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장흥마씨 출토복식의 특징과 연대추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Characteristics and Dating of Excavated Costume of The Ma Family in JangHeung 원문보기

대한가정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v.49 no.8, 2011년, pp.63 - 71  

안명숙 (광주대학교 의상디자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xcavated costume of Jangheung Ma's included jeogoris, skirts, and pants, and a jungchimak(중치막), jangot(장옷), cheolrik(철릭), and jikryeong(직령). Most of the items were made of silk and cotton. The clothes for shrouding were plainer than those found in other regions. The method of sewing was mostly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저고리는 옷깃과 소매 형태로 시기를 구분할 수 있는데, 주로 조선 초기부터 중기양식인 목판깃과 칼깃이 주를 이루고 직선형 배래인 점을 보면 17세기 이전의 양식임을 알 수 있겠다. 반면에 중치막, 철릭, 직령 등에는 시대를 구분지을 수 있는 요소가 두드러지게 나타나므로 본 출토유물의 시대를 본격적으로 규정하여 보겠다. 중치막은 임란 후부터 등장하는 옷으로, 소매와 무의 형태로 구분하기는 어려운 부분이 있어, 시대를 구분짓는 진동과 소매너비를 보면 17세기 초는 그 차이가 5㎝ 정도이고, 그 이후는 10㎝, 20㎝ 로 차이가 크다.
  • 의복의 양식으로 봐서는 주로 17세기 초부터 말경 포류의 특징을 나타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광주 전남지역에서 출토된 복식 중 온전한 수의 일습(안명숙, 2010)을 확인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므로, 이 시기 여인의 염습상태를 살펴보고, 염습의로 사용된 의복의 종류와 형태적 특징 및 바느질법 등을 통해 연대를 추정해 보도록 하겠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염습의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염습의에는 시신에 직접 입혀지는 습의(襲衣)와 소렴, 대렴이 있다. 습의는 수의(壽衣)로, 새로 제작된 새옷(新衣)를 사용하거나 살았을 때 입었던 옷(遺衣)을 사용한다.
소렴과 대렴에는 무엇이 포함되는가? 습의는 수의(壽衣)로, 새로 제작된 새옷(新衣)를 사용하거나 살았을 때 입었던 옷(遺衣)을 사용한다. 소렴과 대렴에는 본인의 평상시 옷이나 평소 가까웠던 주변 인물들인 배우자 및 친지들의 의복이 포함되기도 한다.
염습의 중 습의는 무엇인가? 염습의에는 시신에 직접 입혀지는 습의(襲衣)와 소렴, 대렴이 있다. 습의는 수의(壽衣)로, 새로 제작된 새옷(新衣)를 사용하거나 살았을 때 입었던 옷(遺衣)을 사용한다. 소렴과 대렴에는 본인의 평상시 옷이나 평소 가까웠던 주변 인물들인 배우자 및 친지들의 의복이 포함되기도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구남옥(2002). 조선시대 남자바지에 관한 연구. 복식, 52(7), 한국복식학회, 50-54. 

  2. 권준희, 권영숙(2009). 조선시대 남성분묘 출토 적삼 고찰. 복식, 59(3), 한국복식학회, 133. 

  3. 경기도박물관(2003). 동래정씨묘 출토복식 조사보고서. 경기도: 경기도박물관. 

  4. 송미경(2007). 김확(1572-1633) 묘 유물울 통해 본 17세기 남자 포에 관한 연구. 복식, 57(7), 한국복식학회, 103. 

  5. 안명숙(2007). 우리 옷 이야기. 서울: 예학사. 

  6. 안명숙(2010). 전남 곡성군 장흥마씨 출토여복에 관한 연구. 남도민속연구, 20, 남도민속학회, 109-135. 

  7. 안명숙, 조효순(2001). 전남영암출토 최원립장군 출토복식에 대한 고찰. 한복문화, 4(4), 한복문화학회, 16. 

  8. 이은주(1999). 16세기 중엽 여성 염습의의 일례. 복식, 48, 한국복식학회, 164. 

  9. 장인우(1995). 조선중기 출토복식 중 일반복식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 홍나영(2008). 출토복식을 통해 본 조선시대 남자 편복포의 시대구분. 복식, 58(5), 한국복식학회, 120-13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