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저소득층 노인을 위한 맞춤영양관리 프로그램의 개발과 시범 적용 연구
A Study on Customized Nutrition Intervention Program Design and Application for the Low-Income Elderly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16 no.6, 2011년, pp.716 - 729  

도현주 (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영양교육 전공) ,  이영미 (경원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plan nutrition support programs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whose nutrition status were seriously concerned, conducted seven stages nutrition intervention program on a trial basis, and evaluated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of the Elderly Nutrition Support Project. Subject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는 우리나라에서 만성질환자의 증가에 대비하고, 건강관리에 취약계층인 저소득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노인맞춤영양프로그램을 계획하여 시범적으로 실시한 후, 이 프로그램 운영효과 분석을 통해 허약 노인의 영양건강상태의 개선정도를 파악하고 나아가 프로그램 중 식품지원이 노인영양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영양취약 노인을 위한 맞춤형 영양지원 프로그램의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노인대상 맞춤형 영양관리 프로그램 구성을 영양 중재 실시 전에 구성하였고, 구성된 프로그램에 준하여 노인영양지원사업 대상자에게 본 프로그램을 적용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진행은 연구 참여자의 동의를 구한 후 자발적 참여 의사를 표시한 대상자에 한하여 비교 분석 자료를 조사하여 영양 중재효과를 분석 하였다.
  • 본 연구는 노인을 위한 맞춤형 영양 프로그램의 토대를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영양 상태가 나쁜 저소득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노인 맞춤 영양중재프로그램을 계획하여 시범적으로 실시한 결과를 살펴보고, 향후 노인을 위한 맞춤형 영양중재 프로그램 개발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도 현재 임신부와 영유아 대상 ‘영양플러스’사업의 모델과 같이 선별된 영양취약 집중관리군에 대한 식품지원과 일대일 대면 교육을 실시한 중재 모델을 적용하여 긍정적인 운영 결과를 제시하는 바이다.
  • 저소득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영양불량 상태 개선을 위한 맞춤형 영양 중재 프로그램을 제한적 범위 내에서 시범적으로 실시한 결과를 비교 고찰 해보면 다음과 같다. 본 프로그램의 구성은 초기 단계의 시험 프로그램으로 중재 전 후의 식생활 행동, 영양섭취 상태를 비교 분석한 것과 함께 중재프로그램내용 중 영양교육만 실시하는 집단과 영양교육과 함께 식품지원이 이루어진 중재프로그램의 교육효과를 비교분석 함으로써 향 후 영양중재프로그램의 다양화를 모색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였다.
  • 본 연구는 노인을 위한 맞춤형 영양 프로그램의 토대를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영양 상태가 나쁜 저소득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노인 맞춤 영양중재프로그램을 계획하여 시범적으로 실시한 결과를 살펴보고, 향후 노인을 위한 맞춤형 영양중재 프로그램 개발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의 맞춤영양관리 프로그램이란 다음과 같은 목적과 내용으로 실시되는 프로그램으로 제한 정의하였다. 프로그램은 저 영양상태를 예방 또는 개선하여 노인의 영양상태 및 건강상태를 호전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으며, 프로그램 내용은 고령자의 환경과 변수를 고려하여 6차에 걸친 10주간 프로그램으로 일대일 교육을 실시하는 교육이었다. 중재 실시후 일상적인 식생활관련 생활기능의 관리능력이 유지 향상됨으로써 영양관리 프로그램 실시 후에도 스스로 관리가 가능 하도록 연구자에 의하여 구성된 영양교육 프로그램으로 제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령인구 20% 이상인 초고령사회가 될 것으로 전망되는 것은 몇 년도인가? 우리나라는 2018년에는 고령인 인구가 14% 이상으로 구성된 고령사회로의 진입이 예상되며, 2026년에는 고령인구 20% 이상인 초고령사회로 전망되어 빠른 속도로 인구의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다(Kim 등 2006;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0). 이는 향후 노인 인구에 대한 건강관리가 사회의 주요 문제로 대두될 것임을 시사하고 있어 국가적 차원의 대책이 여러 분야에서 모색되고 있다.
노인 인구에 대한 건강관리가 사회의 주요 문제로 대두될 것임을 시사하고 있다는 것에 대한 근거는 무엇인가? 우리나라는 2018년에는 고령인 인구가 14% 이상으로 구성된 고령사회로의 진입이 예상되며, 2026년에는 고령인구 20% 이상인 초고령사회로 전망되어 빠른 속도로 인구의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다(Kim 등 2006;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0). 이는 향후 노인 인구에 대한 건강관리가 사회의 주요 문제로 대두될 것임을 시사하고 있어 국가적 차원의 대책이 여러 분야에서 모색되고 있다.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 중 최소한 한 가지 이상의 만성질환을 가지고 있는 비율은 얼마인가? 이는 향후 노인 인구에 대한 건강관리가 사회의 주요 문제로 대두될 것임을 시사하고 있어 국가적 차원의 대책이 여러 분야에서 모색되고 있다.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 86.7%가 최소한 한 가지 이상의 만성질환을 가지고 있는데 이들 질환의 대부분이 영양과 관련이 있으며, 노년기에 있어 만성질환의 치유와 증상 발현을 억제하므로 영양관리는 매우 중요하다(Kim 등 2000; Kang 등 2008). 노화가 진행되어 감에 따라 치아 손실, 소화흡수력의 저하는 충분한 영양소 섭취 및 이용에 어려움을 주며, (Choe & Bang 2004; Choi 등 2007) 이외 사회적 요인으로는 독거노인의 경우 배우자 상실로 인한 의욕 상실과 사회적 고립에 의한 우울증 등으로 식욕저하 현상이 빈번히 보고되고 있다(Lee & Chang 1999; Lee 등 2000; Kwak 등 200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Available from http://www.aoa.gov/AoARoot/AoAprograms [cited 2011 November 24] 

  2. Choe JS, Baeg HY (2004): Seasonal variation of nutritional intake and quality in adults in longevity areas. Korean J Soc Food Sci Nutr 33(4): 668-678 

  3. Choe YJ, Park YS, Kim C, Jang YG (2004): Evaluation of functional ability and nutritional risk according to self-rated health (SRH) of the elderly in Seoul and Kyunggi-do. Korean J Nutr 37(3): 223-235 

  4. Choi YJ, Kim C, Park YS (2007): The effect of nutritional education program in physical health, nutritional status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in Seoul. Korean J Nutr 40(3): 270- 280 

  5. Chung SH, Sohn CM (2005): Nutritional status of hospitalized geriatric patients using by the mini nutritional assessment. Korean J Community Nutr 10(5): 645-653 

  6. Dwyer JT(1996): How will Koreans meet this challenge? Longevity and Quallty of Life in the 21st century. International Symposium in Commemoration of the 50th Anniversary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pp.59-81 

  7. Forger-Levit E, Lau D, Csima A, Krond IM, Coleman P, West BR, Wood L, Hanger VF, Schugart GS (1977): Food service in institutions. pp.20-23, John Wiley & Sons, New York 

  8. Han KH, Choi MS, Park JS (2004): Nutritional risk and its related factors evaluated by the mini nutritional assessment for the elderly who are meal service participants. Korean J Nutr 37(8): 675-687 

  9. Jun BH (2000): An investigation of the intake of the health food among the salarymen in Seoul. Korean J Soc Food Sci 16(1): 9- 16 

  10. Kang NE, Lee JY (2006): The analysis of effect on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the elderly in Sung-nam ar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18(4): 357-366 

  11. Kang YH, Kim MY, Eliza L (2008): The relationship of perceived health status,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nutrition status in the community-dwelling Korea elderly. Korean J Acad Nurs 38(1): 122-130 

  12. Kennedy ET (2006): Evidence for nutritional benefits in prolongig wellness. Am J Clin Nutr 83(suppl): 410s-414s 

  13. Kim IS, Yu HH, Kim YS (2001): A study on nutrient intake, food behavior and health conditions according to food intake diversity in the elderly in a local city. Korean J Community Nutr 6(2): 205-217 

  14. Kim KN, Hyun TS, Lee JW (2000): Development of a simple screening test for identifying Korean elderly at risk of undernutrition. Korean J Community Nutr 5(3): 475-483 

  15. Kim YH, Ha TY, Lee BH (2006): A comparative analysis of mental status, dietary life and nutritional status among senior citizens with or without leisure activities in urban area. Korean J Soc Food Sci Nutr 35(4): 422-429 

  16. Kim YS, Kim SR, Jang YH, Kim DS, Kim KH (2011): A case study on effects of Nutrition-Plus Program- Based on infants and children under age 6 and their mothers in Naju region. J Korean Regional Studies 19(3): 145-155 

  17.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2010): Dependency Ratios & Agedchild ratio. Population Projections 2010 

  18.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09): Development of a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the elderly 

  19. Kwak EH, Lee SL, Yoon JS, Lee KS, Kwon CS, Kwun IS (2003): Macronutrit, mineral and vitamin intakes in elderly people in rural area of North Kyungpook province in South Korea. Korean J Nutr 36(10): 1052-1060 

  20. Lee DH (2010): The effects of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s health condition J. Korean Gerontological Soc 30(1): 93-108 

  21. Lee HS, Chang MJ (1999): Effect of family type on the nutrient intake and nutritional status in elderly women. Korean J Soc Food Sci Nutr 28(4): 934-941 

  22. Lee JS (2009): Older American Act nutrition programs, Workshop Booklet of KHIDI 

  23. Lee KW, Lee YM, Kim JH (2000): The health and nutritional status of low-income, alone-living elderly. Korean J Community Nutr 5(1): 3-12 

  24. Lee OH (2002): A comparison of nutritional status and muscle strength of elderly women in a social welfare center and those residing at home. Korean J Community Nutr 7(5): 603-614 

  25. Lee YM, Oh UJ, Kim YO (2009): Nutrition education mannual for elderly. Research report of Korean Health Promotion Foundation 

  26. Mattes RD (2002): The chemical senses and nutrition in aging: Challenging old assumptions. J Korean Soc Food Nutr 24(4): 530-536 

  27. Moon HK, Kong JE(2009): Reliability of nutrition screening using DETERMINE checklist for elderly in Korean rural areas by season. Korean J Community Nutr 14(3): 340-353 

  28. Park MY, Lee KH, Youn HS (2001): Nutrition status of rural elderly living in Kyungnam -Focusing on health-related habits, dietary behaviorsand nutrition intakes. Korean J Community Nutr 6(3S): 527-541 

  29. Ponser BM, Jette AM, Smith KW, Miller DR (1993): Nutrition and healthy risk in the elderly. The Nutrition Screening Initiative. Am J Public Health 83: 972-978 

  30. Son SM, Park JK (2005): The changes of dish consumption frequencies, dietary attitude and health-nutrition risk for single living female elderly on food-aid program. Korean J Diet Assoc 11(3): 2896-298 

  31. Yang EJ, Bang HM (2008): Nutritional status and health risks of low income elderly women in Gwangju area. Korean J Nutr 41(1): 65-76 

  32. Yoon HJ, Lee HK, Lee SK (2007): The health status and nutrient intakes of elderly female in Daegu area. Korean J Community Nutr 12(1): 50-57 

  33. Yim KS (2008): The effects of a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hypertensive female elderly at the Public Health Center. Korean J Community Nutr 13(5): 640-652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