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개체수, 생체량, chlorophyll $a$의 상관성; 인천, 통영, 울산 해역을 중심으로
Correlations between Cell Abundance, Bio-volume and Chlorophyll $a$ Concentration of Phytoplankton Communities in Coastal Waters of Incheon, Tongyeong and Ulsan of Korea 원문보기

환경생물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29 no.4, 2011년, pp.312 - 320  

주형민 (상명대학교 생명과학과) ,  이진환 (상명대학교 생명과학과) ,  정승원 (한국해양연구원 해양시료도서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해양 식물플랑크톤의 개체수 및 생체량과 chlorophyll $a$ 농도간의 연관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2000년부터 2010년까지 인천, 통영, 울산 해역의 34개 정점에서 1160개 시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개체수와 chlorophyll $a$ 농도가 생체량과 chlorophyll $a$ 농도보다 높은 상관성을 보여 우리나라 연안해역에서는 1차 생산의 분석에 있어서 개체수 지표를 사용하는 것이 생체량을 사용하는 것보다 더 효율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좀 더 자세한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서는 시기별로 보다 많고, 정확한 생체량 데이터를 확보하고, 시기별 chlorophyll 함량 자료의 축적과 함께 국내 연안에서 적용 가능한 모델 구축이 반드시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estimate a better methodological factor to understand phytoplankton ecology between abundance and bio-volume of phytoplankton, each 1,160 phytoplankton data, including abundance, classification and chlorophyll $a$ concentration were collected in Korean coastal waters of Inche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식물플랑크톤 군집을 보다 정확하게 해석하기 위하여 국내 연안 중 서해의 인천, 남해의 통영, 동해의 울산 해역을 대상으로 식물플랑크톤 개체수, 생체량 및 chlorophyll a의 분석 결과를 상호 비교하여 각 해역에 맞는 적절한 분석방법을 찾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물플랑크톤은 생태계에서의 위치와 어떤 특징을 가지나? 식물플랑크톤은 1차 생산자로서 해역 및 계절 등 각기 다른 환경에 의해 군집구조의 차이를 보이며 세포 크기에 따라 다른 먹이연쇄구조를 가지고 있다(Malone 1980; Furuya and Marumo 1983). 일반적으로 연안 해역에서는 소형 이상의 크기(micro size)의 식물플랑크톤이 주로 나타나며(Kitchen et al. 1975; Malone 1980), 외해로 갈수록 미소(nano) 및 초미소(pico) 식물플랑크톤이 일차생산에 높은 기여를 하고 있다(Berman 1975; Glover 1985).
연안지역에서 외해로 갈수록 식물플랑크톤 군집을 이루는 플랑크톤 크기는 어떤 차이를 보이는가? 식물플랑크톤은 1차 생산자로서 해역 및 계절 등 각기 다른 환경에 의해 군집구조의 차이를 보이며 세포 크기에 따라 다른 먹이연쇄구조를 가지고 있다(Malone 1980; Furuya and Marumo 1983). 일반적으로 연안 해역에서는 소형 이상의 크기(micro size)의 식물플랑크톤이 주로 나타나며(Kitchen et al. 1975; Malone 1980), 외해로 갈수록 미소(nano) 및 초미소(pico) 식물플랑크톤이 일차생산에 높은 기여를 하고 있다(Berman 1975; Glover 1985).
식물플랑크톤 군집 변동의 표현을 위해 무엇을 사용하는가? 식물플랑크톤 군집 변동의 표현은 개체수(abundance), 생체량(bio-volume) 및 chlorophyll a를 사용하나, 개체수와 chlorophyll a 농도의 변동에 따라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변동을 해석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개체수 측정은 식물플랑크톤 종조성 및 생태계에 대한 종별 기여도를 설명하기에 용이한 점이 있으나 생태계 내에서 생산력을 설명하기에 부족하며, chlorophyll a는 정량화 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종 별, 개체군 별 생산력을 이해하기에 어렵다(Sun and Liu 200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유광일, 김진규. 1989. 식물플랑크톤의 크기분포에 따른 군집구조 해석. 한양대학교 환경과학논문집. 19:111-119. 

  2. Behrenfeld MJ, E Boss, DA Siegel and DM Shea. 2005. Carbonbased ocean productivity and phytoplankton physiology from space. Global Biogeochem. Glob. Biogeochem. Cycles 19. doi: 10.1029/2004GB002299. 

  3. Berman T. 1975. Size fractionation of natural aquatic populations associated with autotrophic and heterotrophic carbon uptake. Mar. Biol. 33:215-220. 

  4. Chang FH, J Zeldis, M Gall and J Hall. 2003. Seasonal and spatial variation of phytoplankton assemblages, biomass and cell size from spring to summer across the north-eastern New Zealand continental shelf. J. Plankton Res. 25:737-758. 

  5. Fiala M, EE Kopczynska, C Jeandel, L Oriol and G Vetion. 1998. Seasonal and inter-annual variability of size-fractionated phytoplankton biomass and community structure at station Kerfix, off the Kerguelen Islands, Antarctica. J. Plankton Res. 20:1341-1356. 

  6. Furnas MJ. 1983. Nitrogen dynamics in lower Narragansett Bay, Rhode Island. I. Uptake by size-fractionated phytoplankton populations. J. Plankton Res. 5:657-676. 

  7. Furuya K and R Marumo. 1983. The structure of the phytoplankton community in the subsurface chlorophyll maxima in the western North Pacific Ocean. J. Plankton Res. 5:393-406. 

  8. Glover HE. 1985. The physiology and ecology of the marine cyanobacterial genus Synechococcus. Adv. Aquat. Microbiol. 3:49-107. 

  9. Humphrey GF and SW Jeffrey. 1997. Tests of accuracy of spectrophotometric equations for the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chlorophyll a, b, c1 and c2. pp. 616-621. In Phytoplankton pigments in oceanography: guidelines to modern methods, Monographs on oceanographic methodology (Jeffrey SW, RFC Mantoura and SW Wright eds.). UNESCO publishing. Paris. 

  10. Jimenez F, J Rodriguez, B Bautista and V Rodriguez. 1987. Relations between chlorophyll, phytoplankton cell abundance and biovolume during a winter bloom in Mediterranean coastal waters. J. Exp. Mar. Biol. Ecol. 105:161-173. 

  11. Jin H, S Egashira and KW Chau. 1998. Carbon to chlorophylla ratio in modeling long-term eutrophication phenomena. Water Sci. Technol. 38:227-235. 

  12. Jung SW, HM Joo, JS Park and JH Lee. 2009. Development of a rapid and effective method for preparing delicate dinoflagellates for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J. Appl. Phycol. 22:313-317. 

  13. Kitchen JC, D Menzies, H Pak and JRV Zaneveld. 1975. Particle size distributions in a region of coastal upwelling analyzed by characteristic vectors. Limnol. Oceanogr. 20:775-783. 

  14. Li WKW, DV Subba Rao, WG Harrison, JC Smith, JJ Cullen, B Irwin and T Platt. 1983. Autotrophic picoplankton in the tropical Ocean. Science 219:292-295. 

  15. Mague TH, FC Mague and O Holm-Hansen. 1977. Physiology and chemical composition of nitrogen-fixing phytoplankton in the central North Pacific Ocean. Mar. Biol. 41:213-227. 

  16. Malone TC. 1980. Algal size and phytoplankton ecology. pp. 433-463. In The physiological ecology of phytoplankton (Morris I ed.).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Berkeley. 

  17. Menden-Deuer S and EJ Lessard. 2000. Carbon to volume relationships for dinoflagellates, diatoms, and other protist plankton. Limnol. Oceanogr. 45:569-579. 

  18. Mullin MM, PR Sloan and RW Eppley. 1966. Relationship between carbon content, cell volume, and area in phytoplankton. Limnol. Oceanogr. 11:307-311. 

  19. Parsons TR. 1969. The use of particle size spectra in determining the structure of a plankton community. J. Oceanogr. Soc. Jap. 25:172-181. 

  20. Sun J and D Liu. 2003. Geometric models for calculating cell biovolume and surface area for phytoplankton. J. Plankton Res. 25:1331-1346. 

  21. UNESCO. 1966. Determination of photosynthetic pigments. Report of SCOR/UNESCO working group 17. pp. 10-18. In Determinations of photosynthetic pigments in seawater. UNESCO Monographs on Oceanographic Methodology. Pari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