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함평만 갯벌의 저서규조류 분포 특성
Distribution of Benthic Diatoms in Tidal Flats of Hampyeong Bay, Korea 원문보기

환경생물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29 no.1, 2011년, pp.17 - 22  

이학영 (전남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  정명화 (전남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함평만 갯벌에 출현한 저서규조류는 총 45종이었으며 Paralia sulcata가 가장 우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출현종 분포에서는 전 지점에서 4월에 가장 다양했고 1월에 가장 단순한 종조성을 나타냈으나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고온기의 높은 다양도는 볼 수 없었다. 표층 퇴적물 시료의 chlorophyll a 농도는 19.7~35.2 mg $m^{-2}$이었고 평균 28.7 mg $m^{-2}$로 나타났다. 표층 퇴적물 내 pheopigment의 농도 범위는 25.3~45.2 mg $m^{-2}$이었고 평균 36.2 mg $m^{-2}$로 다른 지역의 결과와 차이가 없었다. 저서규조류 단위면적당 출현 개체수는 지점별, 조사시기 별 큰 차이를 보여주었다. 전 조사지점에서 4월에 가장 많은 개체수 밀도를 나타냈고 1월, 2월, 10월에 상대적으로 낮은 출현개체 밀도를 나타냈다. 생물량의 분포는 개체수 밀도의 분포와 유사한 양상을 나타냈다. 생물량은 4월에 함평만 갯벌의 전 조사지점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1월과 2월, 그리고 10월의 조사에서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냈으며, 4월 이후에는 뚜렷한 감소의 경향을 나타냈다. 생물량과 출현종 다양도는 온도와 2차원의 회귀에 적합한 상관성을 보였으며 중간교란가설 (intermediate disturbance hypothesis)과 유사한 모델로 나타났다. 그러나 함평만 갯벌 저서규조류의 분포가 온도에 의존적이며 중간교란가설의 패턴을 따른다고 판단할 수는 없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distributional pattern of benthic diatoms in tidal flats of Hampyeong Bay, Korea, was studied from January to October in 2009. As benthic diatoms of Hampyeong Bay tidal flats, 45 species were identified, and the most dominant species was Paralia sulcata. The most diverse flora was observed at G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갯벌인 함평만 갯벌에서 3 지점을 선택하여 서식 저서규조류의 구성과 분포의 양상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함평만 갯벌에 출현한 저서규조류 중 가장 우점한 종은 무엇인가? 함평만 갯벌에 출현한 저서규조류는 총 45종이었으며 Paralia sulcata가 가장 우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출현 종 분포에서는 전 지점에서 4월에 가장 다양했고 1월에 가장 단순한 종조성을 나타냈으나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고온기의 높은 다양도는 볼 수 없었다.
갯벌 저서규조류의 연구가 연안 생태계 특성을 해석하는데 필수적인 연구분야인 이유는?  성인과 규모가 상이한 갯벌 생태계는 특유의 다양한 영양단계의 생물군들이 공생하면서 에너지 흐름을 완성하고 있다(Sand-Jensen and Borum 1991; Pinckney et al. 1994). 갯벌 저서동물들은 갯벌에서 자체 생산되는 유기 물과 해수로부터 공급되는 유기물을 먹이로 하여 살아가는데, 갯벌의 표면에 서식하는 저서 미세조류는 중요한 유기물원이 된다(de Jonge and van Beusekom 1995; Dawes 2005). 그런데 이들 미세 조류의 90% 이상이 규조류이다 (Lucas et al. 2001).
갯벌의 역할은? 2001; Levington 2001). 높은 생산성으로 인해 연안에 발달하는 갯벌은 수산자원으로써의 경제적 가치뿐만 아니라, 육상과 바다의 인접부인 연안에서 먹이 그물 및 상호 작용 등에 의해 안정된 생태계를 이룬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역 할을 한다(Valiela and Teal 1979; Kendrick et al. 1998; Sze, 199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고철환, 박 철, 유신재, 이원재, 이태원, 장창억, 최중기, 홍재상, 허형택. 1997. 해양생물학, 서울대학교출판부, 서울. 

  2. 박용안. 1998. 바다의 과학- 해양학 원론. 서울대학교출판부, 서울. 

  3. 이학영. 2002. 한국 남서부 갯벌의 저서성 미세조류의 대상 분포와 수직분포에 미치는 이화학적 요인의 효과에 관한 비교. 한국환경과학회지. 11:529-535. 

  4. 해양수산부. 1999. 갯벌 생태계조사 및 지속가능한 이용방안 연구- 함평만 갯벌을 중심으로. 

  5. 환경부. 2004. 장기생태연구 시범사업 연구보고서. 

  6. Admiraal W and H Peletier. 1980. Influence of seasonal variations of temperature and light on the growth rate of cultures and natural populations of intertidal diatoms. Mar. Ecol. Prog. Ser. 2:35-43. 

  7. Archambault P and E Bourget. 1999. Influence of shoreline configuration on spatial variation of meroplanktonic larvae, recruitment and diversity of benthic subtidal communities. Exp. Mar. Biol. Ecol. 238:161-184. 

  8. Boschker HTS, JFC de Brouwer and TE Cappenberg. 1999. The contribution of macrophyte-derived organic matter to microbial biomass in salt-marsh sediments: stable carbon isotope analysis of microbial biomarkers. Limnol. Oceanogr. 44:309-319. 

  9. Broitman BR, SA Navarrete, F Smith and SD Gaines. 2001. Geographic variation of southeastern Pacific intertidal communities. Mar. Ecol. Prog. Ser. 224:21-34. 

  10. Colijn F and KS Dijkema. 1981. Species composition of benthic diatoms and distribution of chlorophyll a on an intertidal flat in the Dutch Wadden Sea. Mar. Ecol. Prog. Ser. 4: 9-21. 

  11. Dawes CJ. 2005. Marine Botany, 2nd Ed. John Wiley and Sons Inc, New York. 

  12. de Jonge VN and JEE van Beusekom. 1995. Wind- and tideinduced resuspension of sediment and microphytobenthos from tidal flats in the Ems estuary. Limnol. Oceanogr. 40: 766-778. 

  13. Folk RL. 1966. A review of grain-size parameters. Sedimentology 6:73-93. 

  14. Hopkins JT. 1964. A study of the diatoms of the Ouse Estuary, Sussex II. The ecology of the mud-flat diatom flora. J. Mar. Biol. Ass. U.K. 44:333-341. 

  15. Hopner T and K Wonneberger. 1985 Examination of the connection between the patchiness of .benthic nutrient efflux and epiphytobenthos patchiness on intertidal flats. Netherlands J. Sea Res. 19:277-285. 

  16. Kendrick GA, LS Langtry, J Fitzpatrick, R Griffiths and CA Jacoby. 1998. Benthic microalgae and nutrient dynamics in wave- disturbed environments in Marmion Lagoon, Western Australia, compared with less disturbed mesocosms. Exp. Mar. Biol. Ecol. 228:83-105. 

  17. Levinton JS. 2001. Marine Biology: Function, Biodiversity and Ecology, 2nd Ed. Oxford University Press, Oxford. 

  18. Lorenzen CJ. 1967. Determination of chlorophyll and phaeopigments: spectrophotometric equations. Limnol. Oceanogr. 12:343-346. 

  19. Lucas CH, C Banham and PM Holligan. 2000. Benthic-pelagic exchange of microalgae at a tidal flat. 1. Pigment analysis. Mar. Ecol. Prog. Ser. 196:59-73. 

  20. Lucas CH, C Banham and PM Holligan. 2001. Benthic-pelagic exchange of microalgae at a tidal flat. 2. Taxonomic analysis. Mar. Ecol. Prog. Ser. 212:39-52. 

  21. Mulamoottil G, BG Warner and EA McBean. 1996. Wetlands - Environmental gradients, boundaries, and buffers. Lewis Publishers, London. 

  22. Nobel PS. 2010. Physicochemical and environmental plant physiology, 4th Ed. Academic Press. 

  23. Pinckney J, Y Piceno and CR Lovell. 1994. Short-term changes in the vertical distribution of benthic microalgal biomass in intertidal muddy sediments. Diatom Res. 9:143-153. 

  24. Rizzo W. 1990. Nutrient exchanges between the water column and a subtidal benthic microalgal community. Estuaries 13:219-226. 

  25. Sand-Jensen K and J Borum. 1991. Interactions among phytoplankton, periphyton, and macrophytes in temperate freshwaters and estuaries. Aquatic Botany 41:137-175. 

  26. Sze P. 1998. A Biology of the Algae. WCB McGraw-Hill, Boston. 

  27. Teal JM. 1962. Energy flow in the salt marsh ecosystem of Georgia. Ecology 43:473-490. 

  28. Valiela I and JM Teal. 1979. Nitrogen budget of a salt marsh ecosystem. Nature 280:702-724. 

  29. Wetzel RG and GE Likens. 2000. Limnological Analysis, Springer- Verlag.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