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노년의 죽음불안과 죽음의 개인적 의미가 품위 있는 죽음 태도에 미치는 영향 : 가족의사소통의 매개역할 검증

The Impact of Death Anxiety and Personal Meanings of Death on the Attitude of Dignified Death among Korean Mid-life and the Elderly : Mediating Effect of Family Communication Process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3 no.5, 2011년, pp.482 - 493  

조계화 (대구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  이현지 (대구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and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 of family communication in the impact of death anxiety and personal meanings of death on the attitude of dignified death near the end-of-life among Korean mid-life and old people. Methods: A cross-sectional study was con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개인의 생애주기 중 주변인의 죽음 경험이 상대적으로 높을 것으로 기대되는 중 · 노년을 대상으로 죽음불안과 죽음의 개인적 의미가 가족의사소통과정을 매개로 품위 있는 죽음태도에 미치는 직 · 간접적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좋은 죽음에 대한 이해와 임종 돌봄 전략을 모색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서울, 대구, 부산에 거주하는 중 · 노년 287명을 대상으로 죽음불안과 죽음의 개인적 의미가 가족의사소통과정을 매개로 품위 있는 죽음태도에 미치는 요인 간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 본 연구는 중 · 노년기 대상자가 인식하는 죽음불안과 죽음의 개인적 의미가 가족의사소통 과정을 매개로 하여 대상자의 품위 있는 죽음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기 위함이며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중 · 노년의 죽음불안과 죽음의 개인적 의미가 가족의사소통 과정을 매개로 품위 있는 죽음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고자 시도된 횡단적 조사연구이다(Figure 1).
  • 한 인간이 죽음이라는 피할 수 없는 실존 앞에서 양심과 자유, 책임감을 지닌 인격적 존재로서 인간적 품위를 지니고 생을 마감하는 것을 의미한다(Chochinov, 2006). 본 연구에서는 Jo (2011)의 품위있는 죽음태도 측정도구로 측정한 점수를 말하며 한 개인이 인간의 존엄성을 유지하며 평화로운 죽음을 맞이하는 것이다.
  • 본 연구의 간호학적 의의는 중 · 노년의 죽음불안과 죽음의 개인적 의미, 가족의사소통 과정과 품위 있는 죽음태도와의 관련성을 제시함으로써 발달적, 문화적 관점에서 한국의 중 · 노년을 위한 임종 돌봄 전략을 모색하는데 기초자료를 마련하였다는데 있다.
  • 본 연구는 의학기술의 발달과 노인인구의 증가로 최근 사회적 관심을 두고 있는 웰다잉과 관련하여, 중 · 노년이 인식하는 죽음불안과 죽음의 개인적 의미가 가족의사소통 과정을 통해 품위 있는 죽음태도에 미치는 직 · 간접적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품위 있는 죽음에 대한 인식을 증진시키기 위한 효율적인 개입 방안을 모색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40세부터 64세까지의 중년기 특성을 가진 시기인가? 중년기는 40세부터 64세까지이다. 이 시기의 특성은 자기가 이룬 가정과 사회적 지위, 경제적 여유 등으로 가장 안정되고 만족스러운 시기이지만 자녀와 노부모에 대한 책임이 있고 국가와 사회의 중책을 맡아야 하며 신체적으로는 점차 쇠퇴현상이 나타나므로 감소되어가는 체력에 적응해야 하는 시기이다. 노년기는 활동적인 생활에서 은퇴하는 시기를 노인으로 정하고 있는 국제 노인학회의 기준을 근거로 만 65세 이상의 성인 세대를 말한다(Lee et al.
의사소통이란 어떻게 정의되는가? 의사소통이란 가족기능의 중요한 핵심적 요소로서 사회적, 경제적, 실제적, 도구적 문제해결 모두에 대한 정보교환으로 정의된다(Epstein, Bishop, Ryan, Miller, & Keitner, 1993). 가족의 의사소통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Epstein 등(1993)이 가족을 평정하기 위해 만든 가족기능평가(Family Assessment Device, FAD)척도를 Kim (2001)이 재구성한 11문항의 4점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Cicirelli, 1998에 따르면, 죽음불안이란 무엇인가? 죽음불안이란 한 개인이 죽음을 생각할 때 느끼는 두려움이나 공포를 말하는 것이지만, 넓게는 죽음 그 자체뿐아니라 죽어가는 과정에서 오는 두려움과 사후 결과에 대한 불안까지도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확대할 수 있다(Cicirelli, 1998). 이와 같이 중 · 노년기의 죽음 관련 이슈는 개인이 어떻게 현재를 살아가고 경험할 것인가를 결정할뿐만 아니라 삶의 마지막인 죽음을 직면하는 방법을 선택하는데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bdel-Khalek, A. M. (2002). Why do we fear death? Th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the reasons for death fear scale. Death Studies, 26, 669-680. 

  2. An, H. Y., & Kim, H. J. (2000). Social implications of changes in Korean families. Korean Society, 3, 89-132. 

  3. An, M. S., & Min, H. S. (2008). Comparison of perception and experience of informed consent among physicians, nurses and patient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4(2), 59-70. 

  4. Back, M. F., & Chan, Y. H. (2005). Family centered decisionmaking and non-disclosure of diagnosis in South East Asian oncology practice. Psycho-Oncology, 14, 1052-1059. 

  5. Bohrnstedt, G. W., & Knoke, D. (1994). Statistics for social data analysis. New York: F.E. Peacock. 

  6. Brent, S. B., & Speece, M. W. (1993). "Adult" conceptualization of irreversibility: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the concept of death. Death Studies, 17, 203-224. 

  7. Chochinov, H. M. (2006). Dying, dignity and new horizons in palliative end-of-life care. A Cancer Journal for Clinicians, 56(2), 84-103. 

  8. Cicirelli, V. G. (1998). Personal meanings of death in relation to fear of death. Death Studies, 22, 713-733. 

  9. Epstein, N. B., & Bishop, D. S., Ryan, C., Miller, I., & Keitner, G. (1993). The McMaster Model: View of healthy family functioning. In F. Walsh (ed.), Normal family processes (pp. 138-160). New York: Guilford Press. 

  10. Fortner, B. V., & Neimeyer, R. A. (1999). Death anxiety in older adults: A quantitative review. Death Studies, 23, 387-411. 

  11. Fortner, B. V., Neimeyer, R. A., & Rybarczyk, B. (2000). Correlates of death anxiety in older adults: A comprehensive review. In A. Tomer (ed.), Death attitudes and the older adults (pp. 95-108). New York: Brunner Routledge. 

  12. Jo, K. H. (2011).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dignified dying scale for Korean adul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1, 313-324. 

  13. Jo, K. H., & Kim, G. M. (2010). Predictive factors affecting the preferences for care near the end of life among nurses and physicians. Korean Journal of Medical Ethics, 13, 305-320. 

  14. Jo, K. H., Lee, H. J., & Lee, Y. J. (2005). Types of students' death attitudes majoring in human service area: Q-methodological approach.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5(5), 829-841. 

  15. Kim, M. O. (2001). A study on social competence of children and adaptation of family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Focusing on the effects of family resilienc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6. Kim, S. H. (2004). Decision making process in do-not-resuscitate orders for patients with cancer. Nursing Inquiry, 13(1), 127-143. 

  17. Kim, S. Y., & Kim, S. M. (2003). A study on attitude patterns of elderly toward dying.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15(3), 343-353. 

  18. Kim, Y. S., & Kim, J. M. (2009).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demographic variables and death anxiety among the elderly.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9(1), 275-289. 

  19. Lee, H. M. (2008). Fear experienced by terminal cancer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Daegu. 

  20. Lee, H. R., Choi, C. J., Park, O. J., Kim, Y. S., Choi, K. O., Kim, G. S., et al.,(2008). Adult nursing . Seoul: Soomoonsa. 

  21. Lee, H. J., & Jo, K. H. (2006). A pathmodel for death anxiety to suicidal ideation of the elderly.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6(4), 717-731. 

  22. Lee, Y. J., & Kim, S. M. (2009). Validating the Korean version of the preferences for care near the end of life(PCEOL-K) scale. Korean Journal of Medical Ethics, 12(1), 29-42. 

  23. Olson, D. H., Russell, C. S., & Sprenkle, D. H. (1983). Circumplex model of marital and family systems: VI. Theoretical update. Family Process, 22(1), 69-83. 

  24. Pullman, D. (2004). Death, dignity and moral nonsense. Journal of Palliative Care, 20, 171-178. 

  25. Slumasy, D. P. (2002). A biopsychosocial-spiritual model for the care of patients at the end of life. The Gerontologist, 42, 24-33. 

  26. Smith, R. A. (2000). A good death: An important aim for health services and for us all. British Medical Journal, 320(7228), 129-130. 

  27. Smith, M. J., & Liehr, P. R. (2003). Middle range theory for nursing. New York: Springer. 

  28. Tamm, M. E., & Granqvist, A. (1995). The meaning of death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A phenomenographic study of drawings. Death Studies, 19, 203-222. 

  29. Yang, S. C., & Chen, S. (2006). Content analysis of free-response narratives to personal meanings of death among chinese children and adolescents. Death Studies, 30, 217-24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