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등학생의 나노기술에 대한 인식과 태도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 and Attitudes toward Nanotechnology 원문보기

대한화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v.55 no.1, 2011년, pp.104 - 111  

김현정 (서울대학교 화학교육과) ,  홍훈기 (서울대학교 화학교육과) ,  홍지혜 (서울대학교 화학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들의 나노기술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알아보는 것이다. 고등학생들은 대체로 나노기술에 대한 인식이 높고, 태도도 긍정적이었다. 과학고등학교 학생들이 일반계 고등학교 학생들에 비해 나노기술에 대한 인식이 높고 좀 더 정확한 지식을 갖고 있었다. 고등학생들은 나노기술에 대한 정보를 TV와 인터넷을 통해 얻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과서나 과학 수업을 통해서는 접하지 않았다고 인식하는 비율이 높았다. 나노기술과 같은 새로운 과학기술을 소개하는 방법으로 신문 및 방송 프로그램이 적당하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나노기술과 같은 첨단과학 분야에 대한 궁금증이 생긴다면 인터넷과 과학교사를 통해 정보를 얻겠다는 비율이 높았다. 고등학생들은 대부분의 나노기술 응용분야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으며, 개인적인 정보를 담은 칩이나 인체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나노 미각 향상제 등에 대해 부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나노기술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정보원으로 나노기술 연구자와 과학교사에 대한 신뢰도가 매우 높고 정부 및 공공기관과 인터넷에 대한 신뢰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s and attitudes toward nanotechnology are examined through questionnaires gathered from 1704 high school students (five general high schools and two science high schools). As a result, the study shows that high school students have generally high perce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고등학생들의 나노기술에 대한 지식이 올바른 지 알아보기 위하여 나노기술의 지식에 관련된 참과 거짓을 묻는 두 가지 질문을 하였다. 고등학생들은 나노기술이 매우 작은 단위를 다루는 기술이라는 것을 파악하고는 있었으나 육안으로 조금 관찰 가능한 것으로 파악하여 잘못된 인식을 하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현재 다양한 과학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는 나노기술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얻을 수 있는 결론은 다음과 같다.
  • 이번 연구에서는 첨단과학 분야의 대표연구 분야인 나노기술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인식과 태도를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일반적으로 대중들이 학교교육을 통하여 유사한 과학교육을 받고 과학적 소양이 형성되는 고등학생들을 선정하고, 나노기술에 대한 개념을 접할 기회가 많을 것으로 판단되는 과학고등학교 학생들의 인식과 태도를 일반계 고등학교 학생들과 비교해보고자 한다.
  • 이번 연구에서는 첨단과학 분야의 대표연구 분야인 나노기술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인식과 태도를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일반적으로 대중들이 학교교육을 통하여 유사한 과학교육을 받고 과학적 소양이 형성되는 고등학생들을 선정하고, 나노기술에 대한 개념을 접할 기회가 많을 것으로 판단되는 과학고등학교 학생들의 인식과 태도를 일반계 고등학교 학생들과 비교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새로운 과학기술을 처음 접한 프로그램이 학생에게 끼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17,18 새롭게 등장하는 과학기술에 대한 인식은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태도를 형성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학생들은 나노기술과 같은 새로운 과학기술을 처음 접한 프로그램을 통해 이 기술에 대한 초기 태도와 인식이 형성되는데, 이 경험이 미래의 과학 기술에 대한 학생들의 행동을 형성하고 새로운 기술과 관련한 앞으로의 결정 등에 관계된다.19 이처럼 새로운 과학기술에 대한 인식과 태도는 과학기술 분야에서 대중의 지지와 관련되며, 대중의 과학 이해에 중요한 부분으로 그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나노기술은 어떠한 분야인가? 나노기술은 빠르게 발전하는 분야로 종종 제 3의 작은 기술 혁명(small-tech revolution)으로 불리고 있다.1,2 나노기술의 발전에 따라 나노기술 자체 뿐 아니라 나노기술의 응용이 많은 산업 분야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나노기술이 학문간의 경계를 넘나들며 계속해서 과학분야에 영향을 주고 있다.
교육과정이 개정된 이유는 무엇인가? 나노기술을 바탕으로 하여 자연을 모방한 최첨단 기술과 획기적인 기술 혁신을 나타낸 상품들이 선보이며 나노기술은 대중들에게 친근한 과학 용어가 되었으나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런 새로운 분야에 대해 제한된 지식을 가지고 있다.4,5 따라서 나노기술과 같은 과학기술 분야의 내용이 대중이 공유하는 문화로써 교육과정 안으로 들어올 필요가 있으며, 학생들은 현재 교육과정 안에서도 이들에 대한 올바른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새로운 과학기술들이 계속해서 개발되는 것에 비하여 과학교육 분야는 이에 능동적으로 대처하지 못하고 있어 학생들의 나노기술(Nanotechnology, NT) 분야에 대한 호기심, 탐구 의욕 등을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6 이에 학생들이 첨단 과학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현대 사회에 대한 과학의 기여를 이해하고 이에 관련된 과학 개념을 학습함으로써 올바른 의사소통과 판단능력을 갖출 수 있도록 첨단과학 내용을 적극 반영하여 교육과정이 개정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Linton, J.; Walsh, S. T. Technical. Forecast. Soc. Change. 2008, 75, 583. 

  2. Roco, M. C. J. Nanopart. Res. 2003, 5, 181. 

  3. Macoubrie, J. Public Understand. Sci. 2006, 15, 221. 

  4. Bainbridge, W. S. J. Nanopart. Res. 2002, 4, 561. 

  5. Cobb, M. D.; Macoubrie, J. Nanopart. Res. 2004, 6, 395. 

  6. Moon, S. Y. The Study of Advanced Science and Technology Oriented Education Program for Science Teacher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2004. 

  7.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The Revised 2009 National Curriculum Science; http://curri.mest.go.kr/main.jsp?idx050101, 2010. 

  8. Goodhew, P. Nanotoday 2006, 1, 40. 

  9. Chang, R. P. H. Nanotoday 2006, 1, 6. 

  10. Moyses, D. D.; Rivet, J. L.; Fahlman, B. D. J. Chem. Educ. 2010, 87, 285. 

  11. Brett, C. J. Chem. Educ. 2007, 84, 1136. 

  12. Sweeney, A. E.; Seal, S. Nanoscale science and engineering education. Stevenson Ranch, CA: American Scientific. 2008. 

  13. Jones, M. G.; Falvo, M. R.; Taylor, A. R.; Broadwell, B. P. Nanoscale science: Activities for grades 6-12; Arlington: NSTA Press. 2007. 

  14. Stevens, S. Y.; Sutherland, L. M.; Krajcik, J. S. The Big Ideas of Nanoscale Science and Engineering; National Science Teachers Association: Virginia, 2009. 

  15. http://www.nano.gov/NNI_06Budget.pdf. 

  16. Roco, M. National nanotechnology initiative and a global perspective. Paper presented at Small Wonders: Exploring the vast potential of nanoscience; National Science Foundation Symposium: Washington, DC. 2002. 

  17. Lee, C. K.; Wu, T. T.; Liu, P. P. IEEE Trans. Educ. 2006, 49, 141. 

  18. http://www.nanotech.re.kr/pds/rboard3/NanoWeekly218.pdf. 

  19. http://www.nano.edu.tw/. 

  20. Gardner, G.; Jones, G.; Taylor, A.; Forrester, J.; Robertson, L. I.J.S.E, 2010, 32, 1951. 

  21. Lewenstein, B. V. Sci. Commun. 2005, 27, 169. 

  22. Kim, K. H.; So, D. S.; Lee, H. S.; Choi, B. K.; Seo, J. H.; Yu, J. Y.; Jeong, H, S.; Kim, K, Y.; Moon, Y. S. Industrialization Perspective of Major Nanotechnologies;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Seoul, 2007. 

  23. Choi, B. K.; Kim, K. H.; So, D. S.; Bak, H. J. Perspect. Ind. Chem. 2008, 11, 62. 

  24. Castellini, O. M.; Walejko, G. K.; Holladay, C. E.; Theim, T. J.; Zenner, G. M.; Crone, W. C.J. Nanopart. Res. 2007, 9, 183. 

  25. Lee, S. Y. 2005 Nanotechnology Impact Assessment Report; Korea Institute of Science &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Seoul, 2005. 

  26. Gallup Public Understanding Survey Report on Science and Technology; The Foundation for Advancement of Science & Creativity: Seoul, 2006. 

  27. Fujita, Y.; Yokoyama, H.; Abe, S. Asia. Pac. Nano.Wkly. 2006, 4. 1. 

  28. Fujita, Y.; Abe, S. Questionnaire Survey Report on Nanotechnology and Society;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Science and Technology: Tokyo, 2005. 

  29. Cobb, M. D. Sci. Commun. 2005, 27, 221. 

  30. Currall, S. C.; King, E. B.; Lane, N.; Madera, J.; Turner, S. Nature Nanotechnology 2006, 1, 153. 

  31. Peter, D. Awareness of and Attitudes toward Nanotechnology and federal Regulatory Agencies, A Report of Findings Based on a National Surveys among Adults; Woodrow Wilson International Center for Scholars: Washington, DC, 2007. 

  32. Kim, H. J.; Hong, H, G. J. Kor. Chem. Soc. 2010, 54, 633. 

  33. Scheufele, D. A.; Corley, E. A.; Dunwoody, S.; Shih, T. J.; Hillback, E.; Guston, D. H. Nature Nanotechnology 2007, 2, 732. 

  34. Sweeney, A. D.; Seal, S. Nanoscale Science and Engineering Education; American Scientific Publishers: California, 2008. 

  35. Stevens, S. Y.; Sutherland, L. M.; Krajcik, J. S. The Big Ideas of Nanoscale Science and Engineering; National Science Teachers Association: Virginia. 2009. 

  36. http://www.kiet.re.kr/images/portal/data/02.pdf. 

  37. http://www.cneu.psu.edu/resources.html 

  38. http://mrsec.wisc. edu/Edetc/nanotech/index.html. 

  39. Song, H. S. A Study of Reorganization the Science curriculum in Advanced Science and Technology Era; The Korea Academy of Science and Technology:Seongnam, 2007. 

  40. National Research Council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National Academy Press: Washington, DC. 199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