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의 감성과 선호하는 주거 실내공간이미지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Preferred Housing Interior Image and Sensibility of University Students 원문보기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v.22 no.6, 2011년, pp.97 - 106  

박지민 (연세대학교 주거환경학과) ,  윤정숙 (연세대학교 주거환경학과) ,  박은선 (연세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ue to the belief that housing for university students is uniform materialistic and non-human, a variety of needs and preferences of the residents is becoming more important. In order to more positively identify the user's emotional needs, a design that meets the needs of the resident's living spac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대학생의 실내공간에 대한 감성, 선호하는 실내공간이미지 및 실내디자인요소를 파악하기 위하여, 서울 및 수도권의 거주하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은 성별과 전공2)의 고른 분포를 위하여 표본의 층을 분리하고, 각 층별 표본을 무작위로 표집하는 유층적 무작위 표집(Stratified random sampling)방법을 이용하였으며, 조사기간은 2011년 9월 1일에서 10일에 걸쳐 총 240부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이 가운데 불성실하게 응답하였거나 기재 내용이 일부 빠진 16부의 설문지를 제외한 총 224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 이를 종합해보면 실내분위기를 형성하는데 있어서 실내디자인요소는 고정적요소인 바닥, 벽, 천장, 가동적/장식적 요소인 가구, 조명, 소품, 패브릭으로 분류하고, 이들의 재료와 색상에 대해 다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고정적인 요소에서는 바닥과 벽의 마감재료와 색상에 대한 선호와 가동적/장식적요소인 가구, 소품, 패브릭 등의 선호하는 색상으로 제한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실내공간에 대한 감성, 선호하는 실내공간이미지, 실내디자인요소의 특성을 파악하고 감성을 유형화하여 감성유형에 따른 실내공간이미지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향후 주택의 주요 소비계층이 될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내공간에 대한 감성과 선호하는 실내공간이미지 특성을 파악하여 거주자 요구에 대응하는 주택의 기본 디자인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둘째, 대학생의 감성을 유형화하고 유형별 특성을 파악한다. 셋째, 대학생의 감성유형에 따른 실내공간이미지 특성을 파악한다.
  • 장식적인 실내디자인요소는 화이트, 블랙 계열의 무채색을 메인색상으로 하고, 레드&와인, 블루, 오렌지&옐로우 등으로 포인트를 주는 것을 선호하였다. 이는 대학생들이 다양한 재료와 색상을 실내공간에 적극적으로 사용함으로써 개성적이고 자유로운 자신만의 이미지를 구축할 수 있는 공간을 표현하고자 함을 알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정적 실내디자인 요소와 가동적/장식적 실내디자인 요소에 대해 각각 무엇을 조사하였는가? 선호하는 실내디자인요소는 크게 고정적 실내디자인 요소와 가동적/장식적 실내디자인 요소로 나누었다. 고정적 실내디자인요소는 바닥과 벽의 실내마감재료 선호도와 선호하는 색상을 조사하였고, 가동적/장식적 실내디자인요소는 선호하는 메인색상과 포인트색상에 대한 조사를 실시 하였다. 재료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기 위하여 각 재료의 이미지꼴라쥬를 보기카드로 제시하여 Likert 5점 척도로 측정하였고, 색상은 우드와 관련된 색상 6가지, 그 외 대표적인 색상 7가지를 제시하여6) 우선순위를 측정하였다.
감성평가방법은 어떻게 나눌 수 있는가? 감성평가방법은 비언어적(Non-Verbal) 평가방법과 언어 적(Verbal)평가방법으로 나눌 수 있다. 비언어적 평가방법은 얼굴 표정, 음성, 제스처 등 외부로 나타난 감정 표현을 분석하거나 생리적 반응을 과학적 실험장비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평가방법이다.
비언어적 평가방법은 어떤 평가방법인가? 감성평가방법은 비언어적(Non-Verbal) 평가방법과 언어 적(Verbal)평가방법으로 나눌 수 있다. 비언어적 평가방법은 얼굴 표정, 음성, 제스처 등 외부로 나타난 감정 표현을 분석하거나 생리적 반응을 과학적 실험장비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평가방법이다. 언어적 평가방법은 자기보고식 질문지나 형용사 어휘 등을 사용하여 자신의 감정 상태를 기술하는 방법이다(Jung, 200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손유찬 . 함정도 (2004). 실내디자인의 이해. 서울: 기문당 

  2. 송지준 (2004). 논문작성에 필요한 SPSS/ AMOS 통계분석방법. 서울: 21세기사. 

  3. 윤복자.지순 (1992). 실내환경심리행태론-실내건축 및 디자인을 위한 행동과학 이론과 실제, 서울: 연세대학교출판부. 

  4. 오인욱(2007). 실내계획론. 서울: 기문당. 

  5.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9a). 실내디자인각론. 서울: 기문당. 

  6.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9b). 이성 그 너머의 감성공간디자인. 서울: 기문당. 

  7. Cha, J., & Noguchi, K. (2006). Color Preference Compared between in Korea and Japa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lor Studies, 20(1), 1-10. 

  8. Jung, H. (2008). A Study on the Evaluation Method for the Synestheric design through the meaning of Sensibility and Vocabulary System. Hongik University Ph. D. Dissertation. 

  9. Kim, K. (2004). Classification of interior design Style and Corresponding Characteristics. Yonsei University Ph. D. Dissertation. 

  10. Kim, D. (2009). The Method of Hierarchical Emotion Evaluation using Intuitive Categoriza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Emotion & Sensibility, 12(1), 45-54. 

  11. Kim, J. & Lee, H. (2009). A Study on Interior Wall Color based on Measurement of Emotional Response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Emotion & Sensibility, 12(2), 205-214. 

  12. Lee, S. (2008). A Conceptual Study on Sensibility of Space Design. Journal of Kean Interior Design Association, 17(1), 102-109. 

  13. Lee, Y. (1995). An Analysis on the Typ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residential Interior Design Image. Yonsei University Master Dissertation. 

  14. Park, H. (2001). Preference of Interior according to Life Style. Yonsei University Ph. D. Dissertation. 

  15. Seo, J. (2009). A Study on the Correlation of the Living Space Considering emotion and Visual Perception. Journal of the Korean Architectural Institute, 25(9), 117-124. 

  16. Yoon, C., Jeon, Y., & Kim, S. (1997). Approach to Sensibility Technology for a Plan of Bathroom.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3(3), 171-179. 

  17. Statistics Korea, www.kostat.go.kr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