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폐경 전.후 여성의 골밀도 및 골대사 지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The Association between Bone Mineral Density, Bone Turnover Markers, and Nutrient Intake in Pre- and Postmenopausal Women 원문보기

韓國營養學會誌 = The Korean journal of nutrition., v.44 no.1, 2011년, pp.29 - 40  

박지연 (삼성서울병원 건강의학센터) ,  최미연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의학영양학과) ,  이선희 (삼성서울병원 건강의학센터) ,  최윤호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  박유경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의학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서울 소재 대학병원에서 건강검진을 한 폐경 전 (283명)과 폐경 후 (143명) 여성 총 431명을 대상으로 골밀도, 골대사지표, 여성호르몬 및 영양소와의 관련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연구 대상자의 평균 나이는 48.4세였고, 폐경 후 여성의 평균 폐경 나이는 50.3세였으며, 폐경 후 경과기간은 5.17년 이었다. 대상자의 평균 신장 체중 허리둘레 체질량지수 체지 방률은 각각 159.2 cm, 55.6 kg, 74.4 cm, $21.9\;kg/m^2$, 29.1% 이었으며, 폐경 후 여성의 나이, 신장, 허리둘레, BMI, 체지방률이 폐경 전 여성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p < 0.001, p < 0.001, p < 0.001, p < 0.01, p < 0.001). 평균 수축기혈압과 이완기혈압은 각각 113.5 mmHg, 69.4 mmHg었으며 폐경 후 여성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 (p < 0.001, p < 0.01). 연구 대상자의 골 밀도를 살펴본 결과 폐경 후 여성이 폐경 전 여성보다 요추, 대퇴경부, 대퇴전체 골 밀도가 유의하게 감소되어 있었고 (p < 0.001) OC, CTx, ALP 지표는 폐경 전 여성보다 폐경 후 여성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p < 0.001). 평균 열량 섭취량은 폐경 전 여성 1,679.4 kcal, 폐경 후 여성 1,621 kcal로 권장량의 93.2%, 90.05%이었으며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섭취량의 에너지 기여 비율은 각각 58 : 18 : 24, 61 : 18 : 21 이었다, 단백질, 지방, 콜레스테롤 섭취량이 폐경 전 여성보다 폐경 후 여성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p < 0.05, p < 0.001, p < 0.001). 일반 영양소 섭취량 중에서 특히 칼륨 섭취량 (폐경 전 후 여성의 칼륨 섭취량은 권장량의 66.69%, 71.54%)이 권장량에 많이 부족한 반면 나트륨 섭취량 (폐경 전 후 여성의 나트륨 섭취량은 권장량의 226.8%, 216.5%)은 권장량보다 훨씬 높았으며 섬유소, 칼륨의 섭취량은 폐경 전 여성이 폐경 후 여성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p < 0.05, p < 0.05). 폐경 전 여성은 요추 골 밀도와 칼륨 섭취량 사이에서 음의 상관관계를, 폐경 후 여성에서는 요추 골 밀도와 칼슘 섭취량사이에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CTx와 열량, 지방, 탄수화물, 철분, 칼륨, 비타민 A, 베타카로틴, 나이아신, 엽산, 섬유소 섭취량과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OC와 나이아신 섭취량 사이에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났다. 요추골 밀도는 단백질, 지방, 칼슘과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FSH 또한 지방, 나이아신 섭취량 사이에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폐경 전과 폐경 후 여성에서 골 표지자인 OC, CTx, ALP 지표는 골 밀도와 여성 호르몬 농도와 연관되어, 체내의 골 대사에 관련된 중요한 중재자의 하나임을 재확인하였고, 골 밀도를 예측하는 인자는 다소 차이가 있었지만 폐경 전 여성에서 체중, BMI, 폐경 후 여성에서는 칼슘 섭취량, 나이 등이 다른 인자들보다 중요도 및 예측에 있어 상대적인 영향이 더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영양 섭취 상태는 폐경 전과 폐경 후 여성에서 열량 섭취는 권장량과 비교하였을 때 양호한 편이었으나 그에 반해, 칼륨, 칼슘 섭취는 부족, 나트륨은 과잉 섭취를 하고 있었다. 따라서 폐경 후 골다공증을 예방하고 골 감소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골 밀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판단된 혈청 칼슘의 충분한 섭취와 적절한 체중유지가 중요하며 반대로 부정적 영향을 미친 나트륨 섭취 감소는 골밀도의 감소를 예방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도 있다고 제안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ssociation among bone mineral density (BMD), biochemical bone markers, nutrients, and salt intake in premenopausal and postmenopausal women. We evaluated 431 subjects who visited a health promotion center of a university hospital between January 2008 an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37) 골질을 평가하는 방법으로는 침습적인 검사방법이 일반적이므로 골 밀도나 골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위험요인을 사전에 파악하여 골절의 위험성을 예측하고 이를 예방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38) 이에 본 연구에서는 폐경 전과 폐경 후 여성을 대상으로 골밀도, 골대사지표, 여성호르몬 및 영양소와의 관련성에 대해 연구하여 궁극적으로 골다공증 예방프로그램 및 교육의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수행되었다.
  • 본 연구는 서울 소재 대학병원에서 건강검진을 한 폐경 전 (283명)과 폐경 후 (143명) 여성 총 431명을 대상으로 골밀도, 골대사지표, 여성호르몬 및 영양소와의 관련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우리나라는 김치류, 찌개류, 장아찌 등 절인식품 빈도가 높아27) 골감소의 위험률이 더 높을 것이라 생각된다. 폐경 또한 골대사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28)으로 본 연구는 폐경 전후 여성의 골밀도에 영향을 미치는 영양ㅇ소를 찾아내어 골감소 예방을 위한 올바른 영양교육의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골다공증은 다른 말로 무엇이라 부르는가? 골다공증은 그 자체가 문제가 되는 것은 아니나 골절이 되면 일상생활이 불편해지고 사망으로 이어질 수도 있기 때문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4) 특히 골다공증은 특정한 예후가 없기 때문에 “소리 없는 질병”이라고 불려지기도 한다.5) 골다공증은 주로 노화와 폐경으로 인한 고연령층 여성들에게 가장 많이 나타나는 대표적인 건강문제라고 할 수 있다.
2007년 우리나라 국민의 평균수명은? 최근 경제성장과 함께 소득수준이 향상되면서 의료기술의 발달 및 개인의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더불어 삶의 질도 높아지고 있다. 우리나라 국민의 평균수명은 2007년 79.5세로 2000년 76세에 비해 늘었으며1) 65세 이상 노인 인구는 2005년 전체 인구의 9.1%로 2003년 8.
폐경 후 여성에게 골다공증이 주로 일어나는 이유는? 정상적인 골에서는 골흡수와 골형성이 균형적으로 일어나 골의 미세손상을 치료하고 오래된 골조직을 새로운 골조직으로 대치하게 되어 골의 생체기능을 유지하게 되는데 폐경 후 여성에게는 골흡수가 골형성을 초과하게 되면서 골소실이 일어나게 된다.9,10) 이는 에스트로겐 분비의 감소로 골형성은 그대로이나 골흡수가 증가되기 때문이다.11) 따라서 폐경은 골다공증의 가장 중요한 요소로 간주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1)

  1.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Annual report of mortality statistics, Seoul; 2005 

  2.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Population projection for Korea, Seoul; 2007 

  3. Won HS. Effects of age-related changes in taste perception on nutritional status and validation of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for the Korean elderly [dissertation]: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1996 

  4. Choi SN, Lee SY, Chung NY. Bone density and processed food intake behavior if middle aged and elderly women in the Seoul area. Korean J Food Cult 2008; 23(6): 681-692 

  5. Avioli LV. The osteoporotic syndrome; Detection, prevention and treatment. 4th ed: Orlando, FL: Academic press; 2000. 

  6. Lee NJ. Age, Body weight, physical activity, dietary patterns, and acculturation may affect osteoporosis risk in postmenopausal Korean and Korean American women. Korean J Pysical Edu 2008; 47(2): 361-369 

  7. Kim MS, Koo JO. Comparative analysis of food habits and bone density risk factors between normal and risk women living in the seoul area. Korean J Community Nutr 2008; 13(1): 125-133 

  8. Jang SN, Choi YH, Chol MG, Kang SH, Jeong JY, Choi YJ, Kim DH. Prevalance and associated factors of osteoporosis postmenopausal women in Chuncheon: HAS. J Prev Med Public Health 2006; 39(5): 389-396 

  9. Kim YS, Yoon BK, Kim JY, Choi DS, Lee JH, Kim JH, Kim KW, Min YK. Effect of hormone replacement therapy on bone mineral density in Korean postmenopausal women over age of 60. Korean J Obstet Gynecol 2007; 13(2): 114-122 

  10. Eastell R, Delmas PD, Hodgson SF, Eriksen EF, Mann KG, Riggs BL. Bone formation rate in order nomal women: concurrent assessment with bone histomorphometry, nn cium kinetics and biochemann Kmarkers. J Clin Endocrinol Metab 1998; 67: 741-748 

  11. Lee HS, Baik IK, Hong ES. Effect of nutrients intakes on development of osteoporosis in Korean postmenopausal women. J Korean Diet Assoc 1996; 2(1): 38-48 

  12. Ribot C, Pouilles J, Bonneu M, Termollieres F. Assessment of the risk of postmenopasual osteporosis using clinical factors. Clin Endocrinol 1992; 36: 225-228 

  13. Chung YJ, Lee KM, Park JW, Chung SP. Fators which are related with BMD in premenopausal women. J Korean Acad Fam Med 2001; 22: 363-370 

  14. Johason JS, Riis BJ, DElmas PD. Plasma BGP. An indicator of spontaneous bone loss and of effect of estrogen treatment in postmenopausal women. Eur J Clin Invest 1998; 18: 191-195 

  15. Lee KM, Han SB, Kim JS, Baik KJ, Hong SB, Moon KH, Kang JS, Yoon SH. Bone mineral density and bone turnover makers in patients with femur fracture who visited the emergency department. J Korean Soc Traumatol 2005; 18(2): 87-93 

  16. Lee CS, Yoon SC. The significance of serum C-telopeptide as a bone marker in chronic hemodialysis patients. Korean J Med 2009; 76(4): 443-450 

  17. Makay HA, Petit MA, Khan KM, Schutz RW. Lifestyle determinants of bone mineral: a comparison between prepubertal Asian-and Caucasian boys and girls. Calcif Tissue Int 2003; 66 (5): 320-324 

  18. NOF. OBRD-NRC; 1998 

  19. Riggs BL, Melton LJ.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osteoporosis. N Engl J Med 1992; 327: 620-627 

  20. Kakudo KIntroduction for special issue of calcitonin and calcitonin receptor. Cell Mol Biol 2006; 1552(3): 1-2 

  21. Mcguigan FE, Murray L, Gallagher A, Davey-Smith G, Neville CE, Van't Hof R, Boreham C, Ralston SH. Genetic and environmental determinants of peak bone mass in young man and women. J Bone Miner Res 2002; 17(7): 1273-1279 

  22. Anderson JJB. Nutritional advances in human bone metabolism introduction. J Nutr 1996; 126: 1150-1152 

  23. Lamichhane AP. Osteoporosis-an update. J Nepal Med Assoc 2005; 44(158): 60-66 

  24. Slemenda CW, Christian JC, Reed T, Reister TK, Williams CJ, Johnston CC Jr. Longterm bone loss in men: effects of genetic and environmental factors. Ann Intern Med 1992; 117(4): 286-291 

  25. Yu CH, Kim HS, Lee JS, Kim JY. A study on Ca and P balance in Korean adult women. Korean J Community Nutr 2001; 34 (1); 54-61 

  26. Lee KS, Kim JM. Comparison of nutrients intake, bone density, total cholesterol and blood glucose in women living in Taegu City. Korean J Community Nutr 2003; 9(1): 81-93 

  27. Mizushima S, Tsuchida K, Yamori Y. Preventive nutritional factors in epidemiology: interaction between sodium and calcium. Clin Exp Pharmacol Physiol 1999; 26: 573-575 

  28. Son SM, Heo KY. Salt intake and nutritional problems in Korea. Korean J Community Nutr 2002; 7(3): 381-390 

  29. Metka M, Holzer G, Heytmanek G, Huber J. Hypergonadotropic hypogonadonadic amenorrfea and osteoporosis. Fertil Steril 1992; 57: 37-41 

  30. Hamdy RC, Petak SM, Lenchik L. Which central dual X-ray absorptiometry skeletal sites and regions of interest should be used to determine the diagnosis of osteoporosis. J Clin Densitom 2002; 5(Suppl): S11-S18 

  31. Block G, Coyle LM, Hartman AM, Scoppa SM. HHHQ-DIETSYS analysis software, Ver.3.0 National Cancer Institute, Bethesda, MD; 1993 

  32. Kim HY, Yang EJ. A Study on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for Koreans. Korean J Nutr 1998; 31(2): 220-230 

  33. Paek HY, Ryu JY, Choi JS, An YJ, Mun HK, Park YS, Lee HG, Kim YI.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for dietary assessment of Korean adults in rural area. Korean J Nutr 1995; 28(9); 914-922 

  34. Lee SH. The association between dietary patterns and the risk of metabolic syndrome; 2005 

  35. Sung CJ , Choi YH , Kim MH , Choi SH , Cho KO. A study of nutrient intake and serum levels of osteocalcin, Ca, P, and Mg and their correlation to bone mineral density in Korean postmenopausal women residing in rural areas. Korean J Community Nutr 2002; 7(1); 111-112 

  36. Yu CH, Lee YS, Lee L, Kim SH, Lee SS, Jung Ik. Nutritional factors related to bone mineral density in the different age groups of Korean women. Korean J Nutr 2002; 35(7): 779-790 

  37. Lee HJ, Lee HO. A study on the bone meniral density and related factors in Korean postmenopausal women. Korean J Nutr 1999; 32(2): 197-203 

  38. Leon S, Marc AF. Clinical gynecologic endocrinology and infertility. 7th ed. Philadelphia, P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5. p.652 

  39. Raisz LG. Pathogenesis of osteoporosis: concepts, conflicts, and prospects. J Clin Invest 2005; 115: 3318-3325 

  40. Choi SH, Hwang DK, Song HR, Noh HJ, Kang JY, Choi DH, Choi HJ. Predictors for Lumbar bone mineral density in premenopausal and postmenopausal women in Korea. J Korean Soc Menopause 2009; 15(2): 101-109 

  41. Riggs BL, Melton LJ 3rd.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osteoporosis. N Engl J Med 1992; 327: 620-627 

  42. Braunwald E, Fauci AS, Kasper DL, Hauser SL, Longo DL, Jameson JL.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medicine, 15th ed. The McGraw-Hill Companies, Inc; 2001. p.2226-2227 

  43. Weinstein RS, Manolagas SC. Apoptosis and osteoporosis. Am J Med 2000; 108: 153-164 

  44. Turner RT, Riggs BL, Spelsberg TC. Skeletal effects of estrogen. Endocr Rev 1994; 15: 275-300 

  45. Pacifici R. Estrogen, cytokines, and pathogenesis of postmenopausal osteoporosis. J Bone Miner Res 1996; 11: 1043-1051 

  46. Felson DT, Zhang Y, Hannan MT, Anderson JJ. Effects of weight and body mass index on bone mineral density in men and women: the Framingham study. J Bone Miner Res 1993; 8: 567-573 

  47. Frost HM. Obesity, and bone strength and "mass": A tutorial based on insights from a new paradigm. Bone 1997; 21: 211-214 

  48. Hoover PA, Webber CE, Beaumont LF, Blake JM. Postmenopausal bone mineral density: Relationship to calcium intake, calcium absorption, residual estrogen, body composition, and physical activity. Can J Physiol Pharmacol 1996; 74: 911-917 

  49. Rebuffeb-Scrive M, Eldh J, Hafstrom LO, Bjorntorp P. Metabolism of mammary, abdominal, and femoral adipocytes in women before and after menopause. Metabolism 1986; 35: 792-797 

  50. Carr MC. The emergence of the metabolic syndrome with menopause. J Clin Endocrinol Metab 2003; 88: 2404-2411 

  51. Koo JY, Ahn HS, Yoo SY. Study of bone mineral density, body composition and dietary habits of 20-30 years women. Korean J Community Nutr 2008; 13(4): 489-498 

  52. Yamaguchi T, Sugimoto T, Yano S, Yamauchi M, Sowa H, Chen Q. Plasma lipids and osteoporosis in postmenopausal women. Endocr J 2002; 49: 211-217 

  53. Parhami F, Jackson SM, Tintut Y, Le V, BalucanJP, Territo M. Atherogenic diet and minimally oxidized low density lipoprotein inhibit osteogenic and promote adipogenic differentiation of marrow stromal cells. J Bone Miner Res 1999; 14: 2067-2078 

  54. Choi, JH, Kim SK. Comparison of the dietary factors between normal and osteopenia groups by bone mineral density in Korean female college stude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08; 37 (7): 815-958 

  55. Lee BK, Chang YK, Choi KS. Effect of nutrient intake on bone mineral density in postmenopausal women. Korean J Nutr 1992; 25(7): 642-655 

  56. Gruchow H. Calcium intake and the relationship of dietary sodium And potassium to blood pressure. Am J Clin Nutr 1996; 48: 1463-1470 

  57. Jones G, Beard T, Parameswaran V, Greenaway T, Von Witt R. Apopulation-based study if the relationship between salt intake, bone resorption and bone mass. Eur J Clin Nutr 1997; 51(8): 561-565 

  58. Kim JH. Determinants of bone mineral density in adult women living in community dwellings [Masterthesis]. Bucheon: The Catholic University; 2002 

  59. Heaney RP, Recker RR, Stegman MR, Moy AJ. Calcium absorption in women: relationships to calcium intake, estrogen status, and age. J Bone Miner Res 1999; 4(4): 469-475 

  60. Heaney RP. Nutritional factors in bone health in elderly subjects: methodological and contextual problems. Am J Clin Nutr 1999; 50: 1182-1189 

  61. Yang YS, Noh HT. Predictors for Lumbar bone mineral density in premenopausal and postmenopausal women in Korea. Korean J Obstet Gynecol 2008; 51: 429-4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