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조 방법이 다른 솔잎 추출물 첨가가 유화형 소시지의 냉장 저장 중 항산화 및 아질산염 잔존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ddition of Pine Needle Extracts in Different Forms on the Antioxidant and Residual Nitrite Contents of Emulsified Sausages during Cold Storage 원문보기

Korean journal for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v.31 no.1, 2011년, pp.74 - 80  

김영직 (대구대학교 동물자원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유화형 소시지에 제조 방법을 다르게 추출한 솔잎 추출물을 첨가하여 냉장온도($4{\pm}1^{\circ}C$)에서 30일간 저장하면서 pH, TBARS, 총 미생물수, 육색 및 아질산염 잔존량을 조사하였다. 시험구는 솔잎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 솔잎즙 첨가구는 T1, 솔잎 에탄올 추출물 첨가구는 T2, 솔잎중탕 추출물 첨가구를 T3 등 4개 처리구로 나누어 0, 10, 20 및 30일간 저장하면서 실험하였다. pH는 저장기간이 경과하면서 모든 처리구에서 서서히 감소하였다(p<0.05). TBARS와 총미생물수는 저장기간 동안 증가하였으며, 솔잎 즙과 에탄올 추출물을 첨가한 유화형 소시지는 대조구보다 낮아 솔잎의 첨가는 지방산화와 미생물 성장을 지연시켰고, 특히 에탄올 추출물 첨가구인 T2에서 TBARS 값과 미생물수는 가장 낮은 경향이었다(p<005). 육색은 저장기간이 지나면서 CIE $L^*$ 값과 $a^*$ 값 및 $b^*$ 값은 감소하였고, 처리구간에는 CIE $L^*$ 값과 $a^*$ 값은 T1과 T2에서 낮았고, $b^*$ 값은 T1과 T2에서 높은 결과로 솔잎 추출물의 첨가는 소시지 색을 어둡게 하는 경향이었다. 아질산염 잔존량은 저장기간이 경과하면서 감소하였는데 T2에서 다른 시험구보다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찰해보면 솔잎 에탄올 추출물 첨가는 지방의 산화와 미생물 성장 억제 및 아질산염 잔존량 감소에 효과가 가장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shelf-life effects and residual nitrite content of emulsified sausages added with pine needles during cold storage. The sausage consisted of four types: no pine needles added (control), pine needle juice added (T1), ethanol extract of pine needles ad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솔잎의 제조방법을 다르게 하여 유화형 소시지 제조 시 첨가한 후 냉장 저장하는 동안 유화형 소시지의 pH, 지질 산패도, 총 미생물수, 육색 및 아질산염 잔존량을 조사하여 항산화능과 아질산염소거능이 보고된 솔잎의 효과적인 추출 및 첨가 방법을 모색하고자 실험을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육 가공제품에서 아질산염의 역할은 무엇인가? 식육 가공제품에서 발색제로 첨가되는 아질산염은 염지 육색의 발현 및 안정화 뿐만 아니라 Clostridium botulinum에 대한 정균작용, 분비독소의 생성억제작용, 육제품의 풍미 향상, 산패취 감소 등의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Brooks et al., 1969; Duncan and Foster, 1968; Gidding, 1977).
아질산염과 제2급 및 3급 아민과의 nitroso화 반응은 체내 어떤 조건에서 쉽게 일어날 수 있는가? 그러나 식품 및 생체 내의 잔존 아질산염이 amine류와 결합에 의하여 발암성 물질인 nitrosamine을 생성하여 다량 섭취할 경우 메트로헤모글로빈산화증 등 중독증상을 일으킨다(Woo and Lee, 1982). 아질산염과 제2급 및 3급 아민과의 nitroso화 반응은 위장 내의 낮은 산성조건에서 쉽게 일어나는 발암물질인 nitrosamine을 생성할 수 있다(Massey et al., 1978).
지방의 산화를 억제하는 페놀계 합성 제제로는 무엇이 있는가? 식육의 지방이 산화되면 그 자체, 또는 식육내의 다른 성분과 반응하여 색, 풍미, 영양에 불리한 영향을 준다고 알려져 있다(Love and Pearson, 1971). 지방에 대한 항산화 작용을 나타내는 주요물질로는 BHA(butylated hydroxyanisole), BHT(butylated hydroxytoluene)와 같은 페놀계 합성 항산화제가 있으나 식품위생상 안전성 문제가 제기되고 있으므로 안전하고 위생적인 천연항산화제의 개발이 지속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6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2. Brewer, M. S., Ikims, W. G., and Harbers, C. A. Z. (1992) TBA values, sensory characteristics and volatiles in ground pork during long-term frozen storage: Effect of packing. J. Food Sci. 57, 558-564. 

  3. Brooks, J., Haines, R. B., Moran, T., and Pace, J. (1969) Inhibition of Clostridium botulinum by sodium nitrite in a bacteriological medium and in meat. J. Can. Inst. Food Technol. 2, 52-56. 

  4. Cassens, R. G., Greaser, M. L., Ito, T., and Lee, M. (1979) Reactions of nitrite in meat. Food Technol. 33, 46-51. 

  5. Choi, M. Y., Choi, E. J., Lee, E., Rhim, T. J., Cha, B. C., and Park, H. J. (1997) Antimicrobial activities of pine needle. Korean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5, 293-297. 

  6. Choi, O. J. (1991) Yeuakcho seungbun. Iyon Illwelulgak. Seoul, pp. 114-116. 

  7. Duncan, C. L. and Foster, E. M. (1968) Effect of sodium nitrite, sodium chloride and sodium nitrate and outgrowth of anaerobic spores. Appl. Microbiol. 16, 406-4011. 

  8. Frankel, E. N. (1984) Lipid oxidation, mechanism, products and biological significance. J. Am. Oil Chem. Soc. 61, 1908-1914. 

  9. Gidding, G. G. (1977) The basic of color in muscle foods. J. Food Sci. 42, 288-323. 

  10. Hong, G. T., Lee, Y. R., Yim, M. H., and Hyun, C. N. (2004) Physiological functionality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fermentation extracts from pine needles. Korean J. Food Preserv. 11, 94-99. 

  11. ICMSF (1986) Microganism in foods. 2. Sampling for microbiological analysis. Principles and specific application, 2nd ed, University of Toronto Press, Toronto. 

  12. Keskinel, A., Ayres, J. C., and Hnyer, H. E. (1964) Determination of oxidative changes of meats by the 2-thiobarbituric acid method. J. Food Technol. 18, 223-228. 

  13. Kim, E. J. and Kim, S. M. (1998) Bread properties utilizing extracts of pine needle according to preparation method.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542-548. 

  14. Kim, M. S. and Kim, I. C. (1999) Some properties and curing effect of drip from frozen-thawed pork meat. J. Korean Soc. Food Nutr. 12, 370-374. 

  15. Kim, S. M. and Cho, Y. S. (1999) Effect of pine needle extract on Fe ion and active oxygen related lipid oxidation in oil emulsion. Korean J. Harvest Sci. Technol. Agri. Prod. 6, 115-120. 

  16. Kim, S. M., Cho, Y. S., Sung, S. K., Lee, I. G., Lee, S. H., and Kim, D. G. (2002) Development of functional sausage using plant extracts from pine needle and green tea.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2, 20-29. 

  17. Langlosis, B. E. and Kemp, J. D. (1974) Micriflors of fresh and dry-cured hams and affected by fresh ham storage. J. Anim. Sci. 38, 525-532. 

  18. Lee, E. and Choi, M. Y. (2000) Effects of pine needle on lipid composition and TBARS in rat fed high cholesterol.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1186-1190. 

  19. Lee, H. J., Choi, C. B., Choi, H. T., Kim, S. H., Ham, Y. A., Lee, D. S., and Ham, S. S. (2005)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vaporized liquid of water-boiled pine needle. Korean J. Food Preserv. 12, 107-111. 

  20. Love, J. D. and Pearson, A. M. (1971) Lipid oxidation in meat and meat products. J. Am. Oil Chem. Soc. 48, 547-553. 

  21. Massey, R. C., Crews, C., Gavies, R., and McWeeney, D. J. (1978) A study of the competitive nitrosamine of pyeolidine, ascorbic acid, cysteine and p-cresol in a protein based model system. J. Sci. Food Agri. 29, 815-816. 

  22. Moon, J. J., Han, Y. B., and Kim, J. S. (1993) Studies on antitumor effects of pine needle. Korean Vet. Res. 33, 701-710. 

  23. Park, C. H., Kwon C. J., Choi, M. A., Park, G. S., and Choi, K. H. (2002a) Antibacterial activities of Cordiceps spp., mugwort and pine needle extracts. Korean J. Food Preserv. 9, 102-108. 

  24. Park, C. S., Kwon, C. J., Choi, M. A., Park, G. S., and Choi, K. H. (2002b) Antioxidative and nitrite scavenging activities of mugwort and pine needle extracts. Korean J. Food Preserv. 9, 248-252. 

  25. Sammet, K., Duehlmeier, R., Sallmann, H. P., von Canatein, C., von Mueffling, T., and Nowak, B. (2006) Assessment of the antioxidative potential of dietary supplementation with $\alpha$ -tocopherol in low-nitrite salami-type sausage. Meat Sci. 72, 270-279. 

  26. SAS (2002) SAS/STAT User's Guide: Version 8.2. SAS Institute, Inc., Cary, NC, USA. 

  27. Tanenbaum, S. R., Sinskey, A. J., Weisman, M., and Bishop, W. (1974) Nitrite in human saliva. Its possible relationship to nitrosamine formation. J. Natl. Cancer Inst. 53, 79-80. 

  28. Witte, V. C., Krause, G. F., and Baile, M. E. (1970) A new extraction method for determining 2-thiobarbituric acid values of pork and beef during storage. J. Food Sci. 35, 352-358. 

  29. Witter, J. P., Gatley, S. J., and Balish, E. (1979) Distribution of nitrogen-13 from labeled nitrite in humans and rats. Sci. 204, 411-413. 

  30. Woo, S. J. and Lee, H. J. (1982) Residual nitrite and nitrate in home processed dry sausage and ham. Korean J. Nut. Soc. 15, 186-193. 

  31. Yin, M. C., Faustman, C., Riesen, J. W., and Williams, S. N. (1993) The effects of $\alpha$ -tocopherol and ascorbate upon oxymyoglobin and phospholipid oxidation. J. Food Sci. 58, 1273-1276. 

  32. Zanardi, E., Ghidini, S., Battaglia, S., and Chizzolini, R. (2004) Lypolysis and oxidation in fermented sausage depending on different processing condition and different antioxidants. Meat Sci. 66, 415-42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