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강원도 3대 도시의 인구이동 결정요인 분석 -춘천, 원주, 강릉을 대상으로-
Analysis on the Migration Determinant Factors of 3 Major Cities in Gangwon-Do -Case-study of Chuncheon, Wonju and Gangneung-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1 no.1, 2011년, pp.411 - 421  

임동일 (강릉원주대학교 도시계획부동산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강원도의 대표적 도시인 춘천시, 원주시, 강릉시를 대상으로 인구이동의 추이를 분석하고, 인구이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찾고자 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는, 첫째 고용기회와 교육기회는 인구이동에 유의한 것으로 판별되었는데, 이는 선행연구에서 이들 부문이 인구이동과 정(+)의 관계가 있다는 결과와도 부합되었다. 둘째, 통계적 유의성이 약하긴 하지만 도시화의 정도가 인구유입에 영향이 있다는 결과는 도시의 편리성이 인구유입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라 해석된다. 셋째, 공공재 수혜로서 사용된 도로포장률이 통계적 유의성은 낮지만 인구유입에 부(-)의 효과를 갖는다는 결과에서 도로망 확충이 인구유입보다는 교통거리의 장거리화 및 거주지역의 광역화에 기여할 가능성이 있음을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춘천시, 원주시, 강릉시의 인구이동에 고용기회와 교육기회가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강원도의 지역개발 차원에서 이들 요인에 대한 고려가 필요함을 제시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trend of migration and to find the factors which influence to migration in Chuncheon, Wonju and Gangneung.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mployment chance and education chance give positive effect to migration. And it agrees with the results of the preceeding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다만, 추정 결과 각 추정식의 임의효과 모형과 고정효과 모형 양자의 추정 간에 유의성 및 효과 분석 상 차이가 크지 않아 상호간 비교 분석을 위해 고정효과 모형과 임의효과 모형 추정결과를 모두 보고하기로 한다.
  • 인구이동과 관련된 연구는 비교적 활발하게 이루어졌는데, 특히 강동희(2010), 권기철(2006), 권상철(2003),김성태·장정호(1997), 김태일(2004), 김헌민(1991), 김현아(2008), 박추환·김명수(2006), 오정일·안기돈(2007), 유경문(1991), 이상림(2009), 이성우(2002), 이희연·이승민(2008), 전유신(2009), 정성호(2008), 최은영·구동회·조순기(2010) 등의 연구가 본 연구의 목적과 연관성이 높다고 사료된다. 따라서 이들의 연구를 중심으로 선행연구에서 다룬 내용을 검토하겠다.
  • 본 연구는 강원도의 대표적 도시인 춘천시, 원주시, 강릉시를 대상으로 인구이동의 추이를 분석하고, 인구이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찾고자 하였다. 인구순이동량을 종속변수로 하고, 독립변수로는 고용기회(총인구에 대한 전산업종사자수의 비율), 교육기회(인구 천 인당 사립학원수), 공공재 수혜(도로포장률), 도시화(도시면적에 대한 대지 공장용지 공원면적의 비율)을 사용하여 계량적 모델을 구축하고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의 대표적 도시인 춘천시, 원주시, 강릉시를 대상으로 지난 10년간(1999 ~ 2008년)의 인구이동의 추이와 함께 인구이동의 영향요인을 하여 인구정착 및 지역발전을 위한 계획분야에 기초적 자료와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구란? 인구는 특정 도시나 지역의 가장 기초적인 지지기반이며, 도시계획이나 지역계획 등과 같은 공간계획의 기본지표가 된다. 특정지역에서의 인구규모는 해당 지역이 감당할만한 수준을 초과하는 경우 과밀에 따른 주택, 교통, 기반시설 등에 대한 다양한 도시문제를 발생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한다.
지방 도시들과 대도시와의 격차가 심화되는 이유는? 또한 인구이동은 지역정책이나 개발사업 등의 이동요인이 발생하는 경우 상대적으로 짧은 기간 동안 대규모의 인구이동이 발생하기도 한다. 우리나라는 지방 중소도시나 농어촌 지역에서 대도시로의 인구유출로 인해 지방 도시들과 대도시와의 격차가 심화되고 특히 농어촌 지역의 발전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상대적으로 도시발달이 미약한 강원도에서 두드러진 현상으로서, 강원도 지역은 농어촌 지역은 물론 도시지역 조차도 인구이동에 의한 인구감소현상이 매우 심각한 실정이다.
인구의 증가 또는 감소에 대한 자연적 요인과 사회적 요인의 차이점은? 인구의 증가 또는 감소는 출생 또는 사망과 같은 자연적 요인에 의한 변화와 인구의 이동에 따른 사회적 요인에 의해서 발생된다. 자연적 요인의 경우는 특정 지역의 문제라기보다는 전국적 차원의 문제인 반면, 사회적 요인은 인구이동으로 인해 전출지역에서는 인구 감소를 전입지역에서는 인구증가를 경험하게 된다. 또한 인구이동은 지역정책이나 개발사업 등의 이동요인이 발생하는 경우 상대적으로 짧은 기간 동안 대규모의 인구이동이 발생하기도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강동희, “광역경제권하의 지역간 인구이동”, 지역발전연구, 제9권, 제2호 pp.1-25, 2010. 

  2. 권기철, “부산광역권의 제조업 고용 변동과 인구 이동의 관계 및 인구이동의 균형화 효과”, 경제연구, Vol.24, No.3, pp.97-123, 2006. 

  3. 권상철, “우리나라 수도권으로의 인구이동; 시기별 유출지역 특성과 이주자 선별성의 상대적 중요도 평가”,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11, No.6, pp.571-584, 2005. 

  4. 권상철, “우리나라 인구이동의 지역구조; 이동권역과 공간적 인구재분배 지역 분석”, 한국도시지리학회지 Vol.12, No.2, pp.49-63, 2009. 

  5. 권상철, “인구이동과 인적자원 유출; 제주지역 유출 유입인구의 속성 비교”, 한국도시지리학회지 Vol.6, No.2, pp.59-73, 2003. 

  6. 김경수, 부산시 내부인구이동 특성과 정책적 대응 방안, 부산발전연구원, 2000. 

  7. 김성태, 장정호, “한국 지역간 인구이동의 경제적 결정요인; 1970 - 1991”, 국제경제연구, Vol.3, No.2, pp.175-197, 1997. 

  8. 김태일, “제주지역의 주거이동 특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제20권, 제6호, pp.22-33, 2004. 

  9. 김헌민, “도시의 인구이동과 지방재정에 관한 연구”, 한국인구학, 제14권, 제2호, pp.1-17, 1991. 

  10. 김현아, “지역간 인구이동의 실증분석”, 응용경제, Vol.10, No.2 pp.75-103, 2008. 

  11. 박추환, 김명수, “지역 노동력 이동의 결정요인 연구”, 지역연구, Vol22, No.2, pp.97-113, 2006. 

  12. 서승환, 김갑성, “수도권 인구분산의 소득효과”, 지역연구, Vol.20, No.1, pp.65-78, 2004. 

  13. 오정일, 안기돈, “우리나라 15개 시도의 일자리 수 변화와 인구이동 간 인과성 검정”, 국토연구 제53권, pp.57-76, 2007. 

  14. 유경문, “인구이동의 결정요인에 관한 실증분석; 한국의 경우(1966 - 1985)를 중심으로”, 경제학연구, Vol.39, No.1, pp.157-209, 1991. 

  15. 윤희정 외, “리단위 공공여가시설의 분포특성과 인구이동과의 상관성”, 농촌관광연구, 제16권, 제4호, pp.97-114, 2009. 

  16. 이상림, “연령이 인구이동에 미치는 영향; 최초 이동, 계속이동, 귀환이동”, 한국인구학, 제32권, 제3호, pp.43-72, 2009. 

  17. 이성우 외, “도농간 인구이동에 따른 실업비용”, 농업경제연구, Vol.43, No.2, pp.77-110, 2002. 

  18. 이성우, “지역특성이 인구이동에 미치는 영향; 독립이동과 연계이동”, 지역연구, Vol.18, No.1, pp.49-82, 2002. 

  19. 이희연, 이승민, “수도권 신도시 개발이 인구이동과 통근통행패턴에 미친 영향”, 대한지리학회지, 제43권, 제4호, pp.561-579, 2008. 

  20. 임동일, 신규 개발사업이 강릉시 공간구조 변화에 미치는 영향, 강원발전연구원, 2009. 

  21. 전유신, “경기도 개발사업 유형별 인구이동 실태 분석 연구”, 국토계획, 제44권, 제5호, pp.113-123, 2009. 

  22. 정성호, “강원도의 인구이동 유형과 특성”, 한국인구학, 제31권, 제2호, pp.133-155, 2008. 

  23. 조규영 외, “인구이동으로 인한 도시재정 변화에 관한 연구”, 지역사회발전학회논문집, Vol.27, No.2 pp.285-304, 2002. 

  24. 조혜종, “광주 중심의 인구이동 특성에 관한 연구”, 지리학, 제28권, 제1호, pp.40-57, 1993. 

  25. 지해명, “교통망 개설의 지역간 인구이동효과 추정방법론”, 지역연구 Vol.25 No.2 pp.47-62, 2009. 

  26. 최은영, 구동회, 박영실, “부산 대도시권의 인구이동(1); 인구구조와 인구이동”,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15, No.5 pp.572-589, 2009. 

  27. 최은영, 구동회, 조순기, “부산 대도시권의 인구이동(2); 이동 가구 특성과 선택성”,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16, No.2, pp.123-136, 2010. 

  28. 최은영, 조대헌, “서울 강남구의 경제적 장벽과 인구이동 특성”, 서울도시연구, Vol.6, No.4, pp.1-20, 2005. 

  29. 최은영, 조대헌, “서울시 내부 인구이동의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11, No.2, pp.169-186, 2005. 

  30. 최은영, “경상권과 수도권의 도시간 인구이동 특성”, 지리교육논집 Vol.49, pp.355-367, 2005. 

  31. 최은영, “선택적 인구이동과 공간적 불평등의 심화; 수도권을 중심으로”, 한국도시지리학회지 Vol.7, No.2, pp.57-69, 2004. 

  32. 최은영, “지역간 인구이동의 공간적 특성 분석 - 수도권을 중심으로”, 서울도시연구, Vol.5, No.3, pp.49-66, 2004. 

  33. 황윤진, “유형별 산업내 무역패턴의 산업특성별 결정요인 연구”, 경제연구, 제25권, 제1호, pp.195-219, 2007. 

  34. B. Baltagi, Econometric Analysis of Panel Data, John Wiley & Sons, New York.. 1995. 

  35. Hsiao Cheng., Analysis of Panel Data, 2nd. ed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