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산과 간호사의 유방암과 유방자가검진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실천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of Obstetric Nurses in Relation to Breast Cancer and Breast Self-examination 원문보기

KJWHN :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17 no.1, 2011년, pp.88 - 98  

김미옥 (남서울대학교 간호학과) ,  박영미 (적십자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obstetrics nurses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about breast cancer and breast self-examination (BSE), and to contribute to the early detection of breast cancer during breastfeeding periods. Methods: For the survey, 163 individuals (obstetric nurses) were c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한편, 본 연구에서는 유방자가검진 실천 정도를 실제 유방자가검진을 시행하고 있는 자 만을 대상으로 하여 측정하였는데, 그 대상자 수는 96명으로 연구의 적정 표본크기를 완벽하게 충족했다고 볼 수 없다. 그러나 본 연구의 표본 수는 유방암과 유방자가검진에 대한 지식과 태도 정도를 설명하는 데에는 충분할 뿐 아니라, 이들 변수와 유방자가검진 실천 정도의 관계를 기술하여 이러한 제한점을 보완하였다.
  • 지금까지 일반간호사들을 대상으로 유방암과 유방암 예방을 위한 유방자가검진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실천(Choi, 1994; Tae & Kim, 2003) 혹은 관련요인(Hwang, 2009; Kim, Lee, Ahn, & Chung, 2003; Lee, 2002; Lee, Kim, Jung, & Kim, 2005; Sim, 2008)에 대한 연구는 있었으나 실제로 이를 위한 교육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야 할 산과 병동 간호사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려웠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모유수유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산과 병동 간호사들의 유방암과 유방자가검진 관련 지식, 태도와 실천 정도를 조사하여 향후 임부중심의 통합 유방관리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의 기초자료로 삼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향후 연구에서는 간호사들의 유방암 관련 지식, 태도와 실천 행위에 실제적으로 기여할 수 있도록 high fidelity simulators를 이용한 유방암 관련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을 제안한다. 또한 생애동안 자연스럽게 지속적인 유방건강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산과 대상자들에게 임신과 출산시기 동안의 유방관리와 더불어 유방암 조기검진과 예방행위를 포함한 통합적 유방관리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을 제안하는 바이다.
  • 본 연구는 산과 간호사들의 유방암과 유방자가검진에 대한 지식, 태도와 실천 정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연구로 임신과 출산 시기 동안 모유수유관리 프로그램과 함께 향후 지속적인 유방건강관리를 도울 수 있는 통합적 유방관리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되었다.
  • 본 연구는 산과 병동 간호사들의 유방암과 유방자가검진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실천 정도를 측정하고 그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연구(descriptive correlation study)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산과 병동 간호사의 유방암과 유방자가검진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실천과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따라서 산과 영역의 모유수유 교육에 더불어 유방암 관련 교육을 시행함으로써 임신과 출산 시기의 대상자들의 암에 대한 인지 정도를 높이고 유방건강검진의 지속적인 실천을 유도하는 효과적인 교육 프로그램이 개발, 운영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산과 병동 간호사들의 유방암 관련 지식과 태도를 향상시키고 지속적 실천을 도우는 교육 프로그램이 우선되어져야 함을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향후 연구에서는 간호사들의 유방암 관련 지식, 태도와 실천 행위에 실제적으로 기여할 수 있도록 high fidelity simulators를 이용한 유방암 관련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을 제안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립암센터에서 권고하고 있는 유방암 예방 방법은? 국립암센터에 따르면, 유방암 예방을 위해 유방자가검진을 30세부터 매월 실시하는 것이 좋으며, 만 40세 이상은 2년 간격으로 유방촬영술과 임상유방검진을 권고하고 있다. 더불어 가족력이 있는 경우에는 더 이른 시기부터 유방 검진을 시작하도록 권고하고 있다(National Cancer Center, 2006). 유방암을 초기 진단하는 데 있어 유방촬영술이 가장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지만 출산을 경험하지 않은 여성에게 적용하기 어려우며, 초음파 검진의 경우 유방촬영술에 비해 많은 비용 때문에 모든 여성이 쉽게 이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Lee, 2002).
유방암은 세계적으로 매년 얼마나 증가하는가? 그 몇 가지 이유로 서구화된 식습관, 저출산, 짧은 모유수유기간, 이른 나이의 초경과 늦은 폐경으로 인해 긴 기간 동안 에스트로겐에의 노출되는 것, 초산이 늦어지는 것과, 그 외 흡연과 높은 BMI 수치 등을 들고 있다(Bergfeldt, Nilsson, Einhorn, & Hall, 2001; Lee, 2001; Lee, 2002; Rothstein, 2006; Paik, 2009; Park & Kang, 2006). 유방암은 세계적으로 매년 1%의 증가율을 보이는데, 이에 반해 우리나라는 매년 10%의 증가율을 보이고 있어 2004년 9,668명에 이어 2006년 11,275명, 2008년에는 14,000명이 새로이 등록되기에 이르렀다(Paik, 2009). 또한 대개 유방암은 50대 여성에게서 호발하고 있으나 30대 후반의 여성에게서 새로이 발견되는 유방암의 빈도가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Paik, 2009).
유방암이 2001년 이후 우리나라 여성에게 생기는 가장 흔한 암이 된 이유는? , 2005). 그 몇 가지 이유로 서구화된 식습관, 저출산, 짧은 모유수유기간, 이른 나이의 초경과 늦은 폐경으로 인해 긴 기간 동안 에스트로겐에의 노출되는 것, 초산이 늦어지는 것과, 그 외 흡연과 높은 BMI 수치 등을 들고 있다(Bergfeldt, Nilsson, Einhorn, & Hall, 2001; Lee, 2001; Lee, 2002; Rothstein, 2006; Paik, 2009; Park & Kang, 2006). 유방암은 세계적으로 매년 1%의 증가율을 보이는데, 이에 반해 우리나라는 매년 10%의 증가율을 보이고 있어 2004년 9,668명에 이어 2006년 11,275명, 2008년에는 14,000명이 새로이 등록되기에 이르렀다(Paik,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ergfeldt, K., Nilsson, B., Einhorn, S., & Hall, P. (2001). Breast cancer risk in women with a primary ovarian cancer - A case-control study. European Journal of Cancer, 37, 2229-2234. 

  2. Budden, L. (1998). Registered nurses' breast self-examination practice and teaching to female clients. Journal of Community Health Nursing, 15 (2), 101-112. 

  3. Shin, H. R., Won, Y. J., Jung, K. W., Kong, H. J., Yim, S. H., Lee, J. K., et al. (2005). Nationwide cancer incidence in Korea, 1999-2001: First results using the National Cancer Incidence Database. Cancer Research and Treatment, 37 , 325-331. 

  4. Choi, K. O. (1994). A study of nurse's knowledge, attitudes and practices of breast self-examin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6 (1), 80-100. 

  5.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2nd ed.). Hillsdal, NJ: Lawrence Earlbaum Associates. 

  6. Ertem, G., & Kocer, A. (2009). Breast self-examination among nurses and midwives in Odemis health district in Turkey. Indian Journal of Cancer, 46 (3), 208-213. 

  7. Hwang, M. A. (2009). The relationships between breast selfexamination knowledge, health belief, self-efficacy and practice of nurse. Unpublished master's thesi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JinJu. 

  8. Kim, A. L. (1994). The effect of audiovisual information with videotape influencing on knowledge and attitude of breast self examin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6 (1), 112-124. 

  9. Kim, E. G. (2003). Factors influencing on the compliance of breast self-examination among women and nurse. Unpublished master's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10. Kim, E. K., Lee, H. J., Ahn, S. H., & Chung, E. S. (2003). Factors influencing on the compliance of breast self-examination of nurses in a local a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3 (7), 1048-1056 

  11. Lee, C. H., Kim, Y. I., Jung, H. S., & Kim, J. Y. (2005).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occupational health nurses' early breast cancer screening. Journal of Korean Community Nursing, 16 (1), 68-76. 

  12. Lee, E. J. (2002). Affecting factors of breast self-examination practice among hospital nurs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Daejeon University, Daejeon. 

  13. Lee, E. H. (2003). Breast self-examination performance among Korean nurses. Journal of Nurses in Staff Development, 19, 81-87. 

  14. Lee, E. S. (2002). The role of breast self-examination and mammography, Journal of Radiological Science and Technology, 21 (1), 7-11. 

  15. Lee, S. R. (2001). A case-control study on related factors of breast cancer in Korean women. Journal of Public Health Social Science, 10, 97-115. 

  16. National Cancer Center (n.d.). National cancer control program. Retrieved April 1, 2006 from http://www.ncc.re.kr/index.jsp 

  17. Paik, N. S. (2009, October). Current status of breast cancer in Korea, Panel discussion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global breast cancer conference, Seoul, Korea. 

  18. Park, N. J., & Kang, D. H. (2006). Breast cancer risk and immune responses in healthy women. Oncology Nursing Forum, 33 (6), 1151-1159. 

  19. Park, S. M., Hur, H. K., Kim, G. Y., & Song, H. Y. (2007). A descriptive study for developing a program to promote compliance with regular breast self-examination (BSE).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3 (2), 88-97. 

  20. Park, S. M., Kim, B. H., Park, M. J., Ahn, Y. H., & Chung, C. W. (2010). Effects on nursing students of cognition-behavior integrated breast cancer prevention education using an interchangeable nodule model.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6 (2), 166-176. 

  21. Report about Health Problems and Policies by Women Lifecycle (2000). Seoul: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2. Rothestein, W. G. (2006). Dietary fat, coronary heart disease and cancer: A historical review. Preventive Medicine, 43, 356-360. 

  23. Salazar, M. K., & Carter, W. B. (1993). Evaluation of breast selfexamination beliefs using a decision model. Western Journal of Nursing Research, 15, 403-421. 

  24. Seo, Y. O. (2003). The difference of women's knowledge, attitudes and practice education after education for breast self-examin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15 (1), 5-13. 

  25. Sim, E. S. (2008). Factors of periodic medical check-up on breast cancer among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sin University, Busan. 

  26. Smith, R. P., & D'orsi, C. J. (1999). Screening for breast cancer, Philadelphia: Lippincott Willams and Wilkins. 

  27. Son, B. H., Ahn, S. H., Kwak, B. S., Kim, J. K., Kim, H. J., Hong, S. J., et al. (2006). The recurrence rate, risk factors and recurrence patterns after surgery in 3,700 patients with operable breast cancer. Journal of Korean Breast Cancer, 9, 134-144. 

  28. Soyer, M. T., Ciceklioglu, M., & Ceber, E. (2007). Breast cancer awareness and practice of breast self examination among primary health care nurses: Influencing factors and effects of an in-service education. Journal of Community Nursing, 16 (4), 707-715. 

  29. Tae, Y. S., & Kim, S. J. (2003). Knowledge, attitudes and practices about breast self-examination of clinical nurses, Kosin Medical Journal, 18 (1), 128-141. 

  30. Yang, S. A. (1996).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actice of breast self-examination and health belief model variables in middle aged wom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