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상적 정의에서 수학적 정의로의 이행 - 영재 중학생들의 점과 선의 정의 인식 -
The Transition from Everyday Definitions to Mathematical Definitions - Gifted Middle School Students' Conceptions of Point and Line definitions -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A. The Mathematical Education, v.50 no.4, 2011년, pp.429 - 440  

이지현 (서울전자고등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analysed gifted middle students' conception of the definitions of point and line and the uses of definitions in proving. The findings of this paper suggest that the concept of mathematical definitions is very unnatural to students, therefore teachers and textbooks need to explain explicit...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일상적 정의는 어떤 특징이 있는가? 일상적 정의는 정의되는 대상을 다른 것과 구별가능하도록 기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러한 일상적 정의에서는 정의와 정의되는 대상이 정확하게 일치할 필요가 없다. 반면 수학적 정의의 목적은 다른 대상과의 구분이 아닌 정의로부터 이미 알고 있는 성질뿐만 아니라 새로운 성질들을 증명하는 것에 있다.
학생들이 '일상적 정의'와 '수학적 정의'의 차이를 분명하게 인지하기 어려운 이유는? 학교수학에서는 수학적 정의뿐만 아니라 일상적 정의도 흔하게 찾아볼 수 있기 때문에, 학생들이 대상 혹은 개념을 단순히 기술하는 ‘일상적 정의’와 증명에 사용되는 ‘수학적 정의’의 차이를 분명하게 인지하기란 쉽지 않다. 고등수학적 사고(advanced mathematical thinking)분야의 많은 연구들(Harel, Tall, 1991; Harel, Seldon, Seldon, 2006; Alcock, Simpson, 2002; Edwards, Ward, 2004; Tall, 1992a; Gray, Pinto, Pitta, Tall, 1999)이 학교 수학의 관행에 젖어있는 대학생들은 일상적 정의와 수학적 정의를 구별하지 못할 뿐더러, 수학에서 정의는 일상적인 ‘기술’과 달리 증명의 기초라는 점도 명확하게 인식하지 못한다는 점을 보고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강신덕 외 5인 (2010). 중학교 수학 2. 서울 : 교학사. 

  2. 박영훈 외 5인 (2009). 중학교 수학 1. 서울 : 천재문화. 

  3. 민중서림 편집국 (2001). 국어사전. 서울: 민중서림. 

  4. 이준열 외 5인 (2010). 중학교 수학 2. 서울: 천재문화. 

  5. 이지현 (2011). 학교수학에서 대학수학으로 공리적 방법의 이행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논문. 

  6. 조영미 (2000). 직관기하의 정의 사용 양태 분석과 증명지도에 대한 시사점. 수학교육학연구, 10(2), 215-227. 

  7. 조영미 (2001). 학교수학에 제시된 정의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논문. 

  8. Alcock L., & Simpson A. (2002). Definitions: Dealing with categories mathematically. For the Learning of Mathematics, 22(2), 28-34. 

  9. Edwards, B. S., & Ward, M. B. (2004). Surprises from mathematics education research: Student (mis)use of mathematical definitions. The American Mathematical Monthly, 111, 411-424. 

  10. Gray, E. M., Pitta, D., Pinto, M., & Tall, D. (1999). Knowledge construction and diverging thinking in elementary & advanced mathematics.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38, 111-133. 

  11. Harel, G., & Tall, D. (1991). The General, the abstract, and the generic in advanced mathematics. For the Learning of Mathematics, 11(1), 38-42. 

  12. Harel, G., Selden, A., & Selden, J. (2006). Advanced mathematical thinking: Some PME perspectives. In A. Gutierrez, P. Boero. (Eds), Handbook of research on the psychology of mathematics education: Past, present and future. Sense Publishers. 

  13. Jacobs, H. R. (2003). Geometry seeing, doing, understanding(3rd ed.). New York : W. H. Freeman and Company. 

  14. McClure, J. E. (2000). Start where they are: Geometry as an introduction to proof. American Mathematical Monthly, 107(1), 44-52. 

  15. Morgan, C. (2004). Word, definitions and concepts in discourses of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19(2). 103-117. 

  16. Morgan, C. (2005). What is a definition for in school mathematics?. European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IV. 

  17. Raman, M. (2004). Epistemological messages conveyed by three high-school and college mathematics textbooks. Journal of Mathematical Behavior, 23, 389-404. 

  18. Robinson, R. (1954). Definition. Oxford University Press. 

  19. Schultz, J. E., Hollowell, K. A., Ellis, W., & Kennedy, P. A. (2003). Geometry. Austin, Texas: Holt, Rinehart, and Winston. 

  20. Tagliapietra, R., & Pilger, K. D. (2000). Geometry for christian school(2nd ed.). Bob Jones University Press. 

  21. Tall, D. (1992a). The transition to advanced mathematical thinking: Functions, limits, infinity, and proof. In D. A. Grouws(Ed.), Handbook of research on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pp. 495-511). New York : Macmillan. 

  22. Tall, D. (1992b). Construction of objects through definition and proof, PME Working Group on AMT, Durham, NH. 

  23. Tall, D. (1997). From school to university: The transition from elementary to advanced mathematical thinking. In M. O. J. Thomas(Ed.), Proceedings of The Seventh Annual Australasian Bridging Network Mathematics Conference(pp.9-26). University of Auckland. 

  24. Vinner, S. (1991). The role of definitions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mathematics. In D. Tall(Ed.), Advanced mathematical thinking(pp. 65-81). Dordrecht : Kluwer Academic Publishers.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