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홍화씨(잇꽃, Carthamus tinctorius L.) 연구 동향에 대한 고찰

Reviews of Research trends on Safflower seed (Carthamus tinctorius L.)

大韓韓醫學原典學會誌 =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classics, v.24 no.6, 2011년, pp.63 - 90  

최철한 (대치본디올 한의원) ,  김현동 (상지대학교 원전 의사학 교실) ,  임이빈 (상지대학교 원전 의사학 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afflower is a world-wide plant for multiple uses. flower of safflower is honghwa(紅花) which has been used for heart disease in oriental medicine. but its seed was not used in oriental medicine. after the publication of "Shinyak(神藥)" - the late 1980s, its seed(紅花子, hongwhassi) was known as good for b...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홍화씨의 원산지는 어디인가? ① 원산지 : 국화과 잇꽃1)을 말하며, 아프가니스탄의 산악 지대 또는 이집트 및 에티오피아가 원산이다.
홍화씨 물 추출물에는 무엇이 있는가? ① 홍화씨 물 추출물에는 K(2.306μg/g), P(1.043μg/g), Mg(0.474μg/g), Al(0.175μg/g), Fe(0.100μg/g), Ca(0.075μg/g), Zn(0.070μg/g), Na(0.066μg/g), Cu(0.055μg/g), Sr(0.022μg/g) 등의 미네랄이 있었다. 홍화씨 MeOH 추출물에는 Ca(3.
홍화씨의 우리나라 유입시기는? ③ 우리나라 유입 : 신라시대 이전부터 약용, 염색, 연지 등의 목적으로 재배되어 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3)

  1. 강관의, 이선영. 홍화씨가 성장기 흰쥐의 골격대사에 미치는 영향. 충남생활과학연구지. 1999. 

  2. 강정구, 유형근, 신형식. 홍화씨 추출물이 치주인대세포와 조골유사세포의 골 광물화 작용에 미치는 효과. 대한치주과학회지. 1998. 28(3). pp. 475-489. 

  3. 강정부,정태성,연성찬,라도경,김종수,송해룡,김용환, 강호조신기욱,박미림,김은희,김곤섭. 이차원적 전기영동을 이용한 홍화씨의 신생골 형성 기작에 관한 연구. 한국임상수의학회지. 2002. 19(1). pp. 49-54. 

  4. 강호석 등. 조직학 제2판 서울. 고문사. 1994. 

  5. 高文遠, 李志亮, 肖培根. 紅花種子萌發初期的生理生化硏究. 中國中藥雜志. 1996. 21(6). pp. 338-340. 

  6. 國家中醫藥管理局 中華本草 編委會. 中華本草. 上海. 上海科學技術出版社. 1999. 

  7. 김기영, 김상범, 임종우. 축산물 및 가공 : 홍화씨 Yoghurt 급여가 난소절제 Rat의 골다공증에 미치는 영향. 한국동물자원과학회지. 2004. 46(1). pp. 69-76. 

  8. 김덕규, 홍성우, 유경태, 서재진, 김흥식, 유형근, 신형식. 홍화씨 추출물의 국소투여가 백서 두개골 결손부 재생에 미치는 영향. 대한치주과학회지. 1999. 29(2). pp. 297-310. 

  9. 김미려, 양재하, 서부일. 홍화자가 난소절제로 유발된 폐경 후 골다공증 흰쥐의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본초학회지(본초분과학회지). 1998. 13(2). pp. 37-43. 

  10. 김미려. 폐경 후 골다공증 모델 흰 쥐의 골대사에 미치는 홍화자 추출물의 영향. 제한동의학학술원논문집. 2008. 6(1). pp. 183-194. 

  11. 김성태, 전길자, 임소형, 조규성, 김종관, 최성호. 백서 두개골 결손부에서 홍화씨 추출물의 골조직재생 유도효과. 대한치주과학회지. 2000. 30(4). pp. 835-852. 

  12. 김수미, 최인혁, 김남수. 흰쥐의 난소제거로 유발한 골다공증에 대한 홍화씨의 IGFs, IGF binding protein-3 그리고 BALP에 대한 혈청내 효과. 한국임상수의학회지. 2003. 20(3). pp. 263-273. 

  13. 김은옥, 이기택, 최상원. 홍화(Carthamus tinctorius L.)씨와 발아홍화씨의 화학성분 비교.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2008. 37(9). pp. 1162-1167. 

  14. 김일훈. 神藥. 서울. 仁山家. 1986. 

  15. 김일훈. 神藥本草 前篇. 서울. 仁山家. 1992. 

  16. 김준한, 김종국, 강우원, 하영선, 최상원, 문광덕. 홍화의 부위별 화학성분과 DPPH Radical 소거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2003. 32(5). pp. 733-738. 

  17. 김준한, 전선민, 박영애, 최명숙, 문광덕. 홍화종실분말 식이가 고지방 - 고콜레스테롤 섭취 흰쥐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1999. 28(3). pp. 625-631. 

  18. 김준한. 한국산 홍화(Carthamus tinctorius L.) 종실의 골절치유 및 지질대사개선 효능과 가공식품 개발.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집. 1998. 

  19. 김화영. 식이 단백질 수준이 Ca 및 골격대사에 미치는 영향. 식품영양정보. 1994. 5. pp. 13-33. 

  20.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서울. 향문사. 1985. p. 779. 

  21. 류인철, 이용무, 구영, 배기환, 정종평. 홍화 추출물이 치주인대세포, 조골세포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치주과학회지 1997. 27(4). pp. 867-882. 

  22. 武漢市冠心病協作組. 紅花制劑的藥理實驗, 1973. 

  23. 백성숙, 전선민, 서현주, 문광덕, 최명숙. 홍화씨 추출물의 보충이 고콜레스테롤 식이를 급여한 흰쥐의 지질저하 박용에 미치는 효능.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998년 제44차 추계 학술발표회 및 정기총회. 

  24. 象山. 紅花子油的神奇功效. 家庭中醫藥 2006. 8. 

  25. 서재진,김탁,피성희,윤기연,유형근,신형식. 홍화씨 추출물 및 우골유도합성골이 성견골 결손부 재생에 미치는 영향. 대한치주과학회지 2000. 30(3). pp. 553-569. 

  26. 서현주 외 7인. 늑골 골절을 유도한 흰쥐에서 홍화씨 분말 및 분획들의 급여가 골절 회복 중 골조직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양학회지 2000. 33(4). pp. 411-420. 

  27. 송해룡 외 7인. 가토의 대퇴골 골결손시 홍화씨 분말 및 마타이레시놀 투여가 신생골형성에 미치는 영향. 대한골절학회지 2002. 15(2). 

  28. 송해룡, 라도경, 김종수, 정태성, 김용환, 강호조, 강정부, 연성찬, 김은희, 이후장, 신기욱, 박미림, 김곤섭. 홍화씨가 신생골 형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임상수의학회지. 2002. 19(1). pp. 66-72. 

  29. 岳金煥. 紅花?粕中?基肉桂?血淸素的分離及活性硏究. 江南大學. 碩士, 2008. 

  30. 王仁?. 紅花?油抗炎作用的實驗硏究. 河南中醫. 2008. 28(2). 

  31. 운일희. 홍화씨성분이 칼슘채널활성화, 조골세포 분화속도 및 골다공증 환자의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구강생물공학연구소. 농림부 제출 논문. 2002. 

  32. 유경태, 최광수, 윤기연, 김은철, 유형근, 신형식. 백서 두개골 결손부의 골 대체물 이식과 홍화씨 섭취 후의 치유양상. 대한치주과학회지. 2000. 30(1). pp. 91-104. 

  33. 육태한, 이창현, 이학인. 원저 : 홍화자, 녹용, 자하거약침이 골다공증에 미치는 영향. 대한침구학회지. 2001. 18(1). pp. 61-75. 

  34. 윤동환, 이승철, 김명은, 김은철, 유형근, 김윤철, 신형식. 홍화씨 추출물이 조골모유사세포 활성 및 골재생에 미치는 영향. 대한치주과학회지. 1998. 28(4). pp. 769-784. 

  35. 이인우, 최진규. 홍화씨 건강법. 서울. 태일 출판사. 1998. pp. 45-70. 

  36. 全軍心血管防治會議技術資料選編 1973. p. 83. 

  37. 전선민, 김준한, 이희자, 이인규, 문광덕, 최명숙. 한국산 홍화씨 분말 보충식이의 급여가 골절된 흰쥐의 골대사지표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양학회지. 1998. 31(6). pp. 1049-1056. 

  38. 趙忠堂, 國素梅, 李光勝, 王學軍, 袁燕東. 紅花?油的醫療保健价値. 基層中藥雜志. 2000. 14(5). 

  39. 朱震亨. 丹溪醫集?本草衍義補遺.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0. p. 103. 

  40. 최성희, 임성임, 장은영, 조영수. 화학/분석 : 홍화꽃 및 홍화씨의 휘발성성분. 한국식품과학회지 2004. 36(2). pp. 196-201. 

  41. 최영주, 최상욱. 홍화(Carthamus tinctorius L.)씨의 sterol 및 phytoestrogen 분석. 생명과학회지. 2003. 13(4). pp. 529-534. 

  42. 최철한. 本草記. 서울. 대성의학사. 2009. p. 122. 

  43. 하태영, 정원일, 박상준, 정규식, 이차수. 홍화씨 식이가 사염화탄소에 의한 랫트 간손상에 미치는 영향 : 병리조직학적 관찰. 한국수의병리학회지 2001. 5(1). pp. 9-16. 

  44. 허준. 윤석희,김형준 옮김. 對譯 東醫寶鑑. 경남. 동의보감출판사. 2005. p. 2007. 

  45. 허지선, 강정화, 유윤정, 김창성, 조규성, 최성호. 홍화씨 분획 추출물이 치주인대 섬유아세포와 MC3T3-E1 세포에 미치는 영향. 대한치주과학회지. 2001. 31(4). pp. 833-846. 

  46. Anderson JB and Gamer SC. The effects of phytoestrogen on bone. Nutr Res. 1997. 17. pp. 1617-1632. 

  47. Banks W.J. Applied veterinary histology 2nd ed. Williams and Wilkins Publisher. 1986. 

  48. Belayneh, H. and Y. Wolde-Mariam. Safflower production, utilization and research in Ethiopia. Proceedings of the 2nd International Safflower Conference, (ISC'91), Hyderabad, India. 1991. pp. 43-55. 

  49. Berglund,D.B., N. Riveland, and J. Bergman. Safflower production. NDSU Ext. Circ. A-870 (revised). North Dakota Agric. Exp. Stn., North Dakota State Univ., Fargo. 1998. 

  50. Cho Sung-Hee, Choi Sang-Won, Choi Young-Sun, Kim, Hee-Jung, Park Youn-Hee, Bae Yong-Chul, Lee Won-Jung. Effect of Ethanol Extract of Safflower Seed on Bone Loss in Ovariectomized Rat.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2007. 16(3). pp. 392-397. 

  51. Draper CR, Edel MJ, Dick IM, Randall AG, Martin GB, Prince RL. Phytoestrogen reduce bone loss and bone resorption in oophorectomized rats. J Nutr. 1997. 127(9). pp. 1795-1799. 

  52. Harbige LS, Yeatman N, Amor S, Crawford MA. Prevention of experimental autoimmunne encephalomyelitis in Lewis rats by a novel fungal source gamma-linoleic acid. Br J Nutr. 1995. 74(5). pp. 701-715. 

  53. JOHNSON R. C., LI DAJUE. Safflower Winter Survival and Selection Response Relates to Fall Growth Morphology and Acclimation Capacity. Crop science. 2008. 48(5). pp. 1872-1880. 

  54. Johnston, A. M., Tanaka, D. L., Miller, P. R., Brandt, S. A., Nielson, D. C., Lafond, G. P. and Riveland, N. R. Oilseed crops for semiarid cropping systems in the Northern Great Plains. Agron. J. 2002. 94. pp. 231-240. 

  55. Jung KH, Jeong CS. Protective effect of Carthamus tinctorius L. semen on hepatotoxicity by carbon tetrachloride in rats. J Appli Pharmacol 1996. 4. pp. 426-436. 

  56. Jung Seop ROH, Ji Young HAN, Jung Han KIM, and Jae Kwan HWANG. Inhibitory Effects of Active Compounds Isolated from Safflower (Carthamus tinctorius L.) Seeds for Melanogenesis. Biol. Pharm. Bull. 2004. 27(12). pp. 1976-1978. 

  57. Kang GH, Chang EJ and Choi SW. Antioxidative activity of phenolic compounds in roasted safflower(Carthamus tinctorious L.) seeds. J Food Sci Nutr 1999. 4. pp. 221-225. 

  58. Kang MI. Clinical application of biochemical markers of bone tureover. 대한골대사학회지 1994. 1(2). pp. 246-253. 

  59. KATSUDA Shin-ichiro, SUZUKI Katsuya, KOYAMA Naoto, TAKAHASHI Michio, MIYAKE Masao, HAZAMA Akihiro, TAKAZAWA Kenji. Safflower seed polyphenols(N-(pcoumaroyl) serotonin and N-feruloylserotonin) ameliorate atherosclerosis and distensibility of the aortic wall in Kurosawa and Kusanagi-hypercholesterolemic( KHC) rabbits. official journal of the Japanese Society of Hypertension. 2009. 32(11). pp. 944-949. 

  60. Khan, A.R. Studies in Indian Oil seed. No.3 Carthamus tinctorius L. The types of Safflower. Memoris. Dept. Agri. India. Bot, Ser. 1929. p. 18. 

  61. Kim Eun-Ok, Oh Ji-Hae, Lee Sung-Kwon, Lee Jun-Young, Choi Sang-Won. Antioxidant Properties and Quantification of Phenolic Compounds from Safflower(Carthamus tinctorius L.) Seeds.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2007. 16(1). pp. 71-77. 

  62. Kim HJ, Bae YC, Park RW, Choi SW, Cho SH, Choi YS, Lee WJ. Bone-protecting effect of safflower seeds in ovariectomized rats. Calcif Tissue Int. 2002. 71(1). pp. 88-94. 

  63. Knowles, P. F., Bill, A. B., & Ruckman, J. E. High oleic acid content in new safflower, UC-1. California Agriculture. 1965. 19. p. 15. 

  64. Knowles, P.F. Centers of plant diversity and conservation of crop germplasm : Safflower. Econ. Botany. 1969. 23. pp. 324-329. 

  65. Knowles, P.F. Report of Sabbatic Leave. Report for University of California, Davis, CA. 1965. 

  66. KOYAMA N. Serotonin derivatives, major safflower(Carthamus tinctorius L.) seed antioxidants, inhibit low-density lipoprotein(LDL) oxidation and atherosclerosis in apolipoprotein E-deficient mice. J Agric Food Chem. 2006. 54. pp. 4970-4976. 

  67. Lee JY, Chang EJ, Kim HJ, Park JH, Choi SW. Antioxidative flavonoids from leaves of Carthamus tinctorius. Arch Pharm Res. 2002. 25(3). pp. 313-319. 

  68. Li Dajue, Hans-Henning Mundel. Safflower. Carthamus tinctorius L. Promoting the conservation and use of underutilized and neglected crops.7. Institute of Plant Genetics and Crop Plant Research, Gatersleben/International Plant Genetic. Resources Institute, Rome, Italy. 1996. 

  69. M. H. PAHLAVANI, A. F. MIRLOHI, AND G. SAEIDI. Inheritance of Flower Color and Spininess in Safflower(Carthamus tinctorius L.) Journal of Heredity 2004. 95(3). pp. 265-267. 

  70. McPherson, M. A., Good, A. G., Topinka, A. K. C. and Hall, L. M. Theoretical hybridization potential of transgenic safflower(Carthamus tinctorius L.) with weedy relatives in the New World. Can. J. Plant Sci. 2004. 84. pp. 923-934. 

  71. Naoto Koyama, Katsuya Suzuki, Yasushi Furukawa, Harumi Arisaka, Tetsuya Seki, Kanna Kuribayashi, Koichi Ishii, Eiji Sukegawa, Michio Takahashi. Effects of safflower seed extract supplementation on oxidation and cardiovascular risk markers in healthy human volunteers. British Journal of Nutrition. 2009. 101. pp. 568-575. 

  72. Nase, H,G et al. Effects of fertiliization and papulation rate-spacing on Safflower yield and other characteristics. Agron. J. 1978. p. 70. 

  73. Palter R, Lundin RE, Haddon WF. A cathartic lignan glycoside from Carthamus tinctorus. Phytochemistry 1972. 11. pp. 2871-2874. 

  74. Palter R, Lundin RE. A bitter principle of safflower, matairesinol monoglucoside. Phytochemistry 1970. 9. pp. 2407-2409. 

  75. Patel, M.Z., M.V. Reddi, B.S. Rana, B.J. Reddy. Safflower(Carthamus tinctorius L.). Indian J. Genetics and Plant Breeding. 1989. 49(1). pp. 113-118. 

  76. Price C.P and Thomson P,W. The role of Biochemical tests in the screening and monitoring of osteoporosis. Ann. Clin. Biochem. 1995. 30. pp. 244-260. 

  77. Sakamura A, Terayama Y, Kawakatsu S, Ichihara A, Saito H. Conjugated serotonins related to cathartic activity in safflower seeds(Carthamus tinctorius L.). Agric Biol Chem 1978. 42. pp. 1805-1806. 

  78. Smith, J.R. Safflower. AOCS Press, Champaign, IL, USA. 1996. p. 624. 

  79. Takemasa Takii, Masaru Hayashi, Hiroyuki Hiroma, Taku Chiba, Sachiko Kawashima, Hui Li Zhang, Akito Nagatsu, Jinsaku Sakakibara, Kikuo Onozaki. Serotonin Derivative, N-(p-Coumaroyl)serotonin, Isolated from Safflower(Carthamus tinctorius L.) Oil Cake Augments the Proliferation of Normal Human and Mouse Fibroblasts in Synergy with 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bFGF) or Epidermal Growth Factor(EGF). J. Biochem. 1999. 125. pp. 910-915. 

  80. Weiss, E.A. Castor, Sesame and Safflower. New York. Barnes and Noble, Inc. 1971. pp. 529-744. 

  81. Young Seok Lee, Chang Won Choi, Jae Jin Kim, Andy Ganapathi, Rajangam Udayakumar, and Sei Chang Kim. Determination of Mineral Content in Methanolic Safflower (Carthamus tinctorius L.) Seed Extract and Its Effect on Osteoblast Markers. Int J Mol Sci. 2009. 10(1). pp. 292-305. 

  82. Young-Chul Lee, Se-Wook Oh, Jaehyun Chang, In-Hwan Kim. Chemical composition and oxidative stability of safflower oil prepared from safflower seed roasted with different temperatures. Food Chemistry. 2004. 84(1). pp. 1-6. 

  83. Zhang Hui Li, Nagatsu Akito, Watanabe Toshihiro. Antioxidative Compounds Isolated from Safflower(Carthamus tinctorius L.) Oil Cake. Chemical and pharmaceutical bulletin. 1997. 45(12). pp. 1910-19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