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의복충동구매와 쇼핑감정: 한국과 미국 간의 차이가 있는가?
Apparel Impulse Buying and Shopping Emotion: Does It Differ between Korea and the US? 원문보기

한국생활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v.20 no.2, 2011년, pp.401 - 412  

박은주 (동아대학교 패션디자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가들 간의 차이는 국제적 소비자행동 연구의 근간이 되며 글로벌기업의 전략 구상에 중요한 변수로 작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의복충동구매에 대한 국가간 이해를 증진시키기 위해 한국과 미국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의복충동구매와 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쇼핑감정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쇼핑감정이 의복충동구매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질문지를 개발하였고, 한국(N = 412)과 미국(N = 290) 각각의 대도시에 위치한 대학교를 무작위 선정하여 정규강의시간 전후에 자원자들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 결과, 미국대학생들에 비해 한국대학생들은 구체적 구매의도가 없는 상태에서 점포를 둘러본 후에 구매할 것을 결정하는 등의 계획적 충동구매나 다른 목적으로 점포에 들렀다가 계획에 없었던 필요한 것 혹은 기억나는 의류제품을 구매하는 등의 상기된 충동구매를 더 많이 하는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미국 대학생들의 경우, 구매의도는 없었으나 새로운 스타일이나 최신 의류제품을 보았을 때 충동적으로 구매를 하는 패션지향적 충동구매가 한국대학생들에 비해 더 많이 나타나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소비자들이 쇼핑할 때 느끼는 쇼핑감정 중 긍정적인 쇼핑감정은 미국대학생들이 한국대학생들보다 더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과 미국 대학생들은 모두 쇼핑과정에서 긍정적 감정을 느낄 때 여러 유형의 의복충동구매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으나 부정적 쇼핑감정이 발생했을 때는 한국 대학생들만이 패션지향적인 충동구매를 하는 경향이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의류제품을 쇼핑할 때 두 나라 대학생 모두에게 쇼핑감정 특히, 긍정적 감정은 구매의도를 자극하여 충동구매를 조장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함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의복충동구매와 쇼핑감정 간의 관계를 이해하고자하는 연구자들과 리테일러들에게 필요한 정보들을 제공해준다.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In Korea, retailers should provide young consumers apparel items with a new style or that just came out for encouraging to buy impulsively apparel products. Overall, this study attempts to further develop our understanding the causes of apparel impulse buying, which may well stem from specific emotional states. The results from this study provide some insights into the retail marketing theory behind the emotional aspects of apparel impulse buying.
  • Overall, this study attempts to further develop our understanding the causes of apparel impulse buying, which may well stem from specific emotional states. The results from this study provide some insights into the retail marketing theory behind the emotional aspects of apparel impulse buy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apparel impulse buying and shopping emotion factors that trigger apparelimpulse buying seemed both logical and useful.
  • First, the sampling of students living at metropolitan areas and only two nations is an obvious limitation. Therefore, geographic locations other than the metropolitan areas and comparisons among other nations excluding or including Korea and America should be considered to replicate the findings of the study. Second, this study has attempted to examine the national differences between two nations in apparel impulse buying and shopping emo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apparel impulse buying and shopping emotion.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abin, B. J. & Babin, L. (2001).Seeking something different? A model of schema typically, consumer affect, purchase intentions and perceived shopping value.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54(1), 89-96. 

  2. Bayley, G. & Nancarrow, C. (1998). Impulse purchasing: A qualitative exploration of the phenomenon. Qualitative Market Research, 1(2), 99-114. 

  3. Beatty, S. E. & Ferrell, M. E. (1998). Impulse buying: Modeling its precursors. Journal of Retailing, 74(2), 169-191. 

  4. Cha, G. (2001). Planned and unplanned apparel purchase typology and related variables. Unpublished master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5. Chang, E., Burns, L. D., & Francis, S. K. (2004). Gender differences in the dimensional structure of apparel shopping satisfaction among Korean consumers: The role of hedonic shopping value.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22 (4), 185-199. 

  6. Cho, C. & Cheon, H. J. (2005). Cross-cultural comparisons of interactivity on corporate web sites. Journal of Advertising, 34(2), 99-115. 

  7. Cook, J. & Finlayson, M. (2005). The impact of cultural diversity on Web site design. Advanced Management Journal, 70(3), 15-45. 

  8. Dittmar, H., Beattie, J., & Friese, S. (1995). Gender identity, and material symbols: Objects and decision considerations in impulse purchases. Journal of Economic Psychology, 16(3), 491-511. 

  9. Dittmar, H., Beattie, J. & Friese, S. (1996). Object, decision and considerations and self image in men's and women's impulse purchases.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nomics, 93(1-3), 187-206. 

  10. Dittmar, H., & Dury, J. (2000). Self-image is it in the bag? A qualitative comparison between original and excessive consumers. Journal of Economic Psychology, 21(2), 109-142. 

  11. Durvasula, S., Andrews, J. C., Lysonski, S., & Netmeyer, R. G. (1993). Assessing the cross-cultural applicability of consumer behavior models: A model of attitude toward advertising in general. .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9(2), 626-636. 

  12. Forney, J. C. & Park, E. J. (2009). Browsing perspectives for impulse buying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TAFCS Research Journal, 1(1), 1-3. 

  13. Gerbing, D. W. & Anderson, J. C. (1988).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practice: A review and recommended two-step approach. Psychological Bulletin, 103(4), 411-423 

  14. Han, Y. K., Morgan, G. A., Kotsiopulos, A., & Kang-Park J. (1991). Impulse buying behaviour of apparel purchasers.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9(3), 15-21. 

  15. Hausman, A. (2000). A multi-method investigation of consumer motivations in impulse buying. Journal of Consumer Marketing, 17(5), 403-419. 

  16. Isen, A. (1984). The influence of positive affect on decision-making and cognitive organization.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11, 534-537. 

  17. Joreskog, K.G. & Sorbom, D. (2002). LISREL 8: Users Reference Guide, SSI Scientific Software International, Lincolnwood, IL. 

  18. Kacen, J. J. & Lee, J. A. (2002). The influence of culture on consumer impulsive buying behavior. Journal of Consumer Psychology, 12(2), 163-176. 

  19. Lee, J. A. & Kacen, J. J. (2008). Cultural influences on consumer satisfaction with impulse and planned purchase behavior.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61(3), 265-272. 

  20. Lee, J. & Johnson, K. P. (2010). Buying fashion impulsively: Environmental and personal influences. Journal of Global Fashion Marketing, 1(1), 30-39. 

  21. Maheswaren, D. & Shavitt, S. (2000). Issues and new directions in global consumer psychology. Journal of Consumer Psychology, 9(2), 59-66. 

  22. Park, E. J. (2005). Analysi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 on impulse buying behavior for fashion produc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9(9), 1306-1315. 

  23. Park, E. J. & Forney, J. C. (2004). A Comparison on impulse buying behavior and credit card use between Korean and American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8(12), 1571-1582. 

  24. Park, E. J., Kim, E, Y, & Forney, J. C. (2006). A structural model of fashion-oriented impulse buying behavior. Journal of Fashion Marketing and Management, 10(4), 433-446. 

  25. Park, J. & Lennon, S. J. (2006). Psychological and environmental antecedents of impulse buying tendency in the multichannel shopping context. The Journal of Consumer Marketing, 23 (2), 58-68. 

  26. Pentecost, R. &Andrew, L. (2010). Fashion retailing and the bottom line: The effects of generational cohorts, gender, fashion fanship, attitudes and impulse buying on fashion expenditure. Journal of Retailing and Consumer Services, 17(1), 43-52. 

  27. Sharma, P., Sivakumaran, B., & Marshall R. (2010). Impulse buying and variety seeking: a trait-correlates perspective.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63(3), 276-283. 

  28. Weun, S., Jones, M. A. & Beatty, S. E. (1998).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impulse buying tendency scale. Psychological Reports, 82, 1123-1133. 

  29. Yoo, B., & Donthu, N. (2001). Developing and validity a multidimensional consumer-based brand equity scale.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52(1), 1-14. 

  30. Youn, S. & Faber, R. J. (2000). Impulse buying: Its relation to personality traits and cues.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27, 179-18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