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체간안정화 운동프로그램이 한센병력노인의 발바닥 감각상태에 따른 정적·동적 균형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runk-Stabilization Exercise Program on Static and Dynamic Balance of Elderly With History of Leprosy Patients According to Sole Sensory Conditions 원문보기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Physical Therapy Korea, v.18 no.1, 2011년, pp.18 - 27  

정순미 (대구대학교 대학원 재활과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ositive effects of specially designed trunk-stabilization exercise program on lower extremity balance of elderly with history of leprosy. In this participants, lower extremity functions has been undermined by the development of damage in peripheral nerves. A total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 한센병력 노인을 발바닥 감각을 정상감각군, 한발감각소실군, 양발감각소실군으로 군을 나누었고 체간안정화 운동프로그램에 참여하도록 하여 운동 실시 전·후의 정적· 동적균형능력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 한센병은 말초신경이 나균에 의해 침범을 받아 감각신경, 운동신경 및 자율신경이 구별 없이 손상되어 손상된 신경섬유의 종류와 정도에 따라 감각 마비, 운동마비 등이 발생하게 되며 이로 인해 손과 발에 손상과 기형이 발생되어 기능적인 일상생활이 어려워지는데 특히 발의 손상은 보행을 힘들게 하게 되거나 심하면 보행을 불가능하게 한다(한국한센복지협회, 2007).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장애로 인해 정상 적인 보행을 이끌어 낼 수 없는 장기간 동안 집단 거주 시설 내에서 생활해온 한센노인을 대상으로 최근 부상의 우려를 감소시키면서 하지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체간안정화운동을 실시하여 이 운동이 균형능력증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이 운동을 통해 잔존해 있는 모든 능력을 통합하여 신체적 회복과 더불어 정신적·사회적으로 만족한 생활을 하도록 돕고 지지하고자 하였다.
  • 또한 이 운동을 통해 잔존해 있는 모든 능력을 통합하여 신체적 회복과 더불어 정신적·사회적으로 만족한 생활을 하도록 돕고 지지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말초신경손상으로 인한 감각장애로 인해 하지균형에 문제를 가진 한센노인들을 대상으로 체간안정화운동을 실시하여 발의 소실 및 발바닥의 감각소실로 발생하는 비정상적인 상태와 연관시켜 정적동적균형능력에 변화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운동 프로그램을 12주 동안 실시하였고 정적·동적 균형능력의 변화에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 보행시 지면 반발력의 증가로 체중부하 관절에 골관절염의 연관성이 있으며 연골에 과도한 부하가 반복되어 비정상적인 보행형태로 슬관절의 통증과 퇴행을 유발한다고 하였다(Norvell 등, 2005; Robbins 등, 2001). 이로 인해 발생하는 비정상적인 균형과 보행의 문제를 체간을 안정시키는 운동을 통해 변화를 보고자 하였다. 체간의 중심(core)은 요추, 골반, 고관절복합체로서 우리 몸의 무게중심이 위치하는 곳이며 여기에서 모든 움직임이 시작되며 또한 기능적인 활동을 수행하는 동안 체위의 정렬과 동적인 체위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작용한다(엄기매 등, 2005).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발바닥의 감각이 소실된 경우엔 자세가 불안정하여 척추의 중립자세 조절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므로 감각의 유·무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여 보았다.
  • 지금까지 체간안정근 강화를 위한 운동에 대한 효과는 대부분 요통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들이었으나, 본 연구에서는 감각장애 및 노화로 인해 근력약화 및 낙상의 위험에 노출된 한센노인들을 대상으로 체간안정화운동이 하지의 균형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연구하고자 하였으며, 지금까지 한센노인의 기능향상을 위한 연구가 많이 미흡하며 최근 한센병의 연구방향인 신경 손상으로 인하여 형성된 감각장애를 극복하기 위한 운동이 절실히 필요한 것이 사실이다. 구봉오 등(2009)은 인체의 중요한 기능 중에서 촉각, 압각, 통각을 구별 할 수 있는 능력을 포함시키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센병이란 무엇인가? 한센병은 나균(mycobacteriumleprae)에 의한 만성 육아종성 감염 질환으로 피부 및 신경을 침범하고, 비가역적인 신경 손상과 감각이상으로 인해 변형과 장애를 일으켜 사회적 격리를 초래하는 질환이다(Wolff 등, 2008). 2010년 1월 1일을 기준으로 한국 한센복지협회에 13,734명의 나환자가 등록 관리되고 있으며, 치료가 필요한 환자 8,023명 가운데 활동성 환자가 312명, 마무리 치료를 받는 환자가 7,711명이다.
나균이 말초신경을 침범하면 어떤 결과가 나타나는가? 나균이 1차적으로 말초신경을 침범하면 운동신경, 감각신경, 교감신경까지 손상 받아 근력의 약화 및 근위축, 감각저하 및 소실 등이 상지와 하지의 말단부인 손과 발에 주로 발생하게 되는데, 이로 인한 운동신경마비로 갈퀴손, 수하수, 족하수 및 손과 발의 소실이 발생된다(이래환, 2008). 치료를 통해 한센병이 음성으로 전환되었다고 하더라도 사균이 피부나 타조직에 심한 신경손상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로 인한 장애를 유발시킬 수 있으므로 지속적인 치료와 더불어 약 7년~15년 정도의 추적관찰이 필요하다고 하며(김종필, 2007), 추적관찰이 끝났다 하더라도 경우에 따라 운동 장애 등으로 인한 지속적인 재활대책이 필요하다(대한나학회, 2004).
우리나라의 한센병 환자 현황은 어떠한가? 한센병은 나균(mycobacteriumleprae)에 의한 만성 육아종성 감염 질환으로 피부 및 신경을 침범하고, 비가역적인 신경 손상과 감각이상으로 인해 변형과 장애를 일으켜 사회적 격리를 초래하는 질환이다(Wolff 등, 2008). 2010년 1월 1일을 기준으로 한국 한센복지협회에 13,734명의 나환자가 등록 관리되고 있으며, 치료가 필요한 환자 8,023명 가운데 활동성 환자가 312명, 마무리 치료를 받는 환자가 7,711명이다. 지속적인 환자 관리와 치료 및 전염경로의 차단 사업을 통해 환자 수가 감소 추세에 있지만, 2009년 한 해 동안의 신환자는 30명으로 여전히 감염자는 발생하고 있다. 또한 피부, 상기도 점막, 눈, 뼈, 신경을 침범하며 근치적인 항나균 치료제가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환자의 약 3분의 1 가량에서는 영구적인 신경 손상을 초래한다(김보석 등,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7)

  1. 고대식, 김권영 이철갑 등. 8주간의 요부 안정화운동시 여성노인의 균형능력 및 복횡, 다열근 두께의 변화. 한국운동역학회지, 2009a;191(4):689-696. 

  2. 고대식, 이철갑, 김권영 등. 요부안정화 운동에 따른 산업체 만성요통환자의 운동능력의 변화. 한국사회체육학회지, 2009b;35(2):1021-1028. 

  3. 구봉오, 권미지, 김경태 등. 고유수용성 신경근 촉진법: 근거에 의한 진단과 중재. 서울, 대학서림, 2009. 

  4. 김보석, 박석돈, 김종필. 나병의 병형에 따른 혈관신생. 대한피부과학회지, 2010;48(4):278-282. 

  5. 김성호, 유병규, 이완희. 척추안정화운동이 요통환자의 요추부 심부근육의 근단면적, 요부근력, 주관적 통증지수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2010:40:527-536. 

  6. 김종필, 김연실. 한센병 족저궤양 예측요인 I. 대한나학회지, 2008:41(2):23-35. 

  7. 김종필. 한센사업대상자의 기대여명 및 잠재수명상실년수. 대한나학회지, 2007;40(2):25-49. 

  8. 김형수, 형인혁, 김은영. 체간안정화운동이 만성요통환자의 근력과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운동역학회지, 2008;18(4):115-124. 

  9. 대한나학회. 나병학. 한센복지협회, 2004. 

  10. 류명인, 소희영. 타이치 운동프로그램이 시실노인의 체력, 낙상관련 지각 및 건강상태에 미치는 효과. 대한간호학회지, 2008;38(4):620-628. 

  11. 박우영. 16주간의 운동이 노인의 균형감각 및 운동제어 기능에 미치는 효과. 한국스포츠리서치, 2004;15(6):1943-1954. 

  12. 박혜상, 윤범철. 에어스텝운동이 노인의 체간 및 하지근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2009;35:751-757. 

  13. 엄기매, 강순희, 김동대 등. 근 골격계 재활. 서울, 군자출판사, 2005. 

  14. 윤장순. 체간근 등속성 운동에 의한 편마비환자의 체간근력과 균형 및 보행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운동과학회지, 2009;18(4):566-576. 

  15. 이래환. 한센병에 의한 장애와 보조기와의 관계에 대한 고찰. 대한나학회지, 2008;41(2):37-54. 

  16. 이수연, 마상렬, 조교영. 매트와 필드운동이 노인의 균형과 보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2009;20(4):661-672. 

  17. 이승은. 노인의 요부 안정화 운동이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6. 

  18. 장윤희, 이완희. 편측대퇴절단자의 보행시 건측 하지 관절 모멘트 분석.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2008;15(2):64-72. 

  19. 정도영, 박경희, 이강성. 한센병환자의 족저궤양과 최대족저압력과의 관계.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2002;9(1):63-68. 

  20. 정성미. 한센 노인의 균형운동프로그램이 균형능력향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2010;17(1):26-35. 

  21. 정한신. 골반경사운동이 편마비 환자의 일어서기 시 체중지지율과 자세동요에 미치는 영향. 용인대학교 재활보건과학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2. 

  22. 정희원. 운동학총설. 서울, 목과토 출판사. 2002;691-736. 

  23. 한국한센복지협회. 한센병가이드. 한국한센복지협회, 2007. 

  24. 한국한센복지협회. 한센병 개요. 한국한센복지협회, 2000. 

  25. 형인혁, 이건철, 안왕훈. 2주간의 도수치료와 요부 안정화 운동이 만성 요통환자들의 요부관절가동범위와 통증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2009;37(2):957-965. 

  26. 형희경. 만성요통 여성노인에 대한 요부강화프로그램의 효과. 대한간호학회지, 2008;38(6):902-913. 

  27. 황병준, 김차용, 이대연. 상지의 탄력저항 운동이 낙상경험 노인의 보행과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2006;28:407-416. 

  28. Arokoski JP, Valta T, Airaksinen O et al. Back and abdominal muscle function during stabilization exercises. Arch Phys Med Rehabil. 2001;82:1089-1098. 

  29. Bohannnon RW, Leary KM. Standing balance and function over the course of acute rehabilitation. Arch Phy Med Rehabil. 1995;76(11):994-996. 

  30. Bohannon RW. Reference values for the timed up and go test: A descriptive meta analysics. J Geriatric Phys Ther. 2006;9(2):64-68. 

  31. Borg GA. Psycholophysical bases of perceived exertion. Med Sci Sports Exerc. 1982;14(5):377-381. 

  32. Brill PA, Probst JC, Greenbouse DL, et al. Clinical feasibility of a free-weight strength-training program for older adults. J Am Board Fam Pract. 1998;11(6):445-451. 

  33. Clary S, Barnes C, Bemben D, et al. Effects of ballates, step aerobics, and walking on balance in women aged 50-75 years. J Sports Sci Med. 2006;5:390-399. 

  34. Czerniecki JM. Rehabilitation in limb deficiency. Gait and motion analysis. Arch Phys Med Rehabil. 1996;77(3):3-8. 

  35. Feng Y, Schlosser FJ, Sumpio BE. The Semmes Weinstein monofilament examination as a screening tool for diabetic peripheral neuropathy. J Vas Surg. 2009;50(3):675-682. 

  36. Goldberg A, Hernandez ME, Alexander NB. Trunk repositioning errors are increased in balance impaired older adults. J Gerontol A Biol Sci Med Sci. 2005;60(10):1310-1314. 

  37. Hamalainen H, Kekoni J, Rantio J et al. Effect of unilateral sensory impairment of the sole of the foot on postural control in man: Implications for the role of man: Implications for the role of mechanoreception in postural control. Hum Mov Sci. 1992;11(5):549-561. 

  38. Jessup JV, Horne C, Vishen RK, et al. Effects of exercise on bone density, balance and self efficacy in older woman. Biol Res Nurs. 2003;4(3):171-180. 

  39. Maffiuletti NA, Cometti G, Amiredis IG, et al. The effects of electromyostimulation trainting and backetball practice on muscle strength and jumping ability. Int J Sports Med. 2000;21(6):437-443. 

  40. Marshall PW, Murphy BA. Core stability exercises on and off a swiss ball. Arch Phys Med Rehabil. 2005;86(2):242-249. 

  41. Nadler SE, Malaga GA, Bartoli LA, et al. Hip muscle imbalance and low back pain in athletes: Influence of core strengthening. Med Sci Sports Exerc. 2002;34(1):9-16. 

  42. Norvell DC, Czeniecki JM, Reiber GE, et al. The prevalence of knee pain and symptomatic knee osteoarthritis among veteran tratumatic amputees and nonamputees. Arch Phys Med Rehabil. 2005;86(3):487-493. 

  43. Prabhu KG, Agrawal D, Patil KM, et al. Parameters for analysis of walking foot pressures at different levels of diabetic neuropathy and detection of plantar ulcers at early stages. ITBM-RBM. 2001;22:159-169. 

  44. Robbins S, Waked E, Krouglicof N. Vertical impact increase in middle age may explain idiopathic weight-bearing joint osteoarthritis. Arch Phys Medl 2001;82(12):1673-1677. 

  45. Seroussi RE, Gitter A, Czerniecki JM et al. Mechnical work adpatations of above-knee amputee ambulation. Arch Phys Med Rehabil. 1996;77(11):1209-1214. 

  46. Stanley PB, Wayne CM, Jane ME. Exercise Physiology: Basis of human movement in health and disease. Baltimore,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7. 

  47. Wolff K, Goldsmith LA, Kalz SI, et al. Fitzpatrick's Dermatology in General Medicine. 7th ed. NewYork, McGraw-Hill, 2008:1786-179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