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산균 발효에 의한 인삼열매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노화 효과
Antioxidant and Antiaging Effect of Ginseng Berry Extract Fermented by Lactic Acid Bacteria 원문보기

大韓化粧品學會誌 =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v.37 no.1, 2011년, pp.75 - 81  

전지민 ((주)에이씨티 기술연구소) ,  최성규 ((주)에이씨티 기술연구소) ,  김윤정 ((주)에이씨티 기술연구소) ,  장수진 ((주)에이씨티 기술연구소) ,  천종우 ((주)에이씨티 기술연구소) ,  이현상 ((주)에이씨티 기술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유산균 발효에 의한 인삼열매 추출물의 여러 가지 생리활성을 평가하였다.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인삼열매 추출물과 유산균 발효 인삼열매 추출물의 ginsenoside Re, Rc 및 Rb1의 함량분석 결과 유산균 발효에 의해 ginsenoside Re, Rc 및 Rb1의 함량이 모두 증가하였다. 인삼열매 추출물과 유산균 발효 인삼열매 추출물의 DPPH free radical 소거활성과 SOD 유사활성 측정결과 1.00 %의 농도에서 유산균 발효 인삼열매 추출물은 각각 86.34, 76.82 %의 DPPH free radical 소거활성과 SOD 유사활성을 나타내었고, 인삼열매 추출물은 각각 49.78, 40.80 %의 DPPH free radical 소거활성과 SOD 유사활성을 나타내어 유산균 발효에 의해 항산화 활성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유산균 발효 인삼열매 추출물 0.50 %의 농도로 처리한 피부 섬유아세포에서 procollagen type I (COL1A1)은 828.13 % 증가하였으며, matrix metalloproteinase (MMP)-1은 87.88 %, tumor necrosis factor (TNF)-${\alpha}$는 99.92 %감소하는 효과를 보여주었다. 이처럼 항산화, 주름, 항염에 효능을 보이는 유산균 발효에 의한 인삼열매 추출물은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 개발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ffect of lactic acid bacteria.fermented ginseng berry extract (FGBE) on physiological activities was evaluated. The contents of ginsenosides Re, Rc, and Rb1 in ginseng berry extract (GBE) were increased after fermentation by lactic acid bacteria when analyzed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산균 발효에 의한 인삼열매 추출물의 생리활성 성분 변화 및 효능을 확인하였다. 유산균 발효 전 · 후의 인삼열매 추출물이 함유한 사포닌 함량 변화 및 항산화 활성과 콜라겐 합성에 관여하는 procollagen type I (COL1A1)의 발현 및 피부 구성 단백질을 분해하는 matrix metalloproteinase-1 (MMP)-1과 피부 염증을 유발하는 tumor necrosis factor (TNF)-α 의 저해효과를 평가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TNF-α는 무엇인가? TNF-α는 가장 많이 연구된 대표적인 염증 유발 cytokine 중 하나로 TNF-α가 과 발현되면 피부 염증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0]. 따라서 TNF-α 유전자 발현 확인을 통해 인삼열매 추출물과 유산균 발효 인삼열매 추출물의 염증에 관한 효능을 평가하였다.
인삼이 함유하는 성분으로 어떤 것들이 알려져 있는가? 예로부터 인삼은 대표적인 생약제로 사용되어 왔으며, 사포닌, 폴리페놀, 폴리아세틸렌, 알카로이드, 다당체 등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 그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약리성분인 사포닌은 항암, 면역증강, 혈압강하, 혈당강하, 항염증 및 항산화 효과 등 매우 다양한 효능을 가지는 것으로 밝혀졌다[2-7].
인삼의 대표적인 약리성분인 사포닌은 어떤 효능을 지니고 있는가? 예로부터 인삼은 대표적인 생약제로 사용되어 왔으며, 사포닌, 폴리페놀, 폴리아세틸렌, 알카로이드, 다당체 등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 그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약리성분인 사포닌은 항암, 면역증강, 혈압강하, 혈당강하, 항염증 및 항산화 효과 등 매우 다양한 효능을 가지는 것으로 밝혀졌다[2-7]. 배당체 화합물들은 식물유래 의약품 중 terpenoid 다음으로 많이 사용되는 천연물질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A. S. Attle, J. A. Wu, and C. S. Yuan, Ginseng pharmacology, multiple constituents and multiple actions, Biochem. Pharmacol, 58, 1685 (1999). 

  2. H. K. Jeon, S. G. Kim, and N. P. Jung, Effect of ginseng saponin fraction and cyclophosphamide on the tumoricidal activity of mouse macrophage and the antitumor effect, Kor. J. Ginseng Sci., 15, 99 (1991). 

  3. M. J. Kim and N. P. Jung, The effect of ginseng saponin on the mouse immune system, Kor. J. Ginseng Sci,, 11, 130 (1987). 

  4. S. Y. Kang and N. D. Kim, The antihypertensive effect of red ginseng saponin and the endothelium- derived vascular relaxation, Kor. J. Ginseng Sci,, 16, 175 (1992). 

  5. C. N. Joo and J. H. Kim, Study on the hypoglycemic action of ginseng saponin on steptozotocin induced diavetic rats, Kor. J. Ginseng Sci., 16, 190 (1992). 

  6. A. C. Olivera, A. C. Perez, G. Merino, J. G. Prietp, and A. I. Alvarez, Protective effects of Panax Ginseng on muscle injury and inflammation after eccentric exercise, Comp. Biochem. Physiol. C, Pharmacol. Toxicol. Endocrinol., 130, 369 (2001). 

  7. K. H. Kim, Y. S. Lee, I. S. Jung, S. Y. Park, H. Y. Chung, I. R. Lee, and Y. S. Yun, Acidic polysaccharide from Panax ginseng, ginsan, induces Th1 cell and macrophage cytokines and generates LAK cells in synerge with r II-2, Plata. Med., 64, 110 (1998). 

  8. T. Akao, Metabolic activation of crude drug components by intestinal bacterial enzymes, Med. Pharm. Soc., 9, 1 (1992). 

  9. S. R. Volate, D. M. Davenport, S. J. Muga, and M. J. Wargovich, Modulation of aberrant crypt foci and apoptosis by dietary herbal supplements (quercetin, curcumin, silymarin, ginseng and rutin), Carcinogenesis, 26, 1450 (2005). 

  10. A. S. Attele, J. A. Wu, and C. S. Yuan, Ginseng pharmacology : Multiple constituents and multiple actions, Biochem. Pharmacol., 58, 1685 (1999). 

  11. S. H. Kim and K. S. Park, Effects of panax ginseng extract on lipid metabolism on humans, Pharmacol. Res., 48, 511 (2003). 

  12. C. Z. Wang, J. A. Wu, E. Mcentee, and C. S. Yuan, Saponins composition in American ginseng leaf and berry assayed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J. Agric. Food Chem., 54, 2261 (2006). 

  13. A. S. Attele, Y. P. Zhou, J. T. Xie, J. A. Wu, L. Zhang, L. Dey, W. Pugh, P. A. Rue, K. S. Polonsky, and C. S. Yuan, Antidiabetic effects of Panax ginseng berry extract and the identification of effective component, Diabetes, 51, 1851 (2002). 

  14. M. H. Yeom, J. Y. Lee, J. S. Kim, and C. W. Park, The anti-aging effects of Korea ginseng berry in the skin, Kor. J. Pharmacogn., 41, 26 (2010). 

  15. K. N. Rajan and A. D. Rajendan, Effect of fermentarion parameters on extra celluar tannase production by Lactobacillus plantarum MTCC 1407, E. J. Chemistry, 6, 979 (2009). 

  16. Y. S. Park and H. G. Jang, Evaluation of physiological activity and lactic acid fermenation of Rubus coreanus Miq., J. Koer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6, 367 (2003). 

  17. M. S. Blois,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 1000 (2004). 

  18. Y. K. Kim, D. S. Yoo, H. Xu, N. I. Park, H. H. Kim, J. E. Choi, and S. U. Park, Ginsenoside constent of berries and roots of three typical Korean ginseng (Panax ginseng) cultivars, Nat. Prod. Commun., 4, 903 (2009). 

  19. E. S. Yang, R. H. Hong, and S. M. Kang, The effect of Genistein on the proliferation and Type I pN collagen synthesis in aged normal human fibroblasts, Kor. J. Micobiol. Biotechnol., 4, 316 (2007). 

  20. K. C. Kim and C. H. Lee, The effect of betulinic acid on TNF- $\alpha$ -induced MCR-1 expression in HL-60 cells, Yakhakhoe Chi., 1, 37 (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