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입원 진폐증 환자의 삶의 만족도, 사회적 지지, 지각된 건강상태 및 고독감에 관한 연구
Life Satisfaction, Social Support, Perceived Health Status, and Loneliness of the Hospitalized Patients with Pneumoconiosis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3 no.6, 2011년, pp.605 - 614  

이영미 (강원대학교 삼척 제2캠퍼스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loneliness, life satisfaction, social support and perceived health status, and further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loneliness among hospitalized patients with pneumoconiosis. Methods: This study was a cross-sectional des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입원 진폐증 환자를 대상으로 고독감 수준을 파악하고, 고독감과 삶의 만족도, 사회적 지지 및 지각된 건강상태와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고, 고독감의 예측 요인을 파악하여 진폐증 환자의 고독감 경감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게 되었다.
  • 본 연구는 입원 진폐증 환자를 대상으로 고독감 수준과 고독감, 삶의 만족도, 사회적 지지 및 지각된 건강상태와의 관련성을 확인하고, 고독감의 예측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입원 진폐증 환자들의 연령이 71세 이상의 환자들 56.
  • 본 연구는 입원 진폐증 환자를 대상으로 고독감, 삶의 만족도, 사회적 지지 및 지각된 건강상태와의 관련성을 확인하고, 고독감의 예측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입원 진폐증 환자의 고독감, 삶의 만족도, 사회적 지지 및 지각된 건강 상태와의 관계를 파악하고 고독감의 예측 요인을 분석하여 진폐증 환자의 고독감 경감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궁극적으로 입원 진폐증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시도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입원 진폐증 환자의 고독감 수준과 삶의 만족도, 사회적 지지 및 지각된 건강상태와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고, 고독감의 예측 요인을 확인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회적 지지는 무엇인가? 사회적 지지는 우리가 의지할 수 있는 사람, 우리가 돌봐주고 사랑하고 가치 있다는 것을 알게 해주는 사람의 존재나 이용가능성으로 정의되는데(Kaplan & Sadok, 2000),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고독감은 낮게 나타나 사회적 지지가 고독감을 감소시킬 수 있는 중요한 변인으로 확인되었다(Shin & Ko, 1996). 그 중 가족의 지지는 위기상황에서 환자로 하여금 보다 잘 적응하도록 하며, 부정적인 정서들을 경감시켜주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Bak et al.
사회적 지지와 고독감의 관계는 어떠한가? 사회적 지지는 우리가 의지할 수 있는 사람, 우리가 돌봐주고 사랑하고 가치 있다는 것을 알게 해주는 사람의 존재나 이용가능성으로 정의되는데(Kaplan & Sadok, 2000),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고독감은 낮게 나타나 사회적 지지가 고독감을 감소시킬 수 있는 중요한 변인으로 확인되었다(Shin & Ko, 1996). 그 중 가족의 지지는 위기상황에서 환자로 하여금 보다 잘 적응하도록 하며, 부정적인 정서들을 경감시켜주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Bak et al.
입원 진폐증 환자를 대상으로 한 고독감을 측정하는 방법은 무엇인가? 고독감은 Russell, Peplau와 Cutrona (1980)가 개발한 개정된 UCLA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의 고독감 도구를 Kim (1997)이 한국어로 번안한 도구로 10문항의 긍정문항과 10문항의 부정문항으로 구성된 20문항의 Likert 4점 척도로 20~80점 범위를 가지며 점수가 높을수록 고독감의 정도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Kim (1997)의 연구에서 신뢰도는 Cronbach's ⍺=.93이었고, 본 연구에서는 Cronbach's ⍺=.86이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ae, M. H. (1997). The health complaints of pneumoconiosis patients. Mungyeong College Study, 2, 405-422. 

  2. Bae, M. H. (2003). Prediction model the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suffering from pneumoconiosi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orea University, Seoul. 

  3. Bae, M. H., Choo, J., & Han, K. S. (2009). Loneliness and life satisfaction in pneumoconiosis patients hospitalized in long-term care faciliti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18 (2), 185-193. 

  4. Bak, J. H., Lim, H. W., Chae, J. M., Cho, H. J., Jung, H. S., Jo, S. J., et al. (2007). The factors affecting the depression in pneumoconiosi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16 (1), 28-36. 

  5. Barron, C. R., Foxall, M. J., Von Dollen, K., Jones, P. A., & Shull, K. A. (1994). Marital status, social support, and loneliness in visually impaired elderly peopl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19, 272-280. 

  6. Choi, B. S. (2006). Statistical system construction in pneumoconiosis. Workers Accident Medical Corporation Center for Occupational Lung Diseases. 

  7. ElSadr, C. B., Noureddine, S., & Kelley, J. (2009). Concept analysis of loneliness with implications for nursing diagnosis.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Terminologies and Classifications, 20 (1), 25-33. 

  8. Jang, H. M. (2011). A study on the living conditions of the in-home pneumoconiosi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angji University, Wonju. 

  9. Jun, H. Y. (2001).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loneliness and family support in the elderly. Bulletin of Dongnam Health College, 19 (2), 79-90. 

  10. Kang, K. B., & Cha, J. W. (2010).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elderly people's leisure activity and their self-esteem, helplessness, loneliness, leisure satisfaction, life satisfaction, and happiness. Korean Journal of Exercise Rehabilitation, 6 (4), 39-51. 

  11. Kaplan, H., & Sadok, B. J. (2000). Comprehensive textbook of psychiatry(7th ed.). Baltimore, MD: Lippincott, Williams and Wilkins. 

  12. Kim, O. S. (1997). Korean version of the revised UCLA loneliness scale: reliability and validity test.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27 (4), 871-879. 

  13. Kim, D. K., & Yoon, S. Y. (2007). The relationship among leisure sports' participation, social support, exercise satisfaction and helplessness of the elderly.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46 (6), 345-356. 

  14. Lawton, M. P., Moss, M., Fulcomer, M., & Kleban, M. H. (1982). A research and service oriented multilevel assessment instrument. Journal of Gerontology, 37 (1), 91-99. 

  15. Lee, K. E., & Yang, J. D. (2008). Desire for social welfare services in patients with pneumoconiosis and development of social welfare program in Mungyeong area with abandoned mines. Journal of Public Welfare Administration, 18 (2), 1-27. 

  16. Lim, M. Y. (1998). Determinants of health promoting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in Korea.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17. Lim, Y. (1997). The study of pneumoconiosis treatment. Conference of Korean-Japan on pneumoconiosis. Occupational Health, 11 , 14-15. 

  18. Luanaigh, C. O., & Lawlor, B. A. (2008). Loneliness and the health of older people.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23 (12), 1213-1221. 

  19. Ministry of Labor. (2009). Result in workers' special health examination. Ministry of Labor. 

  20. Park, J. S. (2005). A correlation study among loneliness, spiritual well-being, and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21. Peplau, L. A., & Periman, D. (1982). Perspectives on loneliness. In L. A., Peplau, & Periman (Eds), Loneliness: A sourcebook of current theory, research and therapy. New York: John Wiley & Sons. 

  22. Perry, G. R. (1990). Loneliness and coping among tertiary-level adult cancer patients in the home. Cancer Nursing, 13 (5), 293-302. 

  23. Pyon, I. O. (1994). The experience of illness with pneumoconiosis: A study using Parse's theory of human becom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 University, Seoul. 

  24. Russell, D., Peplau, L. A., & Cutrona, C. E. (1980). The Revised UCLA Loneliness Scale: Concurr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evidenc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9 (3), 472-480. 

  25. Shin, M. H., & Ko, S. H. (1996). Loneliness and social support in the elderly.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5 (1), 78-87. 

  26. Song, O. H. (2011). A study on physical activity and related factors to physical activity for the hospitalized elderly patients with pneumoconiosis. Unpublished master's thesi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Jinju. 

  27. Stravynski, A., & Boyer, R. (2001). Loneliness in relation to suicide ideation and parasuicide: A population-wide study. Suicide of Life Threatening Behavior, 31 (1), 32-40. 

  28. Tae, Y. S. (1985).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depression of the cancer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9. Wilson, I. B., & Cleary, P. D. (1995). Linking clinical variables with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 conceptual model of patient outcomes. The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73 (1), 59-65. 

  30. Wood, V., Wylie, M. L., & Sheafer, B. (1969). An analysis of short self-report measures of life satisfaction: Correlation with later judgements. Journal of Gerontology Nursing, 19 (13), 15-2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