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건간호사의 건강증진 역량(competence)에 대한 개념 분석
Concept Analysis of Health Promotion Competence in Public Health Nurses 원문보기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22 no.3, 2011년, pp.281 - 289  

김정수 (부경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fine and clarify the concept of health promotion 'competence' in public health nurses (PHNs). Methods: A hybrid model was used to develop the concept of competence. The model included a field study carried out in Seoul, Korea.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혼종모형을 적용한 간호사의 건강증진 역량(competence)에 대한 개념분석 연구이다. 분석 결과, 간호 사의 건강증진 역량은 개인차원에서 이해도, 유연성을 가지고 환경차원에서 독창성과 리더십을 기반으로 한 협동적 상호작용으로 실무역량과 기획역량을 갖추어 대상자의 요구와 기대수준에 따른 건강증진을 도모하기 위한 일련의 간호역량이라 할 수 있겠다.
  • 분석 결과, 간호 사의 건강증진 역량은 개인차원에서 이해도, 유연성을 가지고 환경차원에서 독창성과 리더십을 기반으로 한 협동적 상호작용으로 실무역량과 기획역량을 갖추어 대상자의 요구와 기대수준에 따른 건강증진을 도모하기 위한 일련의 간호역량이라 할 수 있겠다. 이에 본 연구는 지속적으로 변화 가능한 대상자의 건강증진을 도모하기 위한 간호사의 건강증진 역량에 대한 속성을 밝혀 간호사의 건강증진 역량을 평가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형성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또한 간호사의 건강증진 역량강화 프로그램에 있어서 본 연구에서 도출된 건강증진 역량의 차원과 속성을 고려한다면 건강증진부문의 간호역량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 따라서 혼종모형을 적용하여 개념을 분석하는 것이 간호사의 실제적 능력과 건강증진 분야의 특성을 반영할 수있는 타당한 접근방법이라고 사료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Schwartz-Barcott와 Kim (2000)의 혼종모형(Hybrid model)을 이용하여 간호사의 건강증진 역량에 대한 개념 분석을 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의 개념개발은 선행문헌 고찰과 지역사회 간호사를 대상으로 건강증진 업무 과정에서 심층면담 방법을 병행하여 개념의 속성과 지표를 도출하였다. 최근까지 밝혀진 연구에서 간호사의 건강 관련 역량은 이론적 지식에 기반을 두고 있지만,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이론적 단계와 현장단계를 함께 분석하여 간호사의 건강증진 역량을 개념화 한 것은 이론적 지식의 차원을 넘어서 개념의 실제 적용을 목적으로 지식과 실제 경험에 기반에 둔개념분석으로 간호사의 건강증진 역량을 개발하고자 한 것이 선행연구와의 차이점이라고 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사의 역량에 관한 연구에서 우리나라가 제시한 역량 항목은 무엇인가? 이와 같이 국가별 보건간호에서 요구되는 간호사의 역량에 관한 연구에서 우리나라는 사정, 계획, 수행, 평가, 연구, 리더쉽(Korean Association Board of Nursing, 2008)으로, 미국은 분석적 사정, 의사소통과 체계적 사고, 사업계획, 지역사회 실무, 문화적 역량, 기초보건과학, 재정과 관리, 리더쉽과 정책개발의 여덟 가지 역량(Quad Council of Public Health Nursing Organization, 2006)으로, 일본은 대인적지 지역량과 지역보건지지 및 행정역량(Saeki, Izumi, Uza, & Takasaki, 2004)을 제시한 바 있다.
보건간호사는 어떤 역할을 담당하는가? 일반적으로 보건간호사의 업무는 지역사회 중심의 능동성과 일차보건 및 건강증진에 역점을 두어 국가적 차원에서 발전되어 왔기 때문에 전문성보다는 일반성으로 접근하여 다양한 역할을 담당하도록 하고 있으며, 특히 보건소에 근무하는 간호사는 국가보건정책의 수행자로서 보건사업 에서 국민건강증진을 위한 최일선 영역에서 포괄적인 역할을 담당한다(Jung et al., 2006).
혼종모형을 적용한 간호사의 건강증진 역량에 대한 개념분석 결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혼종모형을 적용한 간호사의 건강증진 역량 (competence)에 대한 개념분석 연구이다. 분석 결과, 간호 사의 건강증진 역량은 개인차원에서 이해도, 유연성을 가지고 환경차원에서 독창성과 리더십을 기반으로 한 협동적 상호작용으로 실무역량과 기획역량을 갖추어 대상자의 요구와 기대수준에 따른 건강증진을 도모하기 위한 일련의 간호역량이라 할 수 있겠다. 이에 본 연구는 지속적으로 변화 가능한 대상자의 건강증진을 도모하기 위한 간호사의 건강증진 역량에 대한 속성을 밝혀 간호사의 건강증진 역량을 평가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형성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rieskorn-Zinke, M. (2011). Mindfulness and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 health competence in nursing. Pflege, 24(4), 251-257. 

  2. Chaudry, R. V. (2008). The precautionary principle, public health, and public health nursing. Public Health Nursing, 25(3), 261-268. 

  3. Choi, H. J., Choi, I. S., & Choi, W. H. (2009). Study on the effects of cultural competence on the empowerment of social workers. Journal of Korean 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11(2), 1-34. 

  4. Hoshi, T. (2005). Japanese case of community partnership of healthy city projects. Seoul: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5. Ji, E. G. (2006). Community and empowerment. Journal of Community Welfare, 19(2), 47-75. 

  6. Jones, P. R., Waters, C. M., Oka, R. K., & McGhee, E. M. (2010). Increasing community capacity to reduce tobacco-related health disparities in African American communities. Public Health Nursing, 27(6), 552-560. 

  7. Jung, H. Y., & Sung, S. Y. (2009). The relationships between emotional competence of young children and mothers' emotional expression across to gender. Journal of Social Sciences, 28(2), 81-104. 

  8. Jung, M., & Cho, B. H. (2007). The influence of community capacity in health status.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Sciences, 22, 153-182. 

  9. Jung, Y. K., Woo, S. H., Park, S. E., Yang, M. J., Cho, S. J., Cho, Y. H., et al. (2006). Community Nursing Science. (3rd ed.). Seoul: Hyunmoonsa. 

  10. Kim, J. M., & Koh, K. W. (2009). Assessment of individual, organizational, environmental capacity for healthy citie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6(2), 119-133. 

  11. Korean Association Board of Nursing. (2008). Professional nurses' core ability and Job description. Seoul: Author. 

  12. Korea Institute for Health & Welfare Policy. (2009). The 3rd conference for establishing on public health promotion planning. Seoul: Author. 

  13. Lee, J. O., & Seo, O. S. (2005). Health promotion activities for strengthen of community competency. Seoul: Korean Health Education and Health Promotion Co. 

  14. Merriam-Webster Dictionary. (2008). Merriam-webster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 Retrieved June 13, 2010, from http://www.merriam-webster.com/dictionary/competence 

  15. Park, H. S., & Jung, S. Y. (2011). Development of the competency model for prevention of adolescent risk behavior. Journal of Korean Academic Nursing, 41(2), 204-213. 

  16. Putnam, R. D. (2000). Bowling alone: The collapse and revival of the American community. New York: Simon & Schuster. 

  17. Quad Council of Public Health Organizations. (2004). Public health nursing competencies. Public Health Nursing, 21(5), 443-452. 

  18. Quad Council of Public Health Nursing Organization. (2006). Public health nursing: Keeping America healthy. Imprint, 53(1), 28-31. 

  19. Saeki, K., Izumi, H., Uza, M., & Takasaki, F. (2004). Development of competencies in public health nurses. Journal of Jap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7(1), 16-22. 

  20. Samarasinghe, K., Fridlund, B., & Arvidsson, B. (2010). Primary health care nurses' promotion of involuntary migrant famIlies' health. International Nursing Review, 57(2), 224-231. 

  21. Schwartz-Barcott, D., & Kim, H. S. (2000). An expansion and elaboration of the hybrid model of concept development. In Rodgers, B. L. & Knafl K. A. (Eds.), Concept development in nursing foundations, technique, and applications (pp. 129-159). PA: Saunders. 

  22. Shon, M. H. (2006). Competence, and everydayness of practical knowledge as its practical foundation.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24(4), 1-25. 

  23. Standard Korean Language Dictionary. (2009).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Retrieved June 13, 2010, from http://stdweb2.korean.go.kr/search/List_dic.jsp 

  24. Strauss, A. L., & Corbin, J. M. (1990).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Grounded theory, procedures, and techniques. Newbury Park, CA: Sage. 

  25. Suh, M. J., Do, B. N., Park, C. J., Kim, K. S., Im, N. Y., Choi, K. S., et al. (2003). Nursing faculty competence and nursing faculty's attitude for lecture evalu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9(2), 320-328. 

  26. Toofany, S. (2007). Do district nurses have a public health role? Primary Health Care, 17(5), 21-23. 

  27. Trynor, V., Inoue, K., & Crookes, P. (2011). Literature review: Understanding nursing competence in dementia care.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0, 1948-1960. 

  28. Yamashia, M., Miyaji, F., & Akimoto, R. (2005). The public health nursing role in rural Japan. Public Health Nursing, 22(2), 156-165. 

  29. Yoo, S., Butler, J., & Elias, T. I. (2009). Operation of community resident groups in a community-based participatory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low-income older adults.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6(5), 15-26. 

  30. Zahner, S. J., & Gredig, Q. N. B. (2005). Public health nursing practice change and recommendations for improvement. Public Health Nursing, 22(5), 422-42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