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세트산 처리 황다랑어(Thunnus albacares) 껍질 유래 젤라틴으로 제조한 바이오필름의 물리적 특성
Physical Properties of Biofilm Manufactured from Gelatin of Yellowfin Tuna Thunnus albacares Skin Treated with Acetic Acid 원문보기

한국수산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v.44 no.6, 2011년, pp.591 - 596  

김주연 (부경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도형 (부경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선봉 (부경대학교 식품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physical properties of biofilms manufactured from yellowfin tuna Thunnus albacares skin gelatin with the aim of developing a biofilm from fisheries by-products to replace mammalian sources. The physical properties of biofilms from yellowfin tuna gelatin were compared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3% (w/v)의 황다랑어 껍질 젤라틴 수용액 25 mL을 10×10×0.5 cm의 아크릴 틀 위에 붓고 25±1℃, RH 50±1% 의 조건에서 24시간 동안 건조(WFO-700, EYELA, Japan)시켜 0.1 mm 두께의 필름을 제조하였다.
  • 각각의 필름의 물에 대한 안정성 실험은 Kim et al. (2005)의 방법을 일부 변경하여 측정하였다. 실험에 앞서 105℃ 의 건조기에서 24시간 건조하여 각각의 필름을 1×1 ㎝로 자른 후 초기의 필름 무게를 측정하였다.
  • , Korea) 에서 6시간 동안 가열하여 젤라틴을 추출하였다.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해 여과지(5A, 110 mm)를 이용하여 여과 한 뒤 여과된 액을 농축하였다. 농축된 용액을 70±1℃에서 건조(WFO-700, EYELA, Japan) 시킨 뒤 100 mesh로 분쇄하여 분말상태로 제조하였다.
  • 그리고 b 값은 청색과 황색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b = -80(blueness)에서 b = 70 (yellowness)을 나타낸다. 색도 측정은 필름 시료를 색좌표 값이 L = 93.73, a = -0.12 및 b = 0.11 인 표준 백색판(calibration plate) 위에 놓고, 혼합비율이 동일한 필름 3종류를 각 3회씩 3회 반복 측정하여 평균 및 표준오차 값으로 표시하였다. 이들 Hunter L, a 및 b 값으로부터 표준 백색판과의 총색차(total color difference ; ΔE)와 황색지표(yellowness index ; YI)는 각각의 식[ΔE = [(Lfilm-Lstandard)2 + (afilm-astandard)2 + (bfilm-bstandard)2]0.
  • 시간 경과 후 바이알에 남은 물을 버리고 50±1℃, RH 50±1%의 조건에서 3일간 건조 후 필름의 무게를 측정하였다.
  • 필름 무게의 오차를 최소화 하기 위해 이들을 동일한 용량의 바이알 병에 넣고 서로 다른 종류(pH 3, 5, 7, 9, 11)의 물(10 mL)에 침지 하였다. 실온에서 1일에서 15일간 5일 간격으로 필름의 무게 변화를 측정하였다. 시간 경과 후 바이알에 남은 물을 버리고 50±1℃, RH 50±1%의 조건에서 3일간 건조 후 필름의 무게를 측정하였다.
  • 실험에 사용된 젤라틴은 Cho et al. (2005) 의 방법을 약간 변형하여 제조하였다. 육을 제거한 황다랑어 껍질을 10×30 mm 크기로 자른 다음, 10배량(v/w)의 0.
  • 실험에 앞서 105℃ 의 건조기에서 24시간 건조하여 각각의 필름을 1×1 ㎝로 자른 후 초기의 필름 무게를 측정하였다.
  • 열 안정성은 필름의 물성에 영향하는 인자의 하나이므로 Fig. 4에 필름의 열 안정성을 알아보기 위해 질소 순환조건에서 Thermogravimetric analysis (TGA)를 분석하여 나타내었다. 그 결과, 황다랑어 젤라틴 필름의 TGA 곡선은 250℃부근에서 분해가 일어나고 있고, 돼지 젤라틴 필름의 분해는 270℃ 부근에서 일어남을 보여주고 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황다랑어 껍질을 아세트산으로 전처리하여 추출한 젤라틴을 사용하여 바이오필름을 제조하여 인장강도, 신장율, 색도, 불투명도, 수분 안정도 및 열적 특성 등의 물리적 특성을 돼지 젤라틴으로 제조한 바이오 필름과 비교하여 해석하였다.
  • 제조된 각각의 필름(2×2 cm)의 색도는 색차계(JC801, Color Techno System Co., Japan)를 사용하여 Hunter scale에 의한 L (lightness), a (redness) 및 b (yellowness) 값을 측정하였다.
  • 제조된 각각의 필름의 두께는 0.001 mm의 정밀도를 지니는 micrometer (Digimatic Micrometer 293-330, Mitutoyo , Japan)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 제조된 필름의 열안정성과 열적거동을 알 수 있는 TGA 분석은 Thermogravimetric analyzer (SDT Q600, TA, US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측정은 질소 순환조건에서 시료를 20℃에서 600℃까지 100 ml/min의 속도로 측정하였다.
  • 실험에 앞서 105℃ 의 건조기에서 24시간 건조하여 각각의 필름을 1×1 ㎝로 자른 후 초기의 필름 무게를 측정하였다. 필름 무게의 오차를 최소화 하기 위해 이들을 동일한 용량의 바이알 병에 넣고 서로 다른 종류(pH 3, 5, 7, 9, 11)의 물(10 mL)에 침지 하였다. 실온에서 1일에서 15일간 5일 간격으로 필름의 무게 변화를 측정하였다.
  • (1997)의 방법을 일부 변경하여 측정하였다. 필름을 사각형으로 자른 후 이를 사각의 분광 분석용 quartz cell의 빛 통과 영역에 부착시키고, 분광광도계(UV-1800, Shimadzu, Japan)를 이용하여 100-800 nm의 파장 영역에서 빛을 통과시키며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불투명도는 식 [Opacity = A600/χ]에 의해 계산하였다.
  • 필름의 불투명도는 Han et al. (1997)의 방법을 일부 변경하여 측정하였다. 필름을 사각형으로 자른 후 이를 사각의 분광 분석용 quartz cell의 빛 통과 영역에 부착시키고, 분광광도계(UV-1800, Shimadzu, Japan)를 이용하여 100-800 nm의 파장 영역에서 빛을 통과시키며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 은 600nm에서의 흡광도 값을 나타내며, χ는 film의 두께를 나타낸다. 필름의 불투명도는 동일 조건에서 3회 반복하여 평균 및 표준오차를 산출하였다.
  • 황다랑어 껍질 젤라틴으로 제조한 필름과 육상동물 유래 젤라틴인 돼지 젤라틴 필름을 제조하여 인장강도 및 신장률을 측정하여 Fig. 1에 나타내었다. 인장강도 및 신장률은 황다랑어 젤라틴 필름이 69.

대상 데이터

  • 5 cm)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필름의 물리적 특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돼지껍질 gelatin(EC No 232-554-6, Type A :From porcine skin, Sigma, USA)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모든 시약은 analytical grade 이다.
  • 필름의 형판으로는 아크릴로 제작(10×10×0.5 cm)하여 사용하였다.
  • 황다랑어(Thunnus albacares) 껍질로부터 추출, 정제한 젤라틴을 사용하여 필름으로 만들어 사용하였다. 필름의 형판으로는 아크릴로 제작(10×10×0.

데이터처리

  • 각각의 시료에 대해 평균±표준오차로 나타내었으며, 각 군에 따른 유의차 검증은 분산분석을 한 후 α=0.05 수준에서 Duncan's multiple range test에 따라 분석하였다.
  • 또한 L은 universal testing machine 초기 grip 사이의 거리(mm)이며, ΔL은 필름이 절단될 때까지 움직인 grip간의 거리(mm)를 나타낸다. 인장강도 및 신장률은 동일 조건에서 3번 반복 실험하여 평균 및 표준오차를 산출하였다.
  • 여기서 S는 실험 후 남아 있는 필름의 무게 퍼센트 값이며, W1은 침지 전 필름의 무게이고, W2는 침지 후의 무게이다. 필름의 물에 대한 안정성 실험은 동일 조건에서 3회 반복하여 평균 및 표준오차를 산출하였다.

이론/모형

  • 필름(1×8 cm)을 ASTM (D 822-97, 1999) 표준법에 따라 Universal Testing Machine (Instron 1011, Instron, USA)를 사용하여 load cell 5 kg, 5 mm/sec로 인장강도 및 신장률을 측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바이오 필름은 어떠한 성분들로 만들어지는가? , 2007). 바이오 필름은 단백질, 다당류, 지질 또는 이들 성분들의 결합으로부터 만들어 지는데, 이들 중, 단백질에 의한 바이오 필름이 식품용 가식성 필름의 경우 영양적 공급면에서 이점을 가지고 있고, 의약품용 생체접착성 면에서는 접착성 등 물리적 성질이 우수한 이점을 가지고 있다(Ou et al., 2004).
젤라틴을 소재로 한 필름은 젤라틴의 어떠한 특징으로 인해 사용되었는가? 젤라틴은 식품산업에서의 겔화제, 증점제, 안정제 등으로 식품의 기능과 물성 증진 향상과 아울러 피막제 등 필름으로도 사용되고 있다(Arvanitoyannis, 2002). 또한 영양성과 생분해성으로 인하여 가식성 필름 및 친환경 생분해성 필름으로서 높은 관심을 얻고 있을 뿐만 아니라 식품의 저장성 향상에도 기여하고 있다(Gennadios et al., 1997; Jongjareonrak et al.
단백질에 의한 바이오 필름의 장점은? , 2007). 바이오 필름은 단백질, 다당류, 지질 또는 이들 성분들의 결합으로부터 만들어 지는데, 이들 중, 단백질에 의한 바이오 필름이 식품용 가식성 필름의 경우 영양적 공급면에서 이점을 가지고 있고, 의약품용 생체접착성 면에서는 접착성 등 물리적 성질이 우수한 이점을 가지고 있다(Ou et al., 200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Arvanitoyannis IS. 2002. Formation and properties of collagen and gelatin films and coatings. In: Gennadios A, Ed. Protein-based Films and Coatings. CRC Press, Boca Raton, Florida, U.S.A., 275-304. 

  2. ASTM. 1999. Standard test methods for tensile properties of thin plastic sheeting (D 882-97). In: Annual Book of ASTM Standards. American society for testing and materials, Philadelphia, PA, U.S.A., 163-171. 

  3. Bateman JF, Lamande SR and Ramshaw JAM. 1996. Collagen superfamily. In: Comper. W.D. Ed. Extracellular Matrix. Molecular Components and Interactions, Harwood Academic, U.K., 22-27. 

  4. Cao N, Fu Y and He J. 2004. Preparation and physical properties of soy protein isolate and gelatin composite films. Food Hydrocoll 18, 573-579. 

  5. Cao N, Fu Y and He J. 2007. Preparation and physical properties of soy protein isolate and gelatin composite films. Food Hydrocoll 21,1153-1162 

  6. Carvalho RA and Grosso CRF. 2004. Characterization of gelatin based films modified with transglutaminase, glyoxal and formaldehyde. Food Hydrocoll 18, 717-726. 

  7. Carvalho RA, Sobral PJA, Thomazine M, Habitante AMQB, Gimenez B, Gomez-Guillen MC, Montero P. 2008. Development of edible films based on differently processed Atlantic halibut (Hippoglossus hippoglossus ) skin gelatin. Food Hydrocoll 22, 1117-1123. 

  8. Cho SM, Gu YS and Kim SB. 2005. Extracting optimization and physical properties of yellowfin tuna (Thunnus albacares ) skin gelatin compared to mammalian gelatins. Food Hydrocoll 19, 221-229. 

  9. Choi S and Regenstein JM. 2000.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fish gelatin. J Food Sci 65, 194-199. 

  10. Gennadios R, Hanna MA and Kurth LB. 1997. Application of edible coatings on meats, poultry and seafoods: a review. Lebensm-Wisse U-Technol 30, 337-350. 

  11. Gilsenan PM. and Ross-Murphy SB. 2000. Rheology characterization of gelatins from mammalian and marine sources. Food Hydrocoll 14,191-195. 

  12. Gomez-Guillen MC, Turnay J, Fernandez-Dıaz MD, Ulmo N, Lizarbe MA and Montero P. 2002. Structural and physical properties of gelatin extracted from different marine species: a comparative study. Food Hydrocoll 16, 25-34. 

  13. Gomez-Guillen MC, Ihl M, Bifani V, Silva A and Montero P. 2007. Edible films made from tuna-fish gelatin with antioxidant extracts of two different murta ecotypes leaves (Ugnimolinae turcz ). Food Hydrocoll 21, 1133-1143. 

  14. Han JH and Floros JD. 1997. Casting antimicrobial packaging films and measuring their physical properties and antimicrobial activity. J Plastic Film Sheeting 13. 287-298. 

  15. Haug IJ, Draget KI and Smidsrod O. 2004. Physical and rheological properties of fish gelatin compared to mammalian gelatin. Food Hydrocoll 18, 203-213. 

  16. Jongjareonrak A, Benjakul S, Visessanguan W and Tanaka M. 2006a. Characterization of edible films from skin g elatin of brownstripe red snapper and bigeye snapper. Food Hydrocoll 20, 492-501. 

  17. Jongjareonrak A, Benjakul S, Visessanguan W and Tanaka M. 2006b. Effects of plasticizers on the properties of edible films from skin gelatin of bigeye snapper and brownstripe red snapper. Eur Food Res Technol 222, 229-235. 

  18. Kim BH and Park JW. 2005. Study on the Physical and Thermal Properties of the Chitosan/Gelatin Blend.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30-37 

  19. Kim SW, Nimni ME, Yang Z and Han B. 2005. Chitosna/ Gelatin-Based Films Crosslinked by Proanthocyanidin. J Biomed Mater Res B Appl Biomater 75, 442-450. 

  20. Montero P, Borderias J, Turnay J and Leyzarbe MA. 1990. Characterization of hake(Merluccius merluccius L.) and trout (Salmo irideus gibb ) collagen. J Agric Food Chem 38, 604-609. 

  21. Muyonga JH, Cole CGB and Duodu KG. 2004. Extraction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ation of Nile perch (Latesniloticus ) skin and bone gelatin. Food Hydrocoll 18, 581-592. 

  22. Ou SY, Kwok KC and Kang YJ. 2004. Changes in in vitro digestibility and available lysine of soy protein isolate after formation of film. J Food Eng 64, 301-305. 

  23. Sobral PJA, Menegalli FC, Hubinger MD and Roques MA. 2001. Mechanical, water vapor barrier and thermal properties of gelatin based edible films. Food Hydrocoll 15, 423-432 

  24. Vanina FM, Sobrala PJA, Menegallib FC, Carvalhoa RA and Habitante AMQB. 2005. Effects of plasticizers and their concentrations on thermal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gelatin-based films. Food Hydrocoll 19, 899-907. 

  25. Yoon JH, Woo JW, Rho HJ, Ahn JR, Yu SJ, Lee YB, Moon CK and Kim SB. 2008. Optimization of adhesive strength to plywood of gelatin processed from dorsal skin of yellowfin tuna (Thunnus albacares ). Korean J Chem Eng 25, 134-138 . 

  26. Zhou P, Mulvaney SJ and Regenstein JM. 2006. Properties of Alaska pollock skin gelatin: a comparison with tilapia and pork skin gelatins. J Food Sci 71, 313-32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