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항암화학요법을 받고 있는 암 환자의 신체활동변화에 따른 체질량지수, 불안, 우울 및 피로
Differences in Body Mass Index, Anxiety, Depression, and Fatigue by Physical Activities in Cancer Patients Undergoing Chemotherapy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3 no.4, 2011년, pp.386 - 396  

서남숙 (동신대학교 한의과대학 간호학과) ,  김세자 (광주대학교 보건복지교육대학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level of physical activities at time points of pre-illness and current treatment, and the differences in body mass index (BMI), anxiety, depression and fatigue according to their physical activity in cancer patients undergoing chemotherapy. Methods: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외래를 통해 항암화학요법을 받고 있는 암 환자의 진단 전과 현재 신체활동 수준을 조사하고 신체활동의 변화에 따른 체질량지수, 불안, 우울 및 피로 정도의 차이를 비교분석함으로써 암 환자들의 신체활동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건강증진을 위한 운동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외래주사실을 통해 항암화학요법을 받고 있는 암 환자의 진단 전과 현재의 신체활동 변화를 파악하고 신체활동 변화에 따른 체질량지수, 불안, 우울 및 피로 정도의 차이를 분석한 연구이다. 대상자의 진단 전과 현재의 신체 활동 수준의 변화에 있어서는 항암화학요법을 받고 있는 현재의 신체활동 수준이 진단 전에 비해 증가된 사람은 42.
  • 본 연구는 항암화학요법을 받고 있는 암 환자의 진단 전과 현재의 신체활동 수준을 파악하고 신체활동 변화에 따른 체질량지수, 불안, 우울 및 피로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한 연구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항암화학요법을 받고 있는 환자의 진단 전과 현재의 신체활동 수준을 파악하고 신체활동 변화에 따른 체질량지수, 불안, 우울 및 피로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한 탐색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의 의의는 암 환자의 진단 전과 항암화학요법을 받고 있는 현 시점에서의 신체활동 수준의 변화를 파악하고 신체활동의 변화에 따른 신체적, 심리적 변수들의 차이를 확인함으로써 암 환자의 바람직한 건강행위로서의 신체활동에 대한 필요성과 효율성을 강조하였다는데 있다. 이를 통해 암 환자의 신체적 안녕과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신체활동을 증진시킬 수 있는 상담과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 본 연구의 의의는 암 환자의 진단 전과 항암화학요법을 받고 있는 현 시점에서의 신체활동 수준의 변화를 파악하고 신체활동의 변화에 따른 신체적, 심리적 변수들의 차이를 확인함으로써 암 환자의 바람직한 건강행위로서의 신체활동에 대한 필요성과 효율성을 강조하였다는데 있다. 이를 통해 암 환자의 신체적 안녕과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신체활동을 증진시킬 수 있는 상담과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차후 연구에서는 암 환자의 신체활동에 대한 동기와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고 개인적인 상황이나 질병 특성에 맞는 신체활동 수준을 조정하여 성과를 검증하기 위한 중재 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된다.
  • , 2009)들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반면 국내에서는 암 환자의 신체활동, 기능 및 피로를 조사한 연구들(Cho & Kim, 2010; Suh & Lee, 1997)이 있으나 암 진단 전의 신체활동과 진단 후 치료를 받고 있는 시점에서의 신체활동의 변화를 조사한 연구는 찾아볼 수 없는 실정으로 신체활동의 증가나 감소에 따른 신체적, 심리적 변수들의 차이를 확인해 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외래를 통해 항암화학요법을 받고 있는 암 환자의 진단 전과 현재의 신체활동 수준을 파악하고 신체활동 변화에 따른 체질량지수, 불안, 우울 및 피로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항암화학요법의 부작용은? 암 환자들은 질병자체나 장기간의 복합적인 치료로 인해 신체적 부작용과 부정적인 정서를 경험하는데, 특히 암의 종류와 진행정도에 따라 단독요법 혹은 수술이나 방사선치료 후의 보조요법으로 시행되는 항암화학요법은 주기에 따른 항암제 치료를 일정기간 지속하는 과정에서 여러 가지 부작용을 초래하게 된다. 항암화학요법의 흔한 부작용으로는 오심과 구토, 설사, 변비, 탈모를 들 수 있으며, 이외에도 피로, 근육허약감과 감각변화, 불안과 우울 등으로 이들은 신체활동을 포함한 건강행위의 실천을 방해하는 주요 요인으로 여겨지고 있다(Pinto, Eakin, & Maruyama, 2000).
신체활동의 의미는? 개인이 자발적으로 행하는 일련의 몸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개념으로 일련의 몸의 움직임, 에너지 소비, 목표지향성, 몸에 대한 자기통제를 의미한다(Choi & Choe, 2004). 본 연구에서는 Saltin과 Grimby (1968)가 신체활동 수준을 사정하여 단계별로 네 가지 범주형으로 개발한 도구를 기반으로 운동을 전혀 하지 않고 앉거나 누워서 생활함(I), 운동은 따로 하지 않지만 일상적인 활동은 유지함(II), 불규칙적이지만 주 2회 이하로 가끔 운동을 하고 있음(III), 규칙적이거나 주 3회 이상 자주 운동을 하고 있음(IV)의 4단계로 구분하였다.
신체활동이 부족한 생활양식이 유발하는 것은? 대부분의 암 환자들은 치료 중이나 후에 신체적으로 운동을 할 수 있는 상태일지라도 암 진단 이전의 활동수준을 다시 시작하지 않으며, 이는 신체조성과 기능의 저하를 초래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Ingram & Visovsky, 2007). 유방암 환자의 신체 활동에 관한 종단적 연구에서 치료를 마친 후에 운동이나 신체활동에 참여하는 비율이 진단 전에 비해 증가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는데(Pinto, 2002), 신체활동이 부족한 생활양식은 신체적 기능의 저하와 피로감 악화, 회복을 지연시키게 되며, 관상동맥질환이나 비만, 골다공증 같은 만성질환의 위험성을 증가시키게 된다(Hennessy et al., 200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ndersen, C., Adamsen, L., Moeller, T., Midtgaard, J., Quist, M., Tveteraas, A., et al. (2006). The effect of a multidimensional exercise programme on symptoms and side-effects in cancer patients undergoing chemotherapy- the use of semi-structured diaries. European Journal of Oncology Nursing, 10, 247-262. 

  2. Bang, K. A. (2003). The effect of hand reflexology on nausea, vomiting, and fatigue in cancer patients receiving chemotherapy. Doctoral dissertation, Keimyung University, Daegu. 

  3. Basen-Engquist, K., Scruggs, S., Jhingran, A., Bodurka, D. C., Lu, K., & Ramondtta, L., et al. (2009). Physical activity and obesity in endometrial cancer survivors: Associations with pain, fatigue, and physical functioning. American Journal of Obstetrics & Gynecology, 200(3), 288:el-e8. 

  4. Beck, A. T., Ward, C. H., Mendelson, M., Mock, J., & Erbaugh, J. (1961). An inventory for measuring depression.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4, 561-571. 

  5. Carpenito, L. J. (1992). Nursing diagnosis: Application to clinical practice. Philadelphia: Lippincott. Co. 

  6. Choi, J. A., & Choe, M. Y. (2004). The concept analysis of physical activity.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6(1), 17-31. 

  7. Cho, H. S., & Kim, N. H. (2010). Physical activity and fatigue in patients with cancer. Journal of Korean Oncology Nursing, 10(1), 30-37. 

  8.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 Second Edition.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Publishers. 

  9. Courneya, K. S., & Friedenreich, C. M. (2007). Physical activity and cancer control. Seminars in Oncology Nursing, 23(4), 242-252. 

  10. Day, G. E., Lanier, A. P., Bulkow, L., Kelly, J. J., & Murphy, N. (2010). Cancers of the breast, uterus, ovary and cervix among alaska native women, 1974-2003. International Journals of Circumpolar Health, 69(1), 72-86. 

  11. Galvao, D. A., & Newton, R. U. (2005). Review of exercise intervention studies in cancer patients.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23, 899-909. 

  12. Han, H. M., Yum, T. J., Shin, Y. W., Kim, G. H., Yun, D. G., & Jung, G. J. (1986). A study of standard Beck depression inventory.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y, 25(3), 487-502. 

  13. Hennessy, E. M., Stevinson, C., & Fox, K. R. (2005). Preliminary study of the lived experience of exercise for cancer survivors. European Journal of Oncology Nursing, 9, 155-166. 

  14. Ingram, C., & Visovsky, C. (2007). Exercise intervention to modify physiologic risk factors in cancer survivors. Seminars in Oncology Nursing, 23(4), 275-284. 

  15. Kim, B. H., Koh, S. B., Hur, H. K., Park, J. K., & Park, S. M. (2009). Women's cancer screening according to body mass index in a cohort of rural Korean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9(5), 641-650. 

  16. Kim, J. T., & Shin, D. K. (1978). A Study based on the standardization of the STAI for Korea. Newest Medical Journal, 21(11), 1223-1229. 

  17. Kim, Y., Hickok, J. T., & Morrow, G. (2006). Fatigue and depression in cancer patients undergoing chemotherapy: an emotion approach. Journal of Pain and Symptom Management, 32(4), 311-321. 

  18. Lee, C. Y., & Oh, D. W. (1990). Level of anxiety and depression of the hospitalized cancer patients.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29(1), 178-188. 

  19. Midtgaard, J., Baadsgaard, M. P., Moller, T., Rasmussen, B., Quist, M., & Andersen, C., et al. (2009). Self-reported physical activity behavior; exercise motivation and information among Danish adult cancer patients undergoing chemotherapy. European Journal of Oncology Nursing, 13, 116-121. 

  20. Park, Y. K. (2005). Functional status, depression, and family support in head and neck cancer patients. Journal of Korean Oncology Nursing, 5(1), 31-38. 

  21. Pinto, B. M., Eakin, E., & Maruyama, N. C. (2000). Health behavior changes after a cancer diagnosis: What do we know and where do we go from here? Annals of Behavioral Medicine, 22, 38-52. 

  22. Pinto, B. M., Trunzo, J. J., Reiss, P., & Shiu, S. Y. (2000). Exercise participation after diagnosis of breast cancer: Trends and effects on mood and quality of life. Psychooncology, 11, 389-400. 

  23. Ream, E., Richardson, A., & Alexander-Dann, C. (2006). Supportive intervention for fatigue in patients undergoing chemotherapy: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ournal of Pain and Symptom Management, 31(2), 148-161. 

  24. Saltin, B., & Grimby, G. (1968). Physiological analysis of middleaged and old former athletes: Comparison with still active athletes of the same ages. Circulation, 38, 1104-1115. 

  25. Seo, H. M. (2003).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nxiety and the spiritual health of the patients with cancer. Master's thesis, Kosin University, Busan. 

  26. Spence, R. R., Heesch, K. C., & Brown, W. J. (2010). Exercise and cancer rehabilitation: A systematic review. Cancer Treatment Reviews, 36, 185-194. 

  27. Spielberger, C. D., Gorshch, R. L., & Lushene, R. E. (1970). Manual for the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Pal. Alto, CA: Consultation Psychologist Press. 

  28. Suh, E. Y., & Lee, E. O. (1997). The effect of rhythmic walking exercise on physical strength, fatigue, and functional status of breast cancer patients in adjuvant chemotherap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9(3), 422-437. 

  29. Young-McCaughan, S., & Arzola, S. M. (2007). Exercise intervention research for patients with cancer on treatment. Seminars in Oncology Nursing, 23(4), 264-27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