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부 초등학생의 기본심폐소생술 교육효과에 대한 연구
A Study of the Effectiveness of Basic CP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Education of Primary School Children 원문보기

韓國學校保健學會誌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v.24 no.1, 2011년, pp.118 - 128  

강혜은 (내정초등학교) ,  김현숙 (신흥대학 간호과) ,  김윤신 (한양대학교 산업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research is based on experiments practiced with 6th grade students in primary school as subjects. They were trained in basic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theory and received actual training in CPR. Methods: The subjects were randomly sorted into two classes of the 6th grade student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2010년 6월 4일부터 2010년 9월 27일까지, 경기도 성남시에 있는 공립초등학교 6학년 7학급 중 무작위로 실험군 1학급(35명)과 대조군 1학급(32명)을 임의 표본추출하여 기본심폐소생술 이론 및 실기 교육 전 및 시간 경과에 따른 기본심폐소생술에 대한 지식 점수, 태도, 실기 수행 자신감의 변화, 실기 수행능력의 변화를 검정하기 위한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이다. 실험군에게는 이론 강의와 실기 실습 교육 및 실기 평가를 실시하였고, 대조군에게는 이론교육만 실시한 후 설문지 평가를 하였다.
  • 본 연구는 초등학교 6학년을 대상으로 기본심폐소생술이론 및 실기실습 교육을 적용한 후 시간 경과에 따른 심폐소생술 지식 점수, 태도, 실기 수행 자신감, 실기 수행 평가점수의 변화를 파악하여 심폐소생술 교육 효과를 평가하고 재교육 시기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고,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11~12세를 대상으로 기본심폐소생술 교육 전 · 후 및 시간 경과에 따른 지식, 태도, 실기수행 자신감, 실기 수행능력 평가 점수의 변화를 검정하여 초등학생에 맞는 기본심폐소생술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재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를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를 중심으로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자는 기본심폐소생술 교육 후 지식, 태도, 실기 수행 자신감의 변화, 실기 수행능력 평가를 실시하여 시간경과에 따른 차이를 검정하고, 실기 수행능력의 지속성을 유지시키기 위한 재교육 투입 시기를 알아보고 초등학교 6학년생의 응급상황 발생 시 최초반응자로서의 역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설정

  • “대상자의 기본심폐소생술 실기 수행 자신감은 교육 직후에 비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할 것이다.
  • “대상자의 기본심폐소생술 실기 수행능력 평가 점수는 교육 직후에 비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할 것이다.
  • “대상자의 기본심폐소생술에 관한 지식 점수는 교육 직후에 비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할 것이다.
  • “대상자의 기본심폐소생술에 관한 태도 점수는 교육 직후에 비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에서 노인까지를 대상으로 미국 심장협회(American Heart Association; AHA)에서 실시하는 심폐소생술 교육과정은 무엇인가? 미국 심장협회(American Heart Association; AHA)에서는 심폐소생술 교육과정을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에서 노인까지를 대상으로 하는 “Family & Friends CPR Course”를 통해 기본심폐소생술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AHA, 2002).
초등학교 6학년을 대상으로 기본심폐소생술이론 및 실기실습 교육을 적용한 연구결과는? 가설 1. “대상자의 기본심폐소생술에 관한 지식 점수는 교육 직후에 비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할 것이다.”는 실험군에서 12주 후에 교육 직후와 같은 수준으로 지식점수가 상승하였고, 대조군에서는 교육 직후에 비해 감소하였다. 따라서 가설 1은 실험군에서는 기각되었고 대조군에서는 지지되었다(F=5.870, p=.000). 가설 2. “대상자의 기본심폐소생술에 관한 태도 점수는 교육 직후에 비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할 것이다.”는 실험군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며 감소되었고, 대조군에서는 교육 직후와 같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가설 2는 실험군에서는 지지되었고 대조군에서는 기각되었다(F=5.122, p=.001). 가설 3. “대상자의 기본심폐소생술 실기 수행 자신감은 교육 직후에 비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할 것이다.”는 실험군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며 감소되었고 대조군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가설 3은 실험군에서는 지지되었고 대조군에서는 기각되었다(F=75.574, p=.000). 가설 4. “대상자의 기본심폐소생술 실기 수행능력 평가 점수는 교육 직후에 비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할 것이다.”는 실험군에서 교육 직후와 4주 간격으로 3회 반복 측정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며 감소되었다. 따라서 가설 4는 실험군에서 지지되었다(F=38.368,p=.000).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기본심폐소생술 이론 및 실기 실습 교육은 교육 직후에는 기본심폐소생술에 대한 태도, 실기 수행 자신감, 실기 수행 평가 점수의 향상에 교육직후에는 효과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시간경과에 따라 그 지속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기본심폐소생술 지식점수는 12주 후에 특별한 실험처치 없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심폐소생술 실기의 반복적인 평가, 학생들의 관심 증가가 지식점수의 증가에 영향을 준 것으로 생각된다. 실기 수행능력의 경우 교육 직후에 비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지속적으로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어 지식과 실기 수행능력이 비례하지는 않음을 보여주었으며, 실기 수행능력이 환자 발생 시 활용 가능한 기술로 습득되어 지속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심폐소생술교육 4주 후에는 실기 재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심폐소생술은 무엇인가? 심폐소생술(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은 심정지로 인한 주요 장기의 비가역적 손상을 막기 위하여 인공호흡과 순환보조를 통하여 조직으로의 산소공급을 유지하고, 궁극적으로는 환자의 심장박동을 회복시켜 심정지환자를 소생시키기 위한 치료 기술이다(AHA, 2005). 심정지가 발생한 후 대뇌가 비가역적인 손상을 받지 않고 견딜 수 있는 시간은 4~6분 정도이며, 약 4분까지가 신체 조직의 손상 없이 회복될 수 있는 시기로 이때의 심폐소생술 실시는 조직의 산소 공급을 유지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치료방법이다(황성오 등 200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강경희(1998). 현장응급처치자(First Responder)를 위한 기본인명 구조술 교육의 효과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2. 공지영(2006). 심폐소생술 교육 후 일반인의 의지. 태도에 대한 연구 가천의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3. 권용선(2005). 초등학교 고학년과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기본심폐소생술에 대한 교육 효과 비교. 울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울산. 

  4. 김현종, 임덕심, 이정옥, 이미경, 김경렬, 기강순 등(2007). Video self-instruction program을 이용한 심폐소생술의 학교 교육에 적합한 대상 학년의 선정. 대한응급의학회지, 8 (3), 196-201. 

  5. 김희정(2008). 초등학교 고학년생의 기본심폐소생술 교육효과 및 지속성.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충남. 

  6. 대한심폐소생협회(2006). 2006 공용 심폐소생술 가이드라인. 대한심폐소생협회 홈페이지, http://www.kacpr.org. 

  7. 대한심폐소생협회(2008). 일반인을 위한 심폐소생술 자기학습 프로그램-CPR Anytime. 

  8. 박세훈, 최혁중, 강보승, 임테호, 염석란(2006). 일부 최초반응자 직업군의 심폐소생술 지식과 태도에 대한 연구. 대한응급의학회지, 17 (6), 545-558. 

  9. 박종우, 성창민, 조영순, 최영환, 박인철, 김승호(2005). 의대생 대상의 심폐소생술 재교육 효과와 지속성. 대한응급의학회지, 17 (1), 8-13. 

  10. 박찬우(2005).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시행한 심폐소생술 교육의 적절성 및 효과. 강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강원. 

  11. 박찬우, 옥택근, 조준휘, 천승환, 이승용, 김성은 등(2005). 병원 내 간호 인력을 대상으로 시행한 심폐소생술 교육 효과에 대한 연구. 대한응급의학회지, 16 (4), 474-480. 

  12. 백미례(2000). 최초반응자를 대상으로 한 심폐소생술 교육 결과의 분석. 한국응급구조학회논문집, 4 (4), 83-93. 

  13. 송은영(2004). 서울시내 중학생의 심폐소생술에 대한 인식 교육경험 및 태도에 관한 연구. 울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울산. 

  14. 오수일(2007). 심폐소생술 재교육이 간호사의 지식과 기술에 미치는 지속효과.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15. 전혜진(2008). 중학생의 심폐소생술에 대한 지식 및 태도 조사. 여성건강, 9 (2), 85-96. 

  16. 정성필, 조준호, 박유석, 김의중, 김찬웅, 이경룡 등(2008). 대한응급의학회지, 19 (6), 627-631. 

  17. 최혁중(2006). 최초반응자 직업군의 심폐소생술에 대한 지식과 태도에 대한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18. American Heart Association Homepage http://www.heart.org. 

  19. American Heart Association. (2000). Guidelines 2000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d Emergency Cardiovascular Care, AHA. 

  20. American Heart Association. (2005). Guidelines 2005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d Emergency Cardiovascular Care, AHA. 

  21. American Heart Association. (2005-2006). Highlights of the 2005 American Heart Association guideline Currents in Emergency Cardiovascular Care, 16 (4), 2. 

  22. American Heart Association (2010). Highlights of the 2010 American Heart Association Guidelines for CPR and ECC, AHA. 

  23. Lewis, F. H., Kee, C. C., & Minick, M. P. (1993). Revisiting CPR knowledge and skills among registered nurses. J Contin Educ Nurse, 24 (4), 174-179. 

  24. Lester, C. A., Dommelly, P. D., & Assar, D. (2000). Lay CPR trainees retraining, confidence and willingness to attempt resuscitation 4 years after training Lewis, R. M., Fulstow, R. Smith, G. B. (1997). The teaching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45 , 77-82. 

  25. Mahony, P. H., Griffiths, R. F., Larsoen, P., & Powell, D. (2007). Retention of knowledge and skills in first aid and resuscitation by airline cabin crew. J Resuscitation, 30 , 1016-1026. 

  26. Plotnikoff, R, & Moores, P. J. (1989). Retention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knowledge and skills by 11- and 12-year-old children. Med J Aust, 150 (6), 296, 298-299, 30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