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대형 할인매장과 백화점에서 유통되고 있는 신선편의 샐러드류와 유기농 채소의 미생물학적 품질을 평가하고, 식중독 미생물 오염도를 분석하여 위생적인 신선편의 제품의 생산을 유도하고, 신선편의 샐러드류와 유기농 채소류의 미생물학적 위해평가의 기본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되었다. 경기도 지역의 대형 할인매장과 백화점에서 유통되고 있는 신선편의 샐러드류와 유기농 채소류를 구입하여 총균수과 대장균군, 장내세균, 대장균을 분석하여 미생물학적 품질을 평가하였으며, S. aureus, Salmonella spp., V. parahaemolyticus, L. monocytogenes, B. cereus 등의 식중독관련 미생물의 오염도를 분석하였다. 신선편의 샐러드 중 미생물학적으로 안전한 제품은 과일샐러드 제품으로 일반세균수, 장내세균수와 대장균군의 오염 수준이 낮았다. 하지만, 새싹채소는 일반세균수, 장내세균, 대장균군 등의 오염수준이 다른 신선편의 제품보다 높았으며, 분석 시료의 37.5%에서 B. cereus가 3 log CFU/g 이상 오염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모든 신선편의 제품에서 Salmonella spp., V. parahaemolyticus, L. monocytogenes 등의 병원성 미생물은 검출되지 않았으며, S. aureus는 2개의 샐러드 제품에서 검출되었으나, 오염 수준은 기준 이하였다. 유기농 채소류 중에서는 유기농 상추가 일반세균수, 장내세균, 대장균군의 오염도가 유기농 상추와 깻잎에 비하여 높았으며, 대장균과 S. aureus는 상추와 깻잎에서만 검출되었고, 풋고추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B. cereus는 분석된 모든 유기농 채소류에서 검출되었고, 오염도는 1.2-4.0 log CFU/g 수준이었다. 병원성 미생물인 L. monocytogenes, Salmonella spp., V. parahaemolyticus는 모든 시료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유기농 채소류는 구입 후 대부분 가정에서 간단한 세척 후 바로 섭취하는 것으로,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오염도는 낮았으나, 유기농 상추의 일반세균수가 5 log CFU/g 이상으로 충분한 세척으로 균수를 낮추지 않는다면 미생물학적으로 안전한 수준은 아니었다. 따라서 섭취적 충분한 세척으로 초기 오염도를 낮추고, 저온에서 보관하며, 가능한 빠른 섭취가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ssess the microbiological quality and potential health risk of fresh-cut produce and organic vegetables sampled from supermarkets and department stores in Korea. A total of 96 samples comprised three types of fresh-cut produce (sprouts, mixed-vegetables, fruit) and thre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통 중인 신선편의 샐러드 제품과 유기농 채소류를 대형할인매장과 백화점 등에서 구입하여, 미생물학적 품질을 평가하고, 식중독을 유발시킬 수 있는 주요 병원성 미생물의 정성 및 정량적 분석을 실시하여, 유통 단계에서의 오염 실태를 파악하여, 안전하고, 위생적인 신선편의 제품의 생산을 유도하고자 하였으며, 식중독 미생물에 대한 잠재적인 위험성을 평가하는 미생물 위해평가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대형 할인매장과 백화점에서 유통되고 있는 신선편의 샐러드류와 유기농 채소의 미생물학적 품질을 평가하고, 식중독 미생물 오염도를 분석하여 위생적인 신선편의 제품의 생산을 유도하고, 신선편의 샐러드류와 유기농 채소류의 미생물학적 위해평가의 기본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되었다. 경기도 지역의 대형 할인매장과 백화점에서 유통되고 있는 신선편의 샐러드류와 유기농 채소류를 구입하여 총균수과 대장균군, 장내세균, 대장균을 분석하여 미생물학적 품질을 평가하였으며, S.

가설 설정

  • 3)Mean values with different superscript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p>0.05.
  • 4)Mean values with different superscript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p>0.0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국의 신선편의용 농산물 시장 규모는? 최근 소비자들의 식생활 양식의 변화와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신선편의 샐러드류와 유기농 채소류의 소비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런 신선편의 샐러드류는 채소, 과일 등을 주 원료로 하여 다양한 형태로 판매되고 있다(1-3). 한국의 신선편의용 농산물 시장 규모는 5,510-6,830 억원으로 전체 농산물 시장의 3.3-3.9% 수준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점차 증가할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4). 또한 유기농 채소의 소비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어, 유기농 식품의 시장 규모가 매년 20% 이상의 증가율을 보이며 성장하고 있다(5).
소비자가 신선편의 제품을 안전하게 섭취할 수 있는 방법은? 유기농 채소류는 구입 후 대부분 가정에서 간단한 세척 후 바로 섭취하는 것으로,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오염도는 낮았으나, 유기농 상추의 일반세균수가 5 log CFU/g 이상으로 충분한 세척으로 균수를 낮추지 않는다면 미생물학적으로 안전한 수준은 아니었다. 따라서 섭취적 충분한 세척으로 초기 오염도를 낮추고, 저온에서 보관하며, 가능한 빠른 섭취가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
신선편의 샐러드 제품의 식중독 사례가 증가하고있는 이유는? 또한 유기농 채소의 소비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어, 유기농 식품의 시장 규모가 매년 20% 이상의 증가율을 보이며 성장하고 있다(5). 그러나 신선편의 샐러드 제품은 대부분 별도의 조리과정 없이 바로 섭취하기 때문에 원료에서 유래된 식중독균에 쉽게 노출될 수 있어, 한국을 비롯하여(6) 전 세계적으로도 과일 및 채소류에서 비롯된 식중독 사례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Garcia-Gimeno등(7)은 스페인에서 70종의 혼합 샐러드 중 21종에서 Listeria monocytogenes의 검출을 보고하였고, 미국, 일본 등지에서도 상추등 다양한 샐러드용 채소에서 Salmonella spp.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Abadias M, Usall J, Anguera M, Solsona C, Vinas I. Microbiological quality of fresh, minimally-processed fruit and vegetables, and sprouts from retail establishments. Int. J. Food Microbiol. 123: 121-129 (2008) 

  2. Choi JW, Park SY, Yeon JH, Lee MJ, Chung DH, Lee KH, Kim MG, Lee DH, Kim GS, Ha SD. Microbial contamination levels of fresh vegetables distributed in markets. J. Fd Hyg. Safety 20: 43-47 (2005) 

  3. Chia-Min L, Fernando SY, Cheng-I W. Occurrence of Listeria monocytogenes, Salmonella spp., Escherichia coli and E. coil O157:H7 in vegetable salads. Food Control 7: 13-140 (1996) 

  4. Lee YS, Kim S, Kim DH. Current status of fresh-cut market in Korea and stimulus measures.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Report 602: 16-19 (2009) 

  5. Kim DM, Hong SI. Current status and prospect of fresh-cut produce in Korea. Food Preserv. Proc. Ind. 4: 41-61 (2004) 

  6. Park HO, Kim CM, Woo GJ, Park SH, Lee DH, Chang EJ, Park KH. Monitoring and trend analysis of food poisoning outbreaks occurred in recent years in Korea. J. Fd Hyg. Safety 16: 280-294 (2001) 

  7. Garcia-Gimeno RM, Zurera-Cosano G, Amaro-Lopez M. Incidence, survival and growth of Listeria monocytogenes in readyto- use mixed vegetable salads in Spain. J. Food Safety 16: 75-86 (1996) 

  8. Beuchat LR, Harris LR, Linda J, Ward TE, Kajs TM. Development of a proposed standard method for assessing the efficacy of fresh produce sanitizer. J. Food Protect. 64: 1103-1109 (2001) 

  9. Harris LJ, Beuchat LR, Kajs TM, Ward TE, Taylor CJ. Efficacy and reproducibility of a produce wash in killing Salmonella on the surface of tomatoes assessed with a proposed standard method for produce sanitizers. J. Food Protect. 64: 1477-1482 (2001) 

  10. Itoh Y, Sugita-Konishi Y, Kasuage F, Iwaki M, HaraHudo Y, Saito N, Noguchi Y, Konuma H, Kumagai S. Enterohomorrhagic Esherichia coli O157:H7 present in radish sprouts. Appl. Environ. Microb. 64: 1352-1535 (1998) 

  11. Hedberg CW, Angulo FG, White KE, Langkop CW, Schell WL, Stobierski MG, Schuchat A, Besser JM, Dietrich S, Helsel L, Griffin PM, McFarland JW, Osterhorm MT. Outbreaks of Salmonellosis associated with eating uncooked tomatoes. Implications for Public Health. The Investigation Team. Epidemiol. Infect. 122: 385-393 (1999) 

  12. Seo JE, Lee JK, Oh SW, Koo MS, Kim YH, Kim YJ. Changes of microorganisms during fresh-cut cabbage processing: Focusing on the changes of air-borne microorganisms. J. Fd Hyg. Safety 22: 288-293 (2007) 

  13. Kim JS, Bang OK, Ghang HC. Examination of microbiological contamination of ready-to-eat vegetable salad. J. Fd Hyg. Safety 19: 60-65 (2004) 

  14. KFDA, Food Code. 10-3-1-43.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Seoul, Korea (2009) 

  15. Lammerding AL. An overview of microbial food safety risk assessment. J. Food Protect. 60: 1420-1425 (1997) 

  16. Won YJ, Yoon CY, Seo IW, Nam HS, Lee DM, Park DH, Lee HM, Kim SS, Lee KY. The study for the occurrence of food poisoning bacteria in organic vegetables. Annu. Rep. KFDA, Seoul, Korea 6: 521 (2002) 

  17. ISO. ISO 21528-2: 2004, Microbiology of food and animal feeding stuffs-Horizontal methods for detection and enumeration of Enterobacteriaceae.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2004) 

  18. Solberg M, Buchalew JJ, Chen CM, Schaffner DW, O'Neill K, McDowell J, Post LS, Boderck M. Microbial safety assurance system for foodservice facilities. Food Technol., 44: 68-72 (1990) 

  19. Health Protection Agency. Identification of Enterobacteriaceae. National Standard Method BSOPID 16, Issue 2. http://www.hpastandardmethod.org.uk/documents/bsopid/pdf/bsopid16.pdf Accessed Feb. 10, 2010. 

  20. European Union Regulation. Commission Regulation (EC) No 2073/2005 of 15 November 2005 on Microbiological criteria for foodstuffs. Off. J. Eur. Union L338, 22: 1-26 (2005) 

  21. Choi JW, Kim YJ, Lee JK, Kim YH, Kwon KS, Hwang IG, Oh SW. Multiple confirmation and RAPD-genotyping of Enterobacter sakazakii isolated from Sunsik.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101-105 (2008) 

  22. Jung DS, Shin DH, Jung DH, Kim CM, Lee IS. Food Hygienics. Jungmoonkak, Seoul, Korea. pp. 22-23 (2002) 

  23. Kim HJ, Hwang YI, Lee SC. Inhibitory effect of hydrogen peroxide on the growth of Escherichia coli. J. Basic Sci. 19: 113-117 (2004) 

  24. Seo KY, Lee MJ, Yeon JH, Kim IJ, Ha JH, Ha SD. Microbiological contamination levels of in salad and side dishes distributed in markets. J. Fd Hyg. Safety 21: 263-268 (2006) 

  25. Jung MS. Study on the risk management for risk reduction of Stapylococcus aureus in ready-to-eat foods. Annu. Rep. KFDA, Korea 11: 525-527 (2007) 

  26. Shim SB, Ham SN, Kwoun PS, Lee SO, Kim SH, Lee GW, Bang OK. Monitoring contamination of vegetables salad and study in reduction for food poisoning. Annu. Rep. KFDA, Seoul, Korea 7: 364-365 (2003) 

  27. Walls I, Scatt VN. Use of predictive microbiology in microbial food safety risk assessment. Int. J. Food Microbiol. 36: 97-102 (1997) 

  28. Wher MH. Listeria monocytogenes-A current dilemma. J. Assoc. Off. Anal. Chem. 70: 769 (1987) 

  29. Donnelly CW, Briggs EH. Psychrotropic growth and thermal inactivation of Listeria monocytogenes as a function of milk composition. J. Food Protect. 49: 994-998 (1986) 

  30. Koo M. Bacillus cereus-An ambusher of food safety. Bull. Food Technol. 22: 587-600 (2009) 

  31. EFSA. Opinion of the scientific panel on biological hazards on Bacillus cereus and other Bacillus spp. In foodstuffs. EFSA J. 175: 1-48 (2005) 

  32. Park SY, Choi JW, Yeon JH, Lee MJ, Lee DH, Kim KS, Park KH, Ha SD. Assessment of contamination levels of foodborne pathogens isolated in major RTE foods marketed in convenience stor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274-278 (2005) 

  33. Gilbert RJ, Humphrey TJ. Food-borne bacterial gastroenteritis. In: Hausler WJ, Sussman M (eds), Topley and Wilson's Microbiology and microbial infection 9th edn. Vol. 3. Bacterial Infection. pp. 539-565. Hodder Arnold Pub., London, UK (199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