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RAI-HC를 이용한 노인의 다면적 재낙상 위험요인 분석 -1회 낙상자와 재낙상자 비교-
Analysis of Multi-variate Recurrent Fall Risk Factors in Elderly People Using Residential Assessment Instrument-Home Care - Comparisons between Single and Recurrent Fallers -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1 no.1, 2011년, pp.119 - 128  

유인영 (전주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determine the risk factors for recurrent fallers (2+falls) compared to single fallers. Methods: Participants were 104 community-dwelling people 65 yr of age or older.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June 1, 2008 to June 30, 2009 using the Residential Assessment Instrum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과거력은 현재 진단받은 질병, 질병 수, 복용하는 약물 수, 낙상공포 유무, 보조기구 사용유무, 요실금 유무, 낙상공포 유무, 인지된 건강상태와 통증정도를 사정하였다. 낙상공포는 낙상에 대한 공포 때문에 외출을 하지 못하거나 다른 사람과 함께 외출을 해야 하는지 여부로 측정하였다. 인지된 건강상태는 ‘좋다고 느낀다/나쁘다고 느낀다’로 구분하여 측정하였다.
  • Fleming, Mattews, Brane과 Cambridge City over-75s Cohort (CC75C) study collaboration (2008)은 과거 낙상 조사 기간을 1, 3, 6, 12개월을 기준으로 연구한 결과 낙상빈도에 기초한 낙상 발생률(Incidencerate)은 과거 낙상조사 기간이 짧아짐에 따라 높아진다고 하였다. 노인의 낙상에 대한 recall bias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RAI-HC 매뉴얼의 기준에 따라 지난 90일 동안 일어난 낙상 발생률에 대해 조사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 국제적으로 표준화된 RAI-HC를 사용하여 1회 낙상자와 2회 이상 재낙상자의 낙상위험요인을 비교분석하여 재낙상자에 대한 차별화된 재낙상 중재 방안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시도하였다.
  • , 2002). 본 연구는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1회 낙상군과 2회 이상 재낙상군의 낙상위험요인의 차이를 파악하여 재낙상 예방을 위한 차별화된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2회 이상의 낙상을 모두 재낙상군으로 포함하였는데 이러한 구분은 다수의 선행연구들이(Buatois et al.
  • 본 연구는 노인을 대상으로 1회 낙상자와 2회 이상 재낙상자의 낙상위험요인의 차이를 파악하기 위한 횡단적단면조사연구(Cross sectionalstudy)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RAI-HC를 이용하여 지역사회 재가 노인의 다면적 재낙상 위험요인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인에 있어 낙상은 무엇의 원인이 되는가? 노인에 있어 낙상은 심각한 건강위험요인으로 국내외적으로 매년 65세 이상 노인의 1/3 이상이 낙상을 경험하고 있다. 낙상은 노인의 건강을 위협하는 가장 심각한 문제 중의 하나이며 노인의 신체 손상, 비가동성, 골절, 두부손상, 기능감퇴, 사회 심리적 기능 장애, 입원, 장기요양시설 조기입소, 사망률 증가 등의 원인이된다. 미국의경우 낙상은 노인층에서 흔히 일어나는 사고로 낙상으로인해 사망한 사람중 65세이상 노인이 60%를 차지하고있으며, 낙상으로 인해 병원에 입원한 노인의 절반가량이 1년 이내에 사망하였다(Haber, 2004).
낙상의 특징은 무엇인가? 낙상은 생의 모든 주기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노인들에게는 자주발생하는 사고이다. 노인에 있어 낙상은 심각한 건강위험요인으로 국내외적으로 매년 65세 이상 노인의 1/3 이상이 낙상을 경험하고 있다.
낙상의 위험요인은 어떻게 나눠지는가? 낙상의 위험요인은 내인성 요인(intrinsic factors)과 외인성 요인 (extrinsicfactors)으로 나누어지며 이 두 요인의 복합적 문제로 낙상을 일으키게 된다. 이러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많이 존재할수록 낙상 위험은 증가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lyth, R., Cumming, P., Mitchell, J., & Wang, J. J. (2003). Pain and falls in older people. European Journal of Pain, 11, 564 -571. 

  2. Buatois, S., Gueuen, R., Gauchard, G. C., Benetos, A., & Perrin, P. P. (2006). Posturography and risk of recurrent falls in healthy non-institutionalized persons aged over 65. Gerontology, 52, 345-352. 

  3. Burrows, A., Morris, J. N., Simon, S., Hirdes, J. P., & Phillips, C. (2000). Development of a minimum data set-based depression rating scale for use in nursing homes. Age and Ageing, 29, 165-172. 

  4. Chen, Y., Hwang, S., Chen, L., Chen, D., & Lan, C. (2008). Risk factors for falls among elderly men in a veterans home. Journal of the Chinese Medical Association, 71(4), 180-185. 

  5. Choi, E. S., Lim, K. I., & Jun, T. W. (2007). The study of isokinetic muscle power, flexibility, static balance and dynamic reaction time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fall down in elderly women. Journal of Korean Physical Education Association for Girls and Women, 21(3), 55-64. 

  6. Chu, L. W., Chi, I., & Chiu, A. Y. (2005). Incidence and predictors of falls in the Chinese elderly. Annals Academy of Medicine Singapore, 34(1), 60-72. 

  7. Cummings, S. R., Netitt, M. C., & Kidd, S. (1988). Forgetting falls, the limited accuracy of recall of falls in the elderly. Journal of American Geriatric Society, 36, 613-616. 

  8. Fleming, J., Mattews, F. E., Brane, C., & Cambridge City over-75s Cohort (CC75C) study collaboration. (2008). Falls in advanced old age: Recalled falls and prospective follow-up of over-90-year-olds in the Cambridge city over-75s cohort study. BioMed Central Geriatrics, 8(6), 1-11. 

  9. Fletcher, P. C., Berg, K., Dalby, D. M., & Hirdes, J. P., (2009). Risk factors for falling among community-based seniors. Journal of Patient Safety, 5(2), 61-66. 

  10. Fletcher, P. C., & Hirdes, J. P. (2002). Risk factors for falling among community- based seniors using home care services. Journal of Gerontology: Medical Sciences. 57A. M504 -M510. 

  11. French, D. D., Werner, D. C., Campbell, R. R., Powell-Cope, G. M., Nelson, A. L., Rubenstein, L. Z., et al. (2007). A multivariate fall risk assessment model for VHA nursing homes using the minimum data set,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Directors Association, 8, 115-122. 

  12. Fries, B. E., Simon, S. E., Morris, J. N., Flodstrom, C., & Bookstein, F. L. (2001). Pain in US nursing homes: Validating a pain scale for the minimum data set. Gerontologist, 41, 173-179. 

  13. Gassbmann, K. G., Rupprecht, R., & Freiberger, E. (2009). Predictors for occasional and recurrent falls in community-dwelling older people. Zeitschrift fur Gerontologie und Geriatrie, 42(1), 3-10. 

  14. Harber, D. (2004). Health promotion and aging: Practical applications for health professionals (3rd ed.) New York: Springer Publishing Company, Inc. 

  15. Hauer, K., Lamb, S. E., Jorstad, E. C., Todd, C., & Becker, C. (2006). Systematic review of definitions and methods of measuring falls in randomised controlled fall prevention trials. Age and Aging, 35, 5-10. 

  16. Kim, J. M., & Lee, M. S. (2007). Risk factors for falls in the elderly population in Korea: An analysis of the third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4(4), 23-39. 

  17. Kim, J. S., Bae, S. I., Park, I, S., Gu, M. K., & Hong, S. W. (2003). The analysis of the transition about health care expenditure for the elderly of aging society. Seoul: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18. Kim, S. M., Bae, S. S., Kim, D. H., June, K. J., Kim, C. Y., & Yoon, J. L. (2000). Validity of resident assessment instrument-minimum data set home care version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Geriatrics Society, 18(1), 14-22. 

  19. Lipsitz, L. A., Jonsson, P. V., Kelly, M. M., & Koestner, J. S. (1991). Causes and correlates of recurrent falls in ambulatory frail elderly. Journal of Gerontology, 46, M114-122. 

  20. Lord, S. R., & Dayhew, J. (2001). Visual risk factors for falls in older people. Journal of American Geriatrics Society, 49, 508-515. 

  21. Lord, S., Sherrington, C., & Menz, H. (2001). Falls in older people: Risk factors and strategies for prevention.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2. Matteo, C., Francesco, L., Sergio, T., Graziano, O., Fabrizia, L., & Roberto, B. (2002). Prevalence and risk factors for falls in an older communitydwelling population. Journal of Gerontology: Medical Sciences, 57A, M722-M726. 

  23. Morris, J. N., Fries, B. E., & Bernabei, R. (1996). RAI-home care assessment manual. Washinton, DC: InterRAI Corporation. 

  24. Morris, J. N., Fries, B. E., Mehr, D. R., Hawes, C., Philips, C., Mor, V., et al. (1994). MDS cognitive performance scale. Journal of Gerontology: Medical Sciences, 49, M174-M182. 

  25. Morris, J. N., Fries, B. E., & Morris, S. A. (1999). Scaling ADLs within the MDS. Journals of Gerontology: Medical Sciences, 54A, M546-M553. 

  26. Nikolaus, T., & Bach, M. (2003). Preventing falls in community-dwelling frail older people using a home intervention team (HIT): Results from the randomized falls HIT trial. Journal of American Geriatric Society, 51, 300-305. 

  27. Park, H. S., Chang, R., & Park, K. Y. (2008). Comparative study on fall related characteristics between single and recurrent falls in communitydwelling older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Adult Nursing, 20, 905-916. 

  28. Runge, J. W. (1993). The cost of injury. Emergency Medicine Clinics of North America. 11, 241-253. 

  29. Stephan, R. L. (2006). Visual risk factors for falls in older people. Age and Ageing, 35-S2, 42-45. 

  30. Yoo, I. Y. (2005). Fall and housing environmental problem of the couple and single elderly. Journal of Korean Society Living Environmental System. 12, 199-205.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