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음악요법 유형이 척추마취 수술환자의 수술 중 불안 및 활력징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ypes of Music in Music Therapy on Anxiety and Vital signs of Surgical Patients Undergoing Operation Using Spinal Anesthesia 원문보기

기초간호자연과학회지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13 no.2, 2011년, pp.149 - 155  

김연옥 (한림대학교 춘천성심병원) ,  김주현 (강원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ypes of music (relax music or preferred music that patients have chosen) can effects on anxiety, blood pressure and pulse, and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kinds of music in order to reduce anxiety of surgical patients using sp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 긴장완화음악요법과 환자가 선택한 선호음악요법과 같이 음악의 종류에 따라 불안과 활력증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긴장완화음악을 들려주었을 때와 선호음악을 들려주었을 때 어느 것이 더 효과적인지를 알아보고 그 결과를 토대로 척추마취수술 환자의 불안을 완화하고 생리적 안정에 도움이 되는 음악요법 간호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전인적이고 개별화된 간호를 제공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 본 연구는 척추마취 수술환자를 대상으로 긴장완화음악과 선호 음악요법이 불안과 활력징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비 동등성 전후 실험설계에 의한 유사 실험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척추마취를 하여 수술하는 환자를 대상으로 음악요법 중 긴장완화음악과 개인이 선택한 선호음악에 따라 수술 중 불안과 혈압, 맥박에 미치는 효과에 차이가 있는 지를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시행한 연구로서 마취가 끝나고 수술이 시작되는 단계에서 실험군 1은 긴장완화음악을 실험군2에게는 개인이 선택한 선호음 악을 MP3 와 이어폰으로 제공하였고 대조군에게는 음악을 제공하지 않았다. 연구결과, 상태불안에서 실험군 1과 실험군 2의 집단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대조군과 실험군 1, 2 집단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척추마취로 수술 받는 환자에게 긴장완화음악을 들려주었을 때와 환자가 선택한 선호음악을 들려주었을 때와 음악을 들려주지 않았을 때의 불안과 활력징후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는 것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가설 설정

  • 가설 1: 척추마취 수술 환자 중 긴장완화음악요법을 실시한 실험군 1과, 개인이 선택한 선호음악요법을 실시한 실험군 2 및 음악요법을 시행하지 않은 대조군 간의 상태불안은 차이가 있을 것이다.
  • 가설 2: 척추마취 수술 환자 중 긴장완화음악요법을 실시한 실험군 1과, 개인이 선택한 선호음악요법을 실시한 실험군2 및 음악요법을 시행하지 않은 대조군 간의 혈압은 차이가 있을 것이다.
  • 가설 3: 척추마취 수술 환자 중 긴장완화음악요법을 실시한 실험군 1과, 개인이 선택한 선호음악요법을 실시한 실험군 2 및 음악요법을 시행하지 않은 대조군 간의 맥박은 차이가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술로 어떠한 스트레스를 경험하는가? 수술은 신체적 불편과 심리적인 부담을 동반하는 스트레스 중의 하나로, 위협적인 경험이며 상황위기로 수술을 받는 많은 환자들이 수술과 관련된 불안을 경험하게 된다(Cho, 2000). 특히 척추마취를 이용한 수술은 수술이 이루어지는 동안 환자의 의식상태가 명료하게 유지되어 수술과정이나 수술기구, 수술로 인해 나타나는 여러 자극들을 보고 느끼게 되므로 수술을 받는 동안 불안의 정도가 더높아진다(Hong, 1994).
척추마취를 이용한 수술은 어떠한 스트레스를 경험하는가? 수술은 신체적 불편과 심리적인 부담을 동반하는 스트레스 중의 하나로, 위협적인 경험이며 상황위기로 수술을 받는 많은 환자들이 수술과 관련된 불안을 경험하게 된다(Cho, 2000). 특히 척추마취를 이용한 수술은 수술이 이루어지는 동안 환자의 의식상태가 명료하게 유지되어 수술과정이나 수술기구, 수술로 인해 나타나는 여러 자극들을 보고 느끼게 되므로 수술을 받는 동안 불안의 정도가 더높아진다(Hong, 1994). 수술과 관련된 불안은 자율신경계인 교감신 경을 활성화시켜 심박출량 증가, 혈당증가, 기관지확장, 말초혈관 수축, 혈압증가 등의 다양한 생리적 반응을 야기한다(White, 1992).
개인이 선택한 선호음악에 따라 수술 중 불안과 혈압, 맥박에 미치는 효과가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시행한 연구 결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척추마취를 하여 수술하는 환자를 대상으로 음악요법 중 긴장완화음악과 개인이 선택한 선호음악에 따라 수술 중 불안과 혈압, 맥박에 미치는 효과에 차이가 있는 지를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시행한 연구로서 마취가 끝나고 수술이 시작되는 단계에서 실험군 1은 긴장완화음악을 실험군2에게는 개인이 선택한 선호음 악을 MP3 와 이어폰으로 제공하였고 대조군에게는 음악을 제공하지 않았다. 연구결과, 상태불안에서 실험군 1과 실험군 2의 집단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대조군과 실험군 1, 2 집단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혈압과 맥박은 실험군 1, 실험군 2 및 대조군에서 수축기 혈압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 음악의 곡선택을 달리한 집단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음악요법 중재군과 대조군 간에는 상태불안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므로 음악의 종류와 무관하게 음악요법이 척추마취수술 환자의 상태불안을 완화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간호중재 방법임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수술실에서의 수술환자 간호에 음악요법을 더 많이 활용하도록 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Bradt, J., Dileo, C., Grocke, D., & Magill, L. (2011). Music interventions for improving psychological and physical outcomes in cancer patients. Cochrane Database Syst Rev. Aug 10, (8):CD006911. 

  2.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 (2nd ed.).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3. Cho, M. J. (2000). Study on the effect of the supportive nursing care to the anxiety reduction of the patient immediately before surgery in the operating room.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4. Cook, J. D. (1986). Music as an intervention in the oncology settinng. Cancer Nursing, 9, 23-28. 

  5. Damas, R.G. (1963). Psychological preparation for surgery. American Journal of Nursing, 63, 52-55. 

  6. Doh, B. N.(1992). The effect of planned patient education before surgery on recovery depending on the patterns of reac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7. Eckenhoff, E.J. (1956). Some operative warning of potential room death.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255,1075-1079. 

  8. Heiser, R.M., Chiles, K., Fudge, M., & Gray, S.E. (1997) The use of music during the immediate postoperative recovery period. AORN (American Operation Room Nurse) Journal, 65, 777-8, 781-5. 

  9. Hong, S. T. (1994). The effect of music therapy on vital sign changes of operational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Adult Nursing, 24, 377-387. 

  10. Jeong, H. C. (1997). Effect of music therapy during surgery for the patient under a regional anesthesia.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11. Kim, J. J. (1972). The study on the effect of psychological nursing on recovery of surgical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 97-113. 

  12. Kim, K. B., Kim, I. S., Jeong, M. Y., Oh, H. K., Kwon, Y. S., Lee, E. J., et al. (1999). The effect of the musical therapy on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in the institutional elderly. Journal of Korea Gerontological Nursing Society, 1, 213-223. 

  13. Kim, J. T., & Shin, D. K. (1978). A study on the standardization of STAI for Korea.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21(11), 69-75. 

  14. Kim, K. S., Kim, J. H., & Kim, S. J. (2008) The effects of the closed and open musical therapies to the patients with spinal and epidural anesthesia operation. Journal of Biological Nursing Science, 10, 154-161. 

  15. Kim, M. S. (2004). Effects on anxiety of nursing intervention therapy using music in the patients undergoing regional anesthesia.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sin University, Busan. 

  16. Kim, S. J., & Jun, E. H. (2000). The effect of music therapy on recovery of consciousness and vital signs in post operative patient in the recovery room.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 Nursing, 7, 222-238. 

  17. Kim, Y. M. (2002). Effects of Nursing Information and Music Therapy on Anxiety of The Patient Undergo Operation with Epidural Anesthesia.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hee University, Seoul. 

  18. Kwon, N. L. (2002). Effect of music therapy on anxiety and vitality of operation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19. Kwon, Y. S., & Kim, T. H. (2000). The effect of music therapy on anxiety of cesarean section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 Nursing, 7, 466-478. 

  20. Lee, J. M., & Hong, H. S. (2008). The effect of music therapy on anxiety and vital signs of spinal anesthesia operative patients. Journal of Biological Nursing Science, 10, 113-120. 

  21. Lee, S. H. (2005). Effect of music therapy on the anxiety and vital sign of operative pati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ejeon University, Daejeon. 

  22. Lee, S. H., Kim, S. H., Jung, M. H., & Kim, Y. S. (2008). The effects of music therapy on the quality of life of stroke patient.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41, 205-234. 

  23. Lee, S. M. (2010). The effects of music therapy on postpartum blues and maternal attachment of puerperal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0, 60-68. DOI: 10.4040/jkan.2010.40.1.60 

  24. Park, H. S., & Choi, E. S.(1997). Effects of musical listening on anxiety in patients before undergoing hysterectomy.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3, 58-66. 

  25. Park, K. K., (1995). Health & Music Therapy. Bitsaem: Seoul. 

  26. Park, S. H., & Park, K. S. (2000). The effect of music therapy on the preoperative anxiety of surgical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Adult Nursing, 12, 654-665. 

  27. Park, Y. J. (2002). Effect of music therapy on the anxiety and the vital sign of patients with LASIK surgery under local anesthesia. Unpublished master's thesi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Jinju. 

  28. Park, Y. S., & Kim K. S.(1996). The effect of music therapy on depressive mood and disorganized behaviors of psychiatric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10, 53-69. 

  29. Shin, H. Y. (2004). Effect of intraoperative music therapy on anxiety for patients undergoing local anesthesia.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30. Spileberger, C. D. (1972). Anxiety as an emotional state : Current trend in theory and research. Vol 1. Academic Press Inc, 481-493. 

  31. Steelman, V. M. (1990). Intraoperative music therapy: Effects on anxiety, blood pressure. AORN Journal, 52, 1026-1034. 

  32. White, J. M. (1992). Effects of relaxing music on cardiac autonomic balance and anxiety after acute myocardial infarction. American Journal of Critical Care, 8, 220-23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