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 검색어에 아래의 연산자를 사용하시면 더 정확한 검색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 검색연산자
검색도움말
검색연산자 기능 검색시 예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예1) (나노 (기계 | machine))
공백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예) semi*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통합검색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논문 상세정보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도시공공공간 특성 분석 - 도시광장 사례를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Character for Community Vitality in Urban Public Space - Focus on the Urban Squares -

Abstract

As our lifestyles have changed due to rapid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new social and communication problems have been caused and there have been lots of discussion on regional communication. For communities to become alternatives with realistic meanings in this changed society, considerations on social and spatial conditions are needed. Therefore, public space which works as a device of physical environment for activation of communities needs more active changes which encourages social communication. In respect to the activation of communities,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given: First, physical devices of a urban plaza should be arranged to support various programs presented along with consideration of human behaviors as users. Second, fundamental facilities of the plaza should accommodate various activities through connections with programs and commercial space. Third, when cultural and historical characteristics of the community are understood, the plaza can form regionality and symbolism through artistic representation. And users can form the identity of community. Fourth, transportation facilities should be separated from or coexist with areas of passengers and the plaza should have its own identity through symbolic sculptures.

본문요약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물리적 환경인 공공공간의 특성 고찰과 도시광장 사례를 통해 각 특성들이 어떠한 연출적 방법들을 사용하고 있는지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문헌 및 선행연구를 통한 이론적 고찰과 사례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이 진행한다.

    본 연구는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물리적 환경인 공공공간의 특성 고찰과 도시광장 사례를 통해 각 특성들이 어떠한 연출적 방법들을 사용하고 있는지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문헌 및 선행연구를 통한 이론적 고찰과 사례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이 진행한다.

  • 이 절에서는 3.2절에서 정리한 커뮤니티활성화를 위한 요소 중 커뮤니티 활성화와 관계된 특성을 중심으로 어떠한 연출적 방법이 나타나고 있는지 분석하겠다.

    이 절에서는 3.2절에서 정리한 커뮤니티활성화를 위한 요소 중 커뮤니티 활성화와 관계된 특성을 중심으로 어떠한 연출적 방법이 나타나고 있는지 분석하겠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개인과 개인, 개인과 사회와의 사회적 소통을 원활히 하기위해 도시 공공공간의 어떤 특성들이 지역의 커뮤니티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지를 고찰하고 특히 도시광장사례를 통해서 각 특성들이 어떠한 연출적 방법들을 사용하고 있는지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개인과 개인, 개인과 사회와의 사회적 소통을 원활히 하기위해 도시 공공공간의 어떤 특성들이 지역의 커뮤니티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지를 고찰하고 특히 도시광장사례를 통해서 각 특성들이 어떠한 연출적 방법들을 사용하고 있는지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가설 설정
  • 8) 각 구성요소의 의미를 살펴보면 먼저 지역성은 지리적영역의 공유이다.

    그러나 많은 정의에서 공통요소로 일정한 지역성(area), 사회적 상호작용(social interaction), 공통의 유대(common ties)라는 세 가지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음을 밝혔다.8) 각 구성요소의 의미를 살펴보면 먼저 지역성은 지리적영역의 공유이다. 지역사회가 성립되기 위해서는 주민간의 정신적 연계가 가능한 공동의 생활터전으로 지리적영역인 공간적 단위가 있어야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참고문헌 (16)

  1. 1. 강기윤, 주민자치센터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논문, 2005 
  2. 2. 곽동화 외 3인, 지역커뮤니티의 활성화를 위한 공공시설디자인의 역할과 방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25권 제9호 2009 
  3. 3. 경실련 도시개혁센터 엮음, 알기 쉬운 도시이야기, 한울, 2006 
  4. 4. 김지현, 공공미술을 통한 도심 속 공공공간 발전방향에 관한연구, 연세대학교 석사논문, 2009 
  5. 5. 김필두, 읍.면.동 기능전환에 따른 주민자치센터 도입방안 연구, 한국지방행정연구원, 1999 
  6. 6. 남동훈 . 신중진, 커뮤니티개념을 고려한 아파트 계획기법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6 No.3, Sep. 2005 
  7. 7. 얀겔, 삶이 있는 도시디자인, 김진우 외 2 인 역, 푸른솔, 2003 
  8. 8. 이경민, 집합주거내에서의 커뮤니티 활성화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석사논문, 2006 
  9. 9. 이상민 외 2 인, 도시 공공공간 개선방향을 위한 개념 정립 및 현황 조사 연구, 건축도시공간연구소, 2008 
  10. 10. 장수한 외 2인, 인간행동과 사회 환경, 공동체, 2008 
  11. 11. 장현일, 커뮤니티 행정을 위한 주민자치센터 운영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박사논문, 2004 
  12. 12. 정유진, 1.2 인 가구 증가에 따른 미래 주거 환경의 변화, LG연구소 동향자료, 2010 
  13. 13. Calhoun. C. J, Community: toward a Variable Conceptu alization for Comparative Reserch, Social history5, 1980 
  14. 14. G.A.Hillery, Definition of Community, Rural Society, Vol. 19-2, 1995 
  15. 15. Gorge A. Hillry. Definition of community-Areas of Agreement, Rural Sociology, Vol.20, 1995.6 
  16. 16. Roland L. Warren, The community in Amcrica Rand Mc Nally & Co.10, 1972 

문의하기 

궁금한 사항이나 기타 의견이 있으시면 남겨주세요.

Q&A 등록

원문보기

원문 PDF 다운로드

  • ScienceON :

원문 URL 링크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DOI 인용 스타일

"" 핵심어 질의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