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신생아 중환자실 미숙아에게 엄마목소리 제공이 미숙아의 체중과 생리적 반응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Recorded Mother's Voice on the Body Weight and Physiological Reactions of the Premature Infants 원문보기

기초간호자연과학회지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13 no.2, 2011년, pp.94 - 101  

강인순 (부산대학교 간호학과) ,  김영희 (동명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effects of Recorded Mother's Voice on weight and physiological reactions to the premature infants.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the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test quasi-experimental design and the subject group was the premature inf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녹음된 엄마목소리가 미숙아의 체중 및 생리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녹음된 엄마목소리가 미숙아의 체중 및 생리적 반응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실험처치에 의한 유사실험 연구이다(Figure 1).
  • 본 연구는 미숙아에게 녹음된 엄마목소리 들려줌으로써 체중 및 생리적 반응에 대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시도한 비동등성 전후 유사실험설계이다. 본 연구 대상자는 P시 D대학병원 신생아 중환자실에 입원한 미숙아를 대상으로 녹음된 엄마목소리를 들려주는 실험군 25명, 대조군 25명을 임의표집 하였으며 연구기간은 2009 년 6월부터 2010년 1월까지 8개월이었다.
  • 생리적 반응이란 자극에 의해서 변화되는 인체의 기능과 현상을 의미한다(Stuart, 2008). 본 연구에서는 엄마목소리 제공에 따른 미숙아의 심박동수, 호흡수, 산소포화도의 변화를 의미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녹음된 엄마목소리가 미숙아의 체중, 생리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으로 구체적인 목표는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자는 엄마가 없는 상황에서도 아이에게 제공할 수 있는 녹음된 엄마목소리가 미숙아의 체중 및 생리적 반응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신생아집중치료실에 입원한 미숙아에게 긍정적인 청각자극으로 생리적 안정과 성장 발달을 위한 독자적인 간호중재 개발에 도움을 주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게 되었다.

가설 설정

  • 가설 1: 녹음된 엄마목소리를 제공한 실험군과 제공하지 않은 대조군의 체중에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 가설 2: 녹음된 엄마목소리를 제공한 실험군과 제공하지 않은 대조군의 심박동수에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 가설 3: 녹음된 엄마목소리를 제공한 실험군과 제공하지 않은 대조군의 호흡수에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 가설 4: 녹음된 엄마목소리를 제공한 실험군과 제공하지 않은 대조군의 산소포화도에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 녹음된 엄마목소리 제공한 실험군과 대조군의 처치 후 산소포화도에는 통계적으로 차이가 있을 것이다.
  • 녹음된 엄마목소리 제공한 실험군과 대조군의 처치 후 심박동수에는 통계적으로 차이가 있을 것이다.
  • 녹음된 엄마목소리 제공한 실험군과 대조군의 처치 후 체중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 녹음된 엄마목소리 제공한 실험군과 대조군의 처치 후 호흡수에는 통계적으로 차이가 있을 것이다.
  • 따라서 제 1가설인 ‘녹음된 엄마목소리 실험군과 대조군의 처치 후 체중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 따라서 제2가설인 ‘녹음된 엄마목소리 실험군과 대조군의 심박동수는 통계적으로 차이가 있을 것이다.
  • 따라서 제3가설인 ‘녹음된 엄마목소리 실험군과 대조군의 호흡수는 통계적으로 차이가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최근 7년간(2000-2006년) 우리나라의 저체중 출생아의 빈도는 어떻게 변했는가? 미숙아란 재태기간 37주 미만 또는 최종 월경일에서 259일 미만에 태어난 아기를 말하며, 출생시 체중이 2,500 g 이하일 때, 이를 넓은 의미로 저체중 출생아라고 부른다. 최근 7년간(2000-2006년) 우리나라의 저체중 출생아의 빈도는 3.79%에서 4.35%로 증가하였고 미숙아의 빈도도 3.79%에서 4.
미숙아란 무엇인가? 미숙아란 재태기간 37주 미만 또는 최종 월경일에서 259일 미만에 태어난 아기를 말하며, 출생시 체중이 2,500 g 이하일 때, 이를 넓은 의미로 저체중 출생아라고 부른다. 최근 7년간(2000-2006년) 우리나라의 저체중 출생아의 빈도는 3.
본 논문에서 미숙아에게 녹음된 엄마목소리 들려줌으로써 체중 및 생리적 반응에 대한 효과를 분석한 결과는 어떠한가? 1) 녹음된 엄마목소리 들려주기 중재를 제공한 실험군과 대조군 간에 체중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2) 녹음된 엄마목소리 들려주기 중재를 제공한 실험군과 대조군 간에 심박동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3) 녹음된 엄마목소리 들려주기 중재를 제공한 실험군과 대조군 간에 호흡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4) 녹음된 엄마목소리 들려주기 중재를 제공한 실험군과 대조군 간에 산소포화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Bae, J. W. (2000). Recent advanced of mortality, mobility and outcome in very low birth weight infants in Korea. Korean Journal of Perinatology, 11, 131-141. 

  2. Beatrice, L. H., Kurtvon, S., Helen, K., Hans, U. B., & Remo, H. L. (2003). Postnatal growth in VLBW infants: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neurodevelopmental out come. Journal of Pediatrics, 143, 163-170. 

  3. Bozzette, M. (2008). Healthy preterm infant responses to taped maternal voice. Journal of Perinatal & Neonatal Nursing, 22, 307-316. 

  4. Chou, S. J. (2004). The Effects of Music Therapy on the Body Weight, Heart Rate and Behavioral State of Premature Infa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5. Holditch-Davis, D., Bartlett, T. R., & Belyea, M. (2000). Developmental problems and Interaction Between Mothers and Prematurely Born Children. Journal of Pediatric Nursing, 15, 157-167. 

  6. Jang, G. J. (2007). The effects of multimodal sensory stimulation conbined with chiropractic therapy on growth and mother-infant interaction in infants with low birth weigh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3, 33-42. 

  7. Jang, M. Y. (2008). The effect of kangaroo care on weight and stress hormone (Cortisol) in premature infa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4, 138-145. 

  8. Kim, E. J. (2003). Meta-analysis on the effects of sensory stimulation of premature infa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9, 131-139. 

  9. Kim, K. S., & Bae, J. W. (2008). Trends in survival rate for very low birth weight infants and extremety low birth weight infants in korea, 1967-2007. Korean Journal of Perinatology, 51, 237-242. 

  10. Kim, M. S. (2000). Effects of sensory stimulus on body weight and behavioral state in preterm infa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11. Lee, H. J. (2009). Comparison and analysis of response of premature infants to auditory stimulu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5, 261-270. 

  12. Lisa, C., Kimbery, Y., Beth, H., Nancy, R., Nellie, I. H., Namasivayam, A., Betty, R. V., & Edward, F. D. (2004). Bias in reported neurodevelopmental outcome among ewtremely low birth weight survivors. Pediatrics, 114, 404-410. 

  13. MaCain, G. C. (1992). Facilitation inactive awake state in preterm infants : A study of three interventions. Nursing Research, 31, 157-160. 

  14. Park, J. S. (2009). The effectiveness of intervention of mothers song on low-birth infant in NICU.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5. Park, S. S. (2002). The effects of the music therapy on the weight, vital sign, behavioral state of the premature infa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eoul. 

  16. Song, H. S., & Shin, H. S. (2001). Effects of a sensory stimulation on weight gain, behavioral state, and physiological responses in premature infa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1, 703-711. 

  17. Standley, J. M. (2000). The effect of contingent music to increase non-nutritive sucking of premature infants. Pediatric Nursing, 26, 493-499 

  18. Stuart, I. F. (2008). Human Physiology/tenth edition, Seoul : Life Science Publishing Co. 

  19. Strunk, P. (2001). Preterm infant' behavioral responses to defferential amounts of auditory and visual stimulation. Virginia polytechnic institute and sate university, Blacksburg, VA. 

  20. White-Traut, R. C., Nelson, M. N., Burns, K. R., & Cunningham, N. (1993). Environmental influence on the developing premature infant: theoretical issues and applications to practice. Journal of Oberetric, Gynecologic and Neonatal Nursing, 23, 393-401. 

  21. White-Traut, R. C., Nelson, M. N., Silvestri, J. M., Cunningham, N., & Patel, M. (1997). Reponses of preterm infant to unimodal and multimodal sensory intervention. Pediatric Nursing, 23, 169-175. 

  22. YBM SISA. (2009). Elite Korean Dictionary YBM SISA. 

  23. Yeum, M. G. (2008). The effects of maternal heart sound on the body weight, physiological reaction and behavioral state.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Inha, Incheon.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