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말기암환자가 보완대체요법을 선택한 이유
The Reason to Select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y for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원문보기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v.14 no.1, 2011년, pp.34 - 41  

김경운 (강원대학교 간호학과) ,  박진노 (보바스기념병원 완화의학센터) ,  이수한 (꽃동네현도사회복지대학교 사회복지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말기암환자들이 보완대체요법을 선택하게된 주관적 경험을 파악하여, 대상자 입장에서의 당위성을 이해하고 이용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현상들을 이해함으로써 좀 더 바람직하고 효율적인 이용을 위한 호스피스 완화의료 중재를 하는데 기여하고자 실시하였다. 방법: 심층면담한 내용을 Colaizzi(1976)의 방법을 이용하여 귀납적이고 서술적인 기술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말기암환자와 가족들이 보완대체요법을 선택한 4가지 범주는 첫째 현대의학의 한계 인식, 둘째 보완대체요법의 효과에 대한 신뢰, 셋째 가족의 정서적 욕구 충족 넷째, 의사의 부정적인 태도로 인한 불신이었다. 주제모음은 9가지로 '불가능한 완치에 대한 기대', '병원치료에 대한 불확실성', '항암치료의 부작용을 해결하기 위한 보조적 수단', '증상완화와 생명연장을 위함', '암치료의 부작용에 대한 두려움', '체험과 정보에 대한 신뢰', '타인의 권유', '가족으로서 도리를 다함', '의사의 부정적 태도에 불만족'이었다. 결론: 암환자의 치료 결정과정에서 대상자와 의사가 바람직한 의사소통과정을 통하여 현대의학 치료에 대한 설명이 충분히 이루어져서 대상자가 일반적인 호스피스 완화의료 서비스를 이용하고 과학적인 근거에 바탕을 둔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정확한 정보 제공이 필요하다고 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ason to select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y for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1 terminal cancer patients and families through the in-depth interview. Data analysis were performed by the Colaizz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심층면담을 통해서 말기암환자들의 보완대체요법의 선택 이유 및 동기에 대한 주관적 경험을 파악하여 대상자 입장에서의 당위성을 이해하고 이용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현상들을 이해함으로써 좀 더 바람직하고 효율적인 이용을 위한 호스피스ㆍ완화의료 중재를 하는데 기여하고자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국내의 선행연구와 달리 심층면담을 통한 질적 연구방법을 이용하여 현상학적인 분석기법을 적용하여 보완대체요법을 대부분 이용하는 암환자나 가족들의 정서심리적 상태를 있는 그대로 서술하여 의료진의 관점이 아니라 호스피스ㆍ완화의료 대상자의 관점에서 보완대체요법을 선택한 이유를 파악하여 향후 호스피스ㆍ완화의료 대상자가 보완대체요법을 이용할 때에 효과적인 중재를 하고자 수행하였다. 특히, ‘체험과 정보에 대한 신뢰’와 ‘의사의 부정적 태도에 불만족’은 질문지를 통한 양적연구기법에서는 알아내기 힘든 내용들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말기암환자의 보완대체요법 선택 이유를 질적 연구 방법을 이용하여 심층 분석함으로써 바람직하고 효율적인 호스피스ㆍ완화의료 중재법을 개발하는데 기초가 되는 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암환자들에 있어서 보완대체요법의 매력은 무엇인가? 암환자들에 있어서 보완대체요법의 매력은 환자에게 좀 더 희망을 가지게 하고, 자신의 치료에 참여하고 적극적인 치료를 추구하는 것에 대한 만족감을 줄 뿐만이 아니라 전인적이고 심리ㆍ사회ㆍ영적인 문제에 집중한다는 것이다(8). 반면에, 과학적인 근거의 부족과 과다한 비용의 지출이 우려되며, 정통의학적 치료를 배제하거나 거부할 뿐만아니라 감염, 전해질 불균형, 화학적 정맥염, 영양결핍과 같은 신체적인 문제 등이 발생하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초래하기도 한다(3,8,9).
암환자들에 있어서 보완대체요법의 문제점은? 암환자들에 있어서 보완대체요법의 매력은 환자에게 좀 더 희망을 가지게 하고, 자신의 치료에 참여하고 적극적인 치료를 추구하는 것에 대한 만족감을 줄 뿐만이 아니라 전인적이고 심리ㆍ사회ㆍ영적인 문제에 집중한다는 것이다(8). 반면에, 과학적인 근거의 부족과 과다한 비용의 지출이 우려되며, 정통의학적 치료를 배제하거나 거부할 뿐만아니라 감염, 전해질 불균형, 화학적 정맥염, 영양결핍과 같은 신체적인 문제 등이 발생하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초래하기도 한다(3,8,9).
현대의학의 한계 인식의 범주는 어떻게 구성되어 있나? ‘현대의학의 한계 인식’ 범주는 5개의 주제모음 즉, ‘불가능한 완치에 대한 기대’, ‘병원치료에 대한 불신’, ‘항암치료에 대한 보조적 수단’, ‘증상완화와 생명연장을 위함’, ‘암치료의 부작용에 대한 두려움’으로 구성되었다. 이 범주는 현대의학으로 치료나 조절이 불가능한 부분을 채우기 위한 이유들로 구성되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Ministry of Health & Welfare, National Cancer Center, National Cancer Information Center. Annual report of the central cancer registry in Korea (1998.1-1998.12). Seoul: Ministry of Health & Welfare, National Cancer Center, National Cancer Information Center; 2000. 

  2. National Cancer Information Center. 2008 annual report of the central cancer registry in Korea [Internet]. Goyang: Ministry of Health & Welfare, National Cancer Center; c2010. Available from: http://cancer.go.kr/nciapps/fcatalog/ecatalog.jsp?Dir81. 

  3. Seol KL, Choi SY, Lee JI. A study on the use, understanding and satisfaction with alternative therapy for hospitalized cancer patients. J Korean Public Health Assoc 2002;28(2):198-211. 

  4. Lee EI, Shin YC, Lee JH, Kim SD, Kim HJ, Jo MS. Use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in cancer patient at 7 general hospitals in Seoul. J Korean Public Health Assoc 2002;28(3):225-38. 

  5. Choi YJ, Chung HW, Choi SY. A study on the use of alternative medicine for cancer patients admitted at a hospital. J Korean Public Health Assoc 1998;24(1):167-81. 

  6. Lee KS, Ahn HS, Hwang LI, Lee YS, Koo BH. Utilization of alternative therapies in cancer patients. J Korean Cancer Assoc 1998;30(2):203-13. 

  7. Park HS, Lee YM. A study on use of alternative therapy in cancer patients. Korean J Rehabil Nurs 2000;3(2):212-27. 

  8. Woodruff R. Palliative medicine. 2nd ed. Melbourne: Asperula Pty Ltd.; 1996. 

  9. Cassileth BR, Lusk EJ, Miller DS, Hurwitz S. Attitudes toward clinical trials among patients and the public. JAMA 1982;248(8):968-70. 

  10. Kim BH, Kim KJ, Park IS, Lee KJ, Kim JK, Hong JJ, et al. A comparison of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ology: focused Giorgi, Colaizzi, Van Kaam methods. J Korean Acad Nurs 1999;29(6):1208-20. 

  11. Kim DY, editor. Hospice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selection of subjects and role of health care professionals. 2006 Summer Symposium of Korean Soiety for Hospice and Palliative Care; 2006 Jul 1; Daegu, Korea. Seoul: Korean Soiety for Hospice and Palliative Care; 2006. p. S45-9. 

  12. Moon HW. A study on the use of the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y in female cancer patients. Korean J Women's Health Nurs 2004;5(2):19-44. 

  13. Son HM, Suh MJ. A experience of patients seeking alternative therapies for chronic liver disease: the process of Jagi Momdasrim. J Korean Acad Adult Nurs 2000;12:52-63. 

  14. Jang DM. A study on utilization behavior of cancer patients. J Korean Public Health Assoc 1998;24(2):106-17. 

  15. Begbie SD, Kerestes ZL, Bell DR. Patterns of alternative medicine use by cancer patients. MJA 1996;165:545-8. 

  16. Berenson S.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ies in palliative care. In: Ferrell B, Coyle N, eds. Textbook of palliative nursing. 2nd ed. New York;Oxford University Press;2005. p. 491-50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