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등골나물(Eupatorium japonicum)은 식용으로 이용되어온 식물이지만 생리활성에 대한 연구가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진은 등골나물 에탄올추출물이 쥐 대식세포인 Raw264.7 세포에 LPS로 유도된 염증 반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등골나물 꽃 부분에 70% 에탄올을 가하여 얻은 등골나물 에탄올추출물(EJE)을 Raw264.7 세포에 LPS와 함께 0, 1, 2.5, 5, 10 mg/L로 처리하여 세포를 배양하였다. LPS에 의해 생성된 NO$PGE_2$ 분비는 EJE를 처리함에 따라 감소하였고 이 결과는 EJE의 독성에 의한 것이 아님이 증명되었다. Raw264.7 세포에 LPS에 의해 생성된 iNOS, COX-2의 단백질과 mRNA의 발현이 EJE의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되었으며, 염증 반응시 생성되는 IL-6, IL-${\beta}$, TNF-${\alpha}$의 mRNA 발현도 등골나물 추출물에 의해 현저히 억제되었다. 더욱이 EJE의 분획물 중 EA와 MC 분획물이 독성이 적으면서 효과적으로 NO의 생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NO 생성 억제효과가 뛰어난 이들 분획물 내의 생리활성 물질에 대한 연구가 추가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고 사료된다. 등골나물 꽃을 추출물로 항염증효과를 연구한 논문이 없고 다른 식용 가능한 천연재료들의 항염증효과와 비교하여(data not shown) EJE 분획물의 항염증효과가 낮은 농도에서 탁월한 점을 미루어 볼 때, 등골나물 추출물은 상당히 낮은 농도에서 뛰어난 항염증 물질을 가진 단일물질을 포함할 가능성이 높다고 사료된다. 따라서 위의 결과는 등골나물 추출물이 독성과 부작용이 적은 염증 치료제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음을 제시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upatorium japonicum belongs to a family of Asteraceae plants and flowers of E. japonicum have been consumed as a tea.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whether E. japonicum extract inhibits lipopolysaccharide (LPS)-induced inflammatory responses in Raw264.7 macrophages. The cells were treated with va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위의 결과들에서 EJE가 항염증에 탁월한 효과가 있음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EJE의 분획물 중 어떤 분획물이 EJE의 주요한 항염증 효과를 나타내는 분획인지 조사하였다. 먼저 EJE를 W, B, EA, H, MC으로 분획한 후, 분획물을 10 mg/L의 농도로 처리하여 NO 생성 억제효과를 조사하였다.
  • 대식세포에서는 LPS와 같은 외부 자극 등에 의해 염증반응이 일어나면 NO, PGs, 염증성 cytokine과 같은 다양한 물질을 생성하고, 염증반응을 조절하는 다양한 병리적인 반응이 유도된다(18).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등골나물 에탄올추출물(EJE)이 NO와 PGE2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마우스의 대식세포인 Raw264.7에 LPS(1 mg/L)의 단독처리 또는 EJE를 0, 1, 2.5, 5, 10 mg/L로 동시에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NO와 PGE2에 대한 EJE의 생성 억제 효과를 조사하였다. EJE 처리는 LPS에 의해 생성이 증가된 NO의 양을 EJE처리 최종농도에서 67%정도 감소시켰으며, PGE2의 생성량도 49%까지 감소시켰다(Fig.
  • 등골나물(Eupatorium japonicum)은 식용으로 이용되어온 식물이지만 생리활성에 대한 연구가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진은 등골나물 에탄올추출물이 쥐 대식세포인 Raw264.7 세포에 LPS로 유도된 염증 반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등골나물 꽃 부분에 70% 에탄올을 가하여 얻은 등골나물 에탄올추출물(EJE)을 Raw264.
  • 하지만 등골나물의 약용 효과에 대해서는 아직 연구된 바가 없다. 따라서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제로서 등골나물의 이용가능성을 밝히기 위하여 본 실험에서는 LPS로 염증반응을 유도한 Raw264.7 세포에서 등골나물 에탄올추출물(EtOH extract from E. japonicum; EJE)의 항염증 효능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염증반응이란? 염증반응은 외부로부터 물리적, 화학적 자극이나 세균감염에 대한 생체조직의 방어 반응의 하나이며, 손상된 조직을 수복하거나 재생하려는 기전이다(1). 그러나 만성으로 진행된 염증반응은 반대로 조직손상을 촉진하여 식도, 위, 대장, 방광 그리고 전립선암으로의 진행을 유도하게 된다(2).
nitric oxide를 합성하는 효소는? 염증반응이 일어나면 염증매 개물질들인 nitric oxide(NO), prostaglandin E2 (PGE2), 염증성 cytokine 등이 분비된다. 염증반응의 지표물질인 NO는 L-arginine 에서 NO synthase(NOS)에 의해 합성된다. NOS에는 endothelial NOS, neuronal NOS, inducible NOS(iNOS)의 세가지 형태가 있으며, 이들 중 iNOS에 의한 NO 생성은 병리학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한다(3).
염증매 개물질로 분비되는 것들은? 그러나 만성으로 진행된 염증반응은 반대로 조직손상을 촉진하여 식도, 위, 대장, 방광 그리고 전립선암으로의 진행을 유도하게 된다(2). 염증반응이 일어나면 염증매 개물질들인 nitric oxide(NO), prostaglandin E2 (PGE2), 염증성 cytokine 등이 분비된다. 염증반응의 지표물질인 NO는 L-arginine 에서 NO synthase(NOS)에 의해 합성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Zamora R, Vodovotz Y, Billiar TR.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and inflammatory diseases. Mol. Med. 6: 347-373 (2000) 

  2. Hofseth LJ, Ying L. Identifying and defusing weapons of mass inflammation in carcinogenesis. Biochim. Biophys. Acta 1765: 74-84 (2006) 

  3. Nathan C. Nitric oxide as a secretory product of mammalian cells. FASEB J. 6: 3051-3064 (1992) 

  4. Moncada S, Palmer RM, Higgs EA. Nitric oxide: Physiology, pathophysiology, and pharmacology. Pharmacol. Rev. 43: 109-142 (1991) 

  5. Yun HY, Dawson VL, Dawson TM. Neurobiology of nitric oxide. Crit. Rev. Neurobiol. 10: 291-316 (1996) 

  6. Stuehr DJ, Cho HJ, Kwon NS, Weise MF, Nathan CF.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e cytokine-induced macrophage nitric oxide synthase: An FAD- and FMN-containing flavoprotein. Proc. Natl. Acad. Sci. USA 88: 7773-7777 (1991) 

  7. McCartney-Francis N, Allen JB, Mizel DE, Albina JE, Xie QW, Nathan CF, Wahl SM. Suppression of arthritis by an inhibitor of nitric oxide synthase. J. Exp. Med. 178: 749-754 (1993) 

  8. Weisz A, Cicatiello L, Esumi H. Regulation of the mouse inducible- type nitric oxide synthase gene promoter by interferon- $\gamma$ , bacterial lipopolysaccharide, and NG-monomethyl-L-arginine. Biochem. J. 316: 209-215 (1996) 

  9. Bishop-Bailey D, Calatayud S, Warner TD, Hla T, Mitchell JA. Prostaglandins and the regulation of tumor growth. J. Environ. Pathol. Tox. Oncol. 21: 93-101 (2002) 

  10. Seibert K, Zhang Y, Leahy K, Hauser S, Masferrer J, Perkins W, Lee L, Isakson P. Pharmacological and biochemical demonstration of the role of cyclooxygenase 2 in inflammation and pain. Proc. Natl. Acad. Sci. USA 91: 12013-12017 (1994) 

  11. Levy GN. Prostaglandin H synthase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and colon cancer. FASEB J. 11: 234-247 (1997) 

  12. Takahashi M, Mutoh M, Shoji Y, Sato H, Kamanaka Y, Naka M, Maruyama T, Sugimura T, Wakabayashi K. Suppressive effect of an inducible nitric oxide inhibitor, ONO-1714, on AOM-induced rat colon carcinogenesis. Nitric Oxide. 14: 130-136 (2006) 

  13. Lee DH. The Illustrated Plants Book (pocket book): Summer and autumn Flower and Tree. Ebeerak. Seoul, Korea. p. 274 (2010) 

  14. Lee JM. It's Okay to Become Familiar Slowly: 421 of Wild Edible Greens. Hwan creative company. Seoul, Korea. p. 152 (2009) 

  15. Denizot F, Lang R. Rapid colorimetric assay for cell growth and survival. Modifications to the tetrazolium dye procedure giving improved sensitivity and reliability. J. Immunol. Methods 89: 271-277 (1986) 

  16. Cho HJ, Kim WK, Kim EJ, Jung KC, Park S, Lee HS, Tyner AL, Park JH. Conjugated linoleic acid inhibits cell proliferation and ErbB3 signaling in HT-29 human colon cell line. Am. J. Physiol. Gastrointest Liver Physiol. 284: G996-G1005 (2003) 

  17. Cho HJ, Seon MR, Lee YM, Kim J, Kim JK, Kim SG, Park JH. 3,3-Diindolylmethane suppresses the inflammatory response to lipopolysaccharide in murine macrophages. J. Nutr. 138: 17-23 (2008) 

  18. Laflamme N, Rivest S. Toll-like receptor 4: The missing link of the cerebral innate immune response triggered by circulating Gram-negative bacterial cell wall components. FASEB J. 15: 155-163 (2001) 

  19. Van Snick J. Interleukin-6: An overview. Annu. Rev. Immunol. 8: 253-278 (1990) 

  20. Delgado AV, McManus AT, Chambers JP. Production of tumor necrosis factor- $\alpha$ , interleukin 1- $\beta$ , interleukin 2, and interleukin 6 by rat leukocyte subpopulations after exposure to substance Proc. Neuropeptides 37: 355-361 (2003) 

  21. Maes M. The cytokine hypothesis of depression: Inflammation, oxidative & nitrosative stress (IO & NS) and leaky gut as new targets for adjunctive treatments in depression. Neuroendocrinol. Lett. 29: 287-291 (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