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재와 일반 남아의 자존감 비교 및 영재 남아의 자존감 유형별 신체증상 및 공격성 분석
Comparison of Self-Esteem in the Gifted & Ordinary Boys and Analyses of Psychosomatic Symptoms and Aggression according to Self-Esteem Patterns in the Gifted 원문보기

英才敎育硏究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v.21 no.1, 2011년, pp.83 - 105  

박혜원 (울산대학교) ,  하정연 (울산대학교) ,  문지혜 (경남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영재 남아 132명(초등학생 23명, 중학생 109명)과 일반 남아 282명(초등학생 29명, 중학생 253명)을 대상으로 명시적 자존감과 암묵적 자존감에서의 차이를 살펴보고, 영재 남아의 자존감 유형에 따라 신체증상과 공격성에서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명시적 자존감의 경우 영재 아동이 일반 아동에 비해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나, 운동 능력을 제외한 학업능력, 사회적 수용, 외모, 품행, 전반적 자기가치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암묵적 자존감에서는 영재 아동과 일반 아동 간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영재 남아의 두 자존감의 수준에 따라 4개의 집단으로 나누어 문제행동을 살펴본 결과, 두 자존감 수준이 일치할 때보다 불일치할 때 신체증상과 공격성이 더 높았다. 아동기부터 두 자존감이 일치하는 것이 중요함을 확인하였고 영재 아동을 위해 자존감일치를 중재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후속연구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xplicit & implicit self-esteems were measured with 132(23 elementary & 109 middle school students) gifted & 282(29 elementary & 253 middle school students) ordinary students. Additional measures on psychosomatic symptoms & aggression were obtained with gifted students. Gifted boys reported higher E...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높은 자존감을 지니는 아동은 어떤 특징이 있는가? 자존감의 수준에 따 라서 아동들의 사회정서적 특성과 적응이 다르게 나타나는데 높은 자존감을 지니는 아동은 긍정적인 특성을 나타내고 낮은 자존감을 지니는 아동들은 부정적인 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높은 자존감을 지니는 아동은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고 높은 성취를 보이며, 자기확신, 잠재적인 지도력, 사회적 기술이 능숙하다고 하였다(Rosenberg, 1965). 반면 낮은 자존감을 지닌 아동은 불안한 정서를 지니고 있으며 실패를 두려워하고 낮은 성취를 보인다.
암묵적 자존감은 어떤 것보다 더 기본적이면서 더 일찍 형성되는가? 특히 암묵적 자존감은 명시적 자존감보다 더 기본적이면서 더 일찍 형성된다(Hetts & Pelham, 2001). 세상에 태어나는 순간부터 우리는 우리자신을 대하는 사람의 태도에서 감 정을 느끼도록 되어 있어 이 순간부터 우리자신에 대한 암묵적 태도가 형성되는 것이다.
다양한 영역의 영재를 발굴하고 이들을 위한 교육기관의 확립 및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이 활발하게 된 배경은 무엇인가? 국가적으로 인적 자원의 개발에 높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어 2000년에 영재교육을 국가 가 적극 지원하기 위해 영재교육법을 재정하였고 2007년에는 그 개정을 통해 영재교육대 상의 확대에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교육부, 2000; 교육인적자원부, 2008). 따라서 다양한 영역의 영재를 발굴하고 이들을 위한 교육기관의 확립 및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이 활발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0)

  1. 강명희 (2000). 문제행동에 대한 부모, 아동, 교사 평가간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2. 교육인적자원부 (2000). 영재교육진흥법. 서울: 교육부. 

  3. 교육인적자원부 (2008). 영재교육진흥법(개정).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4. 김혜숙 (2001). 청소년기 영재가 지각한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청소년기 영재의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5. 문지혜 (2009). 암묵적 자존감에 대한 정서적 글쓰기의 효과. 박사학위논문. 경북대학교. 

  6. 박민정 (2002). 청소년의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학적 변인. 박사학위논문. 경북대학교. 

  7. 박승진 (2008). 성취 지향적.관계 지향적 우울성향자의 암묵적.명시적 자존감.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8. 안도희, 한기순, 김명숙 (2009).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 프로그램 참여 경험이 과학영재의 과학문제발견력과 정의적, 인지적 특성에 미치는 중장기적 효과. 한국영재학회, 19(2), 179-302. 

  9. 오경자, 홍강의, 이혜련(1997). K-CBCL. 아동청소년 행동평가척도. 서울: 앙적성연구소 

  10. 윤여홍 (1998). 영재아 판별에서 한국판 영재아 행동특성 체크리스트의 유용성에 관한 연구. 영재교육연구, 8(2), 1-30. 

  11. 전경원 (2000). 영재교육학. 서울: 학문사. 

  12. 정수자 (1997). 기관영재, 일반영재, 평재집단 간의 성격차이 비교분석. 성결대학교 논문집, 4(1), 12-24. 

  13. Ablard, K. E. (1997). Self-perceptions and needs as a function of type of academic ability and gender. Roeper Review, 20(2), 110-115. 

  14. Altman, R. (1983). Social-emotional development of gifted children and adolescents: A research model. Roeper Review, 6(2), 65-68. 

  15. Baumeister, R. F., Smart, L., & Boden, J. M. (1996). Relation of threatened egotism to violence and aggression: The dark side of high self-esteem. Psychological Review, 103, 5-33. 

  16. Blaine, B., & Crocker, J. (1993). Self-esteem and self-serving biases in reactions to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An integrative review. In R. F. Baumeister (Ed.), Self-esteem: The puzzle of low self-regard (pp. 55-85). Hillsdale, NJ: Erlbaum. 

  17. Bosson, J. K., Brown, R. P., Zeigler-Hill, V., & Swann, W. B. (2003). Self-enhancement tendencies among people with high explicit self-esteem: The moderating role of implicit self-esteem. Self and Identity, 2, 169-187. 

  18. Bushman, B. J., & Baumeister, R. F. (1998). Threatened egotism, narcissism, self-esteem, and direct and displaced aggression: Dose self-love or self-hate led to violenc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5, 219-229. 

  19. Buss, A. H., & Perry, M. (1992). The aggression questionnair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2, 452-460. 

  20. Chan, D. (2001). Learning styles of gifted and nongifted secondary students in Hong Kong. Gifted Child Quarterly, 45(1), 35-44. 

  21. Cornell, D. G. (1983). Gifted children: the impact of positive labelling on the family system. American Journal of Orthopsychiatry, 53, 322-335. 

  22. Dauber, S. L., & Benbow, C. P. (1990). Aspects of personality and peer relations of extremely talented adolescents. Gifted Child Quarterly, 34, 10-15. 

  23. Dodge, K. A., & Coie, J. D. (1987). Social-information processing factors in reactive and proactive aggression in children's peer group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3, 1146-1158. 

  24. Epstein, S., & Morling, B. (1995). Is the self motivation to do more than enhance and/or verify itself? In M. H. Kernis (Ed.), Efficacy, agency, and self-esteem (pp.9-29). New York: Plenum. 

  25. Ehrlich, V. Z. (1982). Gifted children: A guide for parents and teachers.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26. Forsyth, P. (1987). A study of self-concept, anxiety, and security of children in gifted: French immersion, and regular classes. Canadian Journal of Counseling, 21, 153-156. 

  27. Frank, E., De Racdt, R., & De Houwer, J. (2007). Implicit but not explicit self-esteem predicts future depressive symptomatology.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45, 2448-2455. 

  28. Greenwald, A. G., & Banaji, D. E. (1995). Implicit social cognition: Attitudes, self-esteem, and stereotypes. Psychological Review, 102, 4-27. 

  29. Hart, C. H., Nelson, D. A., Robinson, C. C., Olsen. S. F., McNeilly-Choque, M. K., Porter, C. L., & McKee, T. R. (2000). Russian parenting styles and family processes: Linkages with subtypes of victimization and aggression. In K. A. Kerns, J. M. Contretras, & A. M. Neal-Barnett (Eds.), Family and peers: Linking two social worlds. Westport: Praeger. 

  30. Harter, S. (1982). Developmental perspectives on self-esteem. In P. H. Mussen (Ed.),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vol. 4, pp. 275-385). New York: John Wiley & Sons. 

  31. Harter, S. (1985). Manual for the self-perception profile for children, University of Denver. 

  32. Hetts, J. J., & Pelham, B. W. (2001). A case of non-conscious aspects of the self-concept. In G. Mossowitz (Ed.), Cognitive social psychology: The princeton symposium on the legacy and future of social cognition (pp. 105-123). Mahwah, NJ: Erlbaum. 

  33. Jordan. G. H., Spencer, S. J., Zanna, M. P., Hoshino-Browne, E., & Correll, J. (2003). Secure and defensive self esteem.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5, 969-978. 

  34. Kaplan, H. B. (1982). Self-attitudes and deviant behavior: new directions for theory and research. Youth and Society, 14(2), 185-211. 

  35. Kelly, K. R., & Colangelo, N. (1984). Academic and social self-concepts of gifted, general, and special students. Exceptional Children, 50, 551-554. 

  36. Kernis, M. H. (2003). Toward a conceptualization of optimal self-esteem. Psychological Inquiry, 14, 1-26. 

  37. Kernis, M. H., Greenier, K. D., Herlocker, C. E., Whisenhunt, C. R., & Abend, T. A. (1997). Self-perceptions of reactions to doing well or poorly: The roles of stability and level of self-esteem.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22, 845-854. 

  38. Kernis, M. H., Granneman, B. D., & Barcely, L. C. (1989). Stability and level of self-esteem as predictors of anger arousal and hostilit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6, 1013-1023. 

  39. Khoury, T. J., & Appel, M. A. (1977). Gifted children: Current trends and issues.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6, 49-55. 

  40. Kitayama, S., & Karasawa, M. (1997). Implicit self-esteem in Japan: Name letters and birthday numbers.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ical Bulletin, 23, 736-742. 

  41. Knepper, W., Obrzut, J. E., & Copeland, E. P. (1983). Emotional and social problem solving thinking in gifted and average elementary school children. Journal of Genetic Psychology, 142, 25-30. 

  42. Lahey, B. B., Goodman, S. H., Schwab-Stone, M., Waldman, I. D., & Bird, H. (2000). Age and gender differences in oppositional behavior and conduct problem: A cross-sectional household study of middle childhood and adolescent.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09, 488-503. 

  43. Lea-Wood, S. S., & Clunies-Ross, G. (1995). Self-esteem of gifted adolescent girls in Australian schools. Roeper Review, 17(3), 195-97. 

  44. Ludwig, G., & Cullinan, D. (1984). Behavior problems of gifted and nongifted elementary school girls and boys. Gifted Child Quarterly, 28(1), 37-40. 

  45. McCoach, D. B., & Siegle, D. (2003).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academic self-concept in gifted and general education students. Roeper Review, 25(2), 61-67. 

  46. Nuttin, M. J. (1985). Narcissism beyond Gestalt and awareness: The name letter effect. European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15, 353-361. 

  47. Pelham, D. L., & Hetts, J. J. (1999). Implicit and explicit personal and social identity: Toward a more complete understanding of social self. In T. Taylor, & R. Kramer (Eds.), The psychology of the social self (pp. 115-143). Mahwah, NJ: Erlbaum. 

  48. Rigby, K., & Slee, P. T. (1994). Peer victimization at school. Australi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19(1), 3-10. 

  49. Robinson, N. (2008). The social world of gifted children & youth. In S. I. Pfeiffer (Ed.), Handbook of Giftedness in Children (pp 33-52). New York: Springer. 

  50. Roedell, W. C. (1984). Vulnerabilities highly gifted children. Roeper Review, 6, 127-130. 

  51. Rosenberg, M. (1965). Society and adolescent self-images.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52. Salmivali, C. (2001). Feeling good about oneself, being bad to others? Remarks on self-esteem, hostility, and aggressive behavior. Aggressive and Violent Behavior, 6, 375-393. 

  53. Schroder-Abe, M., Rudolph, A., & Schutz, A., (2007). High implicit self-esteem is not necessarily advantageous: Discrepancies between explicit and implicit self esteem and their relationship with anger expression and psychological health. European Journal of Personality, 21, 319-339. 

  54. Spalding, L. R., & Hardin, C. D. (1999). Unconscious unease and self-handicapping: Behavioral consequences of individual differences in implicit and explicit self-esteem. Psychological Science, 10, 535-539. 

  55. Terman, L. M. (1925). Mental and physical traits of gifted children. Genetic studies of genius, Vol. 1. Stanford, CA: Stanford University Press. 

  56. Terman, L. M., & Oden, M. H. (1947). The gifted child grows up: Twenty five years' follow-up a superior group. Genetic studies of genius: Vol. 4. Stanford, CA: Stanford University Press. 

  57. Webb, J. T. (1993). Nurturing social-emotional development of gifted children. In K. A. Heller, F. J. Monks, & A. H. Passow (Eds.), International Handbook for Research on Giftedness and Talent (pp. 525-538). Oxford: Pergamon Press. 

  58. Whitemore, J. R. (1980). Giftedness, conflict and underachievement. Boston: Allan & Bacom. 

  59. Zajonc, R. B. (1980). Feeling and thinking: Preference need no interferences. American Psychologist, 35, 171-175. 

  60. Zeigler-Hill, V. (2006). Discrepancies between implicit and explicit self-esteem: Implications for narcissism and self-esteem instability. Journal of Personality, 74, 119-14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