가된 배지에서도 생장을 나타내어 젓갈 숙성과 높은 관련성을 가지고 있으며, 종균으로 이용될 높은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roteolytic bacteria were isolated from Myeolchi-jeotgal and Saeu-jeotgal using high-salt-content media and their growths in the media containing 25% NaCl were monitored to draw the role of bacteria in the ripening of jeotgal. The most populous genus in Myeolchi-jeotgal detected on agar media with 1...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자들의 선행연구에서 젓갈에서 분리한 우점 균주를 대상으로 다양한 농도의 NaCl이 첨가된 nutrient agar에서의 단백질 분해활성을 검토한 결과, 15% 이상의 농도에서는 단백질 분해활성을 확인할 수 없었다[8].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15% 이상의 NaCl 농도에서 단백질 분해활성을 나타내는 균주의 선발을 시도하였다. NaCl 15%와 skim milk 2%가 첨가된 nutrient agar와 marine agar에서 생장한 colony들 중, 멸치젓으로부터 총 30균주가 순수분리되었고, 그 중 3균주가 투명환을 형성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젓갈의 숙성에 미치는 bacteria의 역할 규명을 목표로 고염에서 생장하며 단백질 분해활성을 나타내는 bacteria를 분리하여 젓갈 숙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추정되는 우점균의 고염환경에서의 생장을 검토하였다.

가설 설정

  • 1) 고염 식품이라는 점에서 과거에 비해 기호도 및 선호도가 떨어지고 있으며, 2) 발효숙성기간이 길며, 3) 품질의 규격화가 어렵다. 또한 4) 상품수명이 짧고, 5) 위생적 품질관리가 어려우며, 6) 수송 및 취급이 용이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젓갈이란 무엇인가? 젓갈은 어패류의 근육, 내장 또는 생식소 등에 10~30%의 식염을 첨가하여 부패 변질을 억제하면서 일정기간 숙성 발효시킨 전통 수산가공식품으로, 장류, 침채류와 더불어 우리나라 3대 발효식품 중 하나이다. 유리아미노산 및 정미성분이 풍부하여 단백질 공급원으로써 뿐만 아니라 김치의 부원료나 조미료로써 한국인의 식생활에서 빼놓을 수 없는 주요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고염 조건에서의 분리 균주들의 생육은 무엇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는가? 고염 조건에서의 분리 균주들의 생육은 25%(w/v)의 NaCl을 첨가한 nutrient medium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3% NaCl이 첨가된 nutrient medium에서 전배양한 균주들을 15% NaCl이 첨가된 nutrient medium에 접종하여 적응시킨 다음, NaCl이 25% 첨가된 본배양 배지에 1%(v/v) 접종한 후, 30℃에서 정치배양과 교반배양을 통하여 50일간 배양하면서 생균수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젓갈의 숙성에 미치는 bacteria의 역할 규명을 위해 고염에서 생장하며 단백질 분해 활성을 나타내는 bacteria를 분리하여 고염 생장을 실험한 결과는 무엇인가? 젓갈의 숙성에 미치는 bacteria의 역할 규명을 목표로 고염에서 생장하며 단백질 분해활성을 나타내는 bacteria를 멸치젓과 새우젓으로부터 분리하여 이들의 고염에서의 생장을 검토하였다. NaCl이 15% 첨가된 고체배지를 이용하여 bacteria를 분리한 경우, 멸치젓으로부터는 Bacillus 및 근연속이, 새우젓으로부터는 Staphylococcus 속이 우점으로 분리되었고, 멸치젓으로부터 분리된 Virgibacillus halodenitrificans와 새우젓으로부터 분리된 Halobacillus trueperi가 단백질 분해활성을 나타내었다. NaCl이 8% 첨가된 고체배지에서 단백질 분해활성을 나타낸 멸치젓 유래 bacteria는 Vb. halodenitrificans를 중심으로 한 Bacillus 근연 속으로 NaCl 농도 15%에서 생장하는 bacteria의 군집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 그러나 NaCl이 8% 첨가된 고체배지에서 단백질 분해 활성을 나타낸 새우젓 유래 bacteria는 NaCl 농도 15%에서 분리된 우점균 Staphylococcus, Salinicoccus, Salimicrobium 속이 아닌 Bacillus 속과 Planococcus, Salinivibrio 속으로 확인되어 새우젓의 우점종은 단백질 분해와 큰 관련이 없는 것으로 추정된다. 멸치젓의 우점종 Vb. halodenitrificans와 새우젓의 우점종 Staphylococcus equorum은 NaCl이 25% 첨가된 배지에서도 생장을 나타내어 젓갈 숙성과 높은 관련성을 가지고 있으며, 종균으로 이용될 높은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hn, Y.-S., C.-J. Kim, and S.-H. Choi. 1990. Production of protease by the extreme halophile, Halobacterium sp. J. Korean Agric. Chem. Soc. 33: 247-251. 

  2. Cha, Y.-J., S.-Y. Cho, K.-S. Oh, and E.-H. Lee. 1983. Studies on the processing of low salt fermented sea foods (2. The taste compounds of low salt fermented sardine). Bull. Korean Fish. Soc. 16: 140-146. 

  3. Chun, J., J.-H. Lee, Y. Jung, M. Kim, S. Kim, B. K. Kim, and Y.-W. Lim. 2007. EzTaxon: a web-based tool for the identification of prokaryotes based on 16S ribosomal RNA gene sequences. Int. J. Syst. Evol. Microbiol. 57: 2259-2261. 

  4. Evers, D. J. and D. J. Carroll. 1998. Ensiling salt-preserved shrimp waste with grass straw and molasses. Anim. Feed Sci. Technol. 71: 241-249. 

  5. Franca, L., F. A. Rainey, M. F. Nobre, and M. S. da Costa. 2006. Salinicoccus salsiraiae sp. nov.: a new moderately halophilic gram-positive bacterium isolated from salted skate. Extremophiles 10: 531-536. 

  6. Fukami, K., M. Satomi, Y. Funatsu, K.-I. Kawasaki, and S. Watabe. 2004. Characterization and distribution of Staphylococcus sp. implicated for improvement of fish sauce odor. Fisheries Sci. 70: 916-923. 

  7. Fukami, K., Y. Funatsu, K. Kawasaki, and S. Watabe. 2004. Improvement of fish-sauce odor by treatment with bacteria isolated from the fish-sauce mush (Moromi) made from frigate mackerel. J. Food Sci. 69: FMS45-49. 

  8. Guan, L., K. H. Cho, and J.-H. Lee. 2011. Analysis of the cultivable bacterial community in jeotgal, a Korean salted and fermented seafood, and identification of its dominant bacteria. Food Microbiol. 28: 101-113. 

  9. Hur, S. H. 1996. Critical review on the microbiological standardization of salt-fermented fish product. J. Korean Soc. Food Sci. Nutr. 25: 885-891. 

  10. Jeun, J.-H., H.-D. Kim, H.-S. Lee, and B.-H. Ryu. 2004.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Lactobacillus sp. produced gaminobutyric acid (GABA) from traditional salt fermented anchovy. Korean J. Food Nutr. 17: 72-79. 

  11. Jung, Y. J. and D. H. Park. 2004. Physiology and growth properties of halophilic bacteria isolated from jeotgal (salted seafood). Korean J. Microbiol. 40: 263-268. 

  12. Kim, H.-J., N.-K. Lee, S.-M. Cho, K.-T. Kim, and H.-D. Paik. 1999. Inhibition of spoilage and pathogenic bacteria by lacticin NK24, a bacteriocin produced by Lactococcus lactis NK24 from fermented fish food.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1035-1043. 

  13. Kim, S.-J., S.-J. Ma, and H.-L. Kim. 2005. Probiotic properties of lactic acid bacteria and yeasts isolated from Korean traditional food, Jeot-gal. Korean J. Food Preserv. 12: 184-189. 

  14. Lane, D. J. 1991. 16S-23S rRNA sequencing, pp. 115-175. In E. Stackebrandt and M. Goodfellow (ed.), Nucleic Acid Techniques in Bacterial Systematics. Wiley, New York. 

  15. Lee, K. H. 1969. Microbiological and enzymological studies on the flavor components of sea food pickles. J. Korean Agric. Chem. Soc. 11: 1-6. 

  16. Lee, J.-G. and W.-K. Choe. 1974. Studies on the variation of microflora during the fermentation of anchovy, Engraulis japonica. Bull. Korean Fish. Soc. 7: 105-114. 

  17. Lee, C.-H. 1989. Fish fermentation technology. Korean J. Appl. Microbiol. Bioeng. 17: 645-654. 

  18. Lee, W. D. 2001. Recent development of jeotgal (traditional Korean fermented seafood) and its future. Food Ind. Nutr. 6: 23-27. 

  19. Lee, N.-K., H.-W. Kim, S.-Y. Choi, and H.-D. Paik. 2003. Some probiotic properties of some lactic acid bacteria and yeasts isolated from Jeotgal.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31: 297-300. 

  20. Lee, J.-S., J.-M. Lim, K. C. Lee, J.-C. Lee, Y.-H. Park, and C.-J. Kim. 2006. Virgibacillus koreensis sp. nov., a novel bacterium from a salt field, and transfer of Virgibacillus picturae to the genus Oceanobacillus as Oceanobacillus picturae comb. nov. with emended descriptions. Int. J. Syst. Evol. Microbiol. 56: 251-257. 

  21. Levenga, H., P. Donnelly, N. Blijlevens, P. Verweij, H. Shirango, and B. de Pauw. 2004. Fatal hemorrhagic pneumonia caused by infection due to Kytococcus sedentarius-a pathogen of passenger? Ann. Hematol. 83: 447-449. 

  22. Longshaw, C. M., J. D. Wright, A. M. Farrell, and K. T. Holland. 2002. Kytococcus sedentarius, the organism associated with pitted keratolysis, produces two keratin-degrading enzymes. J. Appl. Microbiol. 93: 810-816. 

  23. Place, R. B., D. Hiestand, H. R. Gallmann, and M. Teuber. 2003. Staphylococcus equorum subsp. linens, subsp. nov., a starter culture component for surface ripened semi-hard cheeses. Syst. Appl. Microbiol. 26: 30-37. 

  24. Sands, A. and E. V. Crisan. 1974. Microflora of fermented Korean seafoods. J. Food Sci. 39: 1002-1005. 

  25. Satomi, M., B. Kimura, M. Mizoi, T. Sato, and T. Fujii. 1997. Tetragenococcus muriaticus sp. nov., a new moderately halophilic lactic acid bacterium isolated from fermented squid liver sauce. Int. J. Syst. Bacteriol. 47: 832-836. 

  26. Sims, D., T. Brettin, J. C. Detter, C. Han, A. Lapidus, A. Copeland, T. G. D. Rio, M. Nolan, F. Chen, S. Lucas, H. Tice, J.-F. Cheng, D. Bruce, L. Goodwin, S. Pitluck, G. Ovchinnikova, A. Pati, N. Ivanova, K. Mavromatis, A. Chen, K. Palaniappan, P. D'haeseleer, P. Chain, J. Bristow, J. A. Eisen, V. Markowitz, P. Hugenholz, S. Schneider, M. Goker, R. Pukall, N. C. Kyrpides, and H.-P. Klenk. 2009. Complete genome sequence of Kytococcus sedentarius type strain $(541^T)$ . Stand. Genomic Sci. 1: 12-20. 

  27. Spring, S., W. Ludwig, M. C. Marquez, A. Ventosa, and K.- H. Schleifer. 1996. Halobacillus gen. nov., with descriptions of Halobacillus litoralis sp. nov. and Halobacillus sp. nov., and transfer of Sporosarcina halophila to Halobacillus halophilus comb. nov. Int. J. Syst. Bacteriol. 46: 492-496. 

  28. Um, M.-A. and C.-H. Lee. 1996.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Staphylococcus sp. from Korean fermented fish products. J. Microbiol. Biotechnol. 6: 340-346. 

  29. Yoon, J.-H., K. H. Kang, and Y.-H. Park. 2002. Lentibacillus salicampi gen. nov., sp. nov., a moderately halophilic bacterium isolated from a salt field in Korea. Int. J. Syst. Evol. Microbiol. 52: 2043-2048. 

  30. Yoon, J.-H., T.-K. Oh, and Y.-H. Park. 2004. Transfer of Bacillus halodenitrificans Denariaz et al. 1989 to the genus Virgibacillus as Virgibacillus halodenitrificans comb. nov. Int. J. Syst. Evol. Microbiol. 54: 2163-2167. 

  31. Yoon, J.-H., S.-J. Kang, K.-H. Oh, and T.-K. Oh. 2009. Salimicrobium flavidum sp. nov., isolated from a marine solar saltern. Int. J. Syst. Evol. Microbiol. 59: 2839-284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