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문대 공학계열생에 있어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교의 지원의 학습성과 - 만족도, 성취도 및 학습지속의향 - 에 관한 연구
The Predicts of Academic Self-Efficacy, School Support on Learning Outcome - Satisfaction, Achievement and Persistence - in College 원문보기

공학교육연구 =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v.14 no.1, 2011년, pp.32 - 39  

주영주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공학과) ,  이광희 (수원과학대학교 아동보육과) ,  정애경 (동서울대학 멀티미디어학과) ,  이영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전문대학 공학계열생의 만족도, 성취도 및 학습 지속의향에 대한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교의 지원의 예측력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 소재 D대 학의 2010학년도 1학기 공학계열생을 대상으로 두 차례에 걸쳐 설문을 실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중다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교의 지원은 만족도를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교의 지원은 학습지속의향을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그러나 이들과 성취도와의 관계에서는 학업적 자기효능감만 유의한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전문대학에서 만족도, 성취도, 학습지속의향을 향상시키기 위해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교의 지원의 중요성을 실감하고 학습자에 게 학업을 지속할 수 있는 구체적 실천방안을 마련할 것을 제안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e this study is to examine prediction of academic self-efficacy and school support on satisfaction, achievement and persistence in college. To meet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D college was chosen and, two surveys were conducted among the engineering students enrolled in the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전문대학생들의 대학에 대한 만족도, 성취도와 학습지속의향을 높이기 위해 이들의 예측 변인을 연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개인특성변인으로 정했다.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전문대학생에 있어 학업적 자기 효능감, 학교의 지원의 만족도, 성취도 및 학습지속의향에 대한 예측력을 연구하는데 있다. 이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전문대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교의 지원이 만족도, 성취도 및 학습지속의향을 예측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경기도 소재 D대학 2010년도 1학기에 진행된 컴퓨터개론 과목을 수강한 D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2차에 걸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알아보기 위한 설문은 1차에, 학교의 지원 및 성취도, 만족도와 학습지속의향에 대한 설문은 학기가 끝나기 2주전에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전문대학 공업계열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교의 지원이 만족도, 성취도 및 학습지속의향을 예측하는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학교의 지원과 성취도와의 예측을 제외하고는 모두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
  • 본 연구는 전문대학 공학계열생의 만족도, 성취도 및 학습 지속의향에 대한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교의 지원의 예측력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 소재 D대학의 2010학년도 1학기 공학계열생을 대상으로 두 차례에 걸쳐 설문을 실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중다회귀분석을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전문대학 공학계열생의 만족도, 성취도 및 학습지속의향에 대한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교의 지원의 예측 여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경기도 소재 D대학 공학계열생 D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가설 설정

  • [연구가설 1.] 전문대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교의 지원은 만족도를 예측할 것이다.
  • [연구가설 2.] 전문대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교의 지원은 성취도를 예측할 것이다.
  • [연구가설 3.] 전문대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교의 지원은 학습지속의향을 예측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Schunk와 Zimmerman(1994)은 학습지속의향을 어떻게 정의하였는가? 학습지속의향은 학자들에 따라 다소 다르게 사용되고 있는데, Schunk와 Zimmerman(1994)은 학습지속의향은 자기조절 학습이 가능한 학습자가 주어진 과제에 지속적으로 참여하고, 문제 해결을 위해서 꾸준히 전략을 세워 학습해 나가는 것이라고 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학습지속의향을 학생들이 한 과정을 다 마치고 그 다음 학기에 등록하거나, 학교를 졸업하는 것으로 조작적 정의를 내렸다.
학업적 자기효능감이란? 본 연구에서는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개인특성변인으로 정했다. 학업적 자기효능감이란 학생들이 지정된 수준에서 주어진 학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개인적인 확신이다(Schunk, 1991). 또 Bong과 Skaalvik(2003)은 학습자의 참여, 목표 설정, 노력 수준, 과제 선택, 만족도, 성취도 및 지속의향 등의 성과 변인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변인이므로 효과적인 학습을 위해서는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킬 전략을 사용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Packham, Jones, Miller와 Thomas(2004)은 31세에서 50세 사이의 사이버대학 여학생을 대상으로 학교의 지원과 학습지속의향에 대해 연구하였는데, 이 연구에서 학업을 중단하게하는 주요인으로 무엇을 꼽았는가? Packham, Jones, Miller와 Thomas(2004)은 31세에서 50세 사이의 사이버대학 여학생을 대상으로 학교의 지원과 학습지속의향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에 따르면, 사이버 대학의 기술적인 지원, 회사 업무로 인한 시간 부족과 압박감이 학업을 중단하게하는 주요인이라고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교육과학기술부(2008). 주요교육통계. Retrieve 

  2. from http://www.mest.go.kr/me_kor/inform/science/science/ general/index.html. 

  3.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2005). 전문대학 교육 전반에 관한 학생만족도 조사 연구. 서울: 한국 전문대학교육협의회. 

  4.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2007). 2008년 이후 전문대 학 입학모형 개발. 서울: 한국 전문대 학교육협의회. 

  5. 김나영(2009). 사이버교육에서 학습동기, 프로그 램, 조직의 지원과 상호작용, 몰입 및 학습성 과의 구조적 관계 규명, 박사학위논문, 이화 여자대학교 대학원. 

  6. 박혜정, 최명숙(2008). 대학 교육에서 e-러닝 학습 효과와 관련된 변인들의 관계 분석. 교육공학 연구, 24(1): 27-53. 

  7. Bandura, A.(1986).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8. Bandura, A. (1997).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NY: Freeman. 

  9. Blackburn, J. J., & Robinson, J. S. (2008). Assessing teacher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of early career agriculture teachers in Kentucky. Journal of Agricultural Education, 49(3): 1-11. 

  10. Bong, M., & Skaalvik. E. M.(2003). Academic Self-Concept and Self-Efficacy: How Different Are They Really?. Educational Psychology Review, 15. 

  11. Curran, P. J., West. S. G., & Finch. J. F(1996). The Robustness of Test Statistics to Nonnormality and Specification Error i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Psychological Methods, 1(1): 16-29. 

  12. DeWitz, S., & Walsh. W(2002). Self-Efficacy and College Student Satisfaction.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3: 315-326. 

  13. Hampton, N. Z., & Mason. E(2003). Learning Disabilities, Gender, Sources of Efficacy, Self-Efficacy Beliefs, and Academic Achievement in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41: 101-112. 

  14. Henry, J., & Stone. R.(1995). Computer Self-Efficacy and Outcome Expectancy: The Effects On The End-User's Job Satisfaction. Computer Personnel. 

  15. Huebner, E. S., & McCullough. G(2000). Correlates of School Satisfaction Among Adolescents.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93(5): 331- 335. 

  16. Lee, V., & Smith, J(1999). Social Support and Achievement for Young Adolescents in Chicago: The Role of School Academic Press.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Winter, 36(4): 907-945. 

  17. Lent, R. W., Brown. S. D., & Larkin. K.C.(1984). Relation of Self-Efficacy Expectations to Academic Achievement and Persistence.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1: 356-362. 

  18. Lim, K. C. (2001). Computer Self-Efficacy, Academic Self-Concept, and Other Predictors of Satisfaction and Future Participation of Adult Distance Learners. The American Journal of Distance Education, 15. 

  19. Nunnally, J, C., & Bernstein, L, H(1994). Pshychological theory, NY: MacGrawhill. 

  20. Packham, G., Jones, G., Miller, C., & Thomas, B. (2004). E-learning and retention: Key factors influencing student withdrawal. Educational & Training, 46(6/7): 335-342. 

  21. Samdal, O., Wold. B., and Bronis. M(1999).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Perceptions of School Environment, Their Satisfaction with School and Perceived Academic Achievement: An International Study. School Effectiveness and School Improvement, 10(3): 296-320. 

  22. Sanders, M. G(1998). The Effects of School, Family and Community Support o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African American Adolescents. Urban Education September (33): 385-409. 

  23. Shin, N.(2003). "Transactional Presence as a Critical Predictor of Success in Distance Learning", Distance Education, 24(1): 69-86. 

  24. Shin, N.(2006). "On-line Learner's 'flow' Experiences: Anempiricalstudy",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37(5): 705-720. 

  25. Schunk, D. H.(1989). Self-Efficacy and Achievement Behaviors. Educational Psychology Review, 1. 

  26. Schunk, D. H., & Zimmerman. B. J(1994). Self- regulation of learning and performanc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7. Torres, J., & Solbegr. V.(2001). Role of Self-Efficacy, Stress, Social Integration, and Family Support in Latino College Student Persistence and Health.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59: 53-6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