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정 중심의 감각통합치료가 발달장애아동의 안구진탕, 시지각,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Vestibule-Oriented Sensory Integration Treatment on the Nystagmus, Visual Perception and Balancing Ability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1 no.4, 2011년, pp.290 - 302  

김현호 (대구대학교) ,  황보각 (대구대학교) ,  유병국 (한려대학교) ,  김명권 (대구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번 연구의 목적은 전정 중심의 감각통합치료가 발달장애아동의 안구진탕, 시지각, 균형능력에 미치는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이다. 발달장애를 가진 23명의 아동이 이번 실험에 참여하였다. 대상은 12주동안 Ayres의 감각통합이론에 바탕을 둔 전정중심의 감각통합치료를 받았다. 치료 효과는 SCPNT, DTVP-2, P-CTSIB, SCSIT등과 BOT의 일부 평가항목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Wilcoxon test를 사용하여 분석되었다. 연구결과는 회전후 안구진탕 측정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시지각과 균형능력의 측정결과에서도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전정중심의 감각통합치료가 발달장애를 가진 아동에서 안진, 시지각, 균형능력의 증진에 효과적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vestibule-oriented sensory integration treatment on the nystagmus, visual perception and balancing ability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Twenty thre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were participated in this experim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정감각 중심으로 감각통합치료를 발달장애아동에게 실시하였을 때, 안구진탕, 시지각, 균형감각에 미치는 전반적인 변화를 알아보고, 전정감각중심의 감각통합치료프로그램을 모색하며, 전정 감각의 입력정도를 파악하기 위한 적합한 전정감각통합평가도구의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함과 동시에 감각통합치료를 실시하는 치료사에게 전정감각통합 평가 시의 평가도구 활용에 도움을 주는데 목적이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전정감각을 중심으로 한 감각통합치료가 발달장애아의 안구진탕, 시지각 및 균형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신경학적인 문제점을 가진 발달장애를 위한 대표적인 접근법은 무엇인가? 발달장애아동의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치료적 개입을 위하여 작업치료, 물리치료, 인지치료, 정서치료 등의 다양한 접근법이 발전되어 왔다. 하지만 이러한 접근법들은 발달장애아동에게 심리적, 신체적 문제점에 대한 중재에 그치고 있으며, 신경학적인 문제점을 가진 발달장애를 위한 대표적인 접근법으로 감각통합치료접근법이 있다[3].
발달장애아동이란? 발달장애아동(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은 신경학적 미성숙으로 인하여 또래 아동과 비교하여 기능수준이 6개월 이상 지연되고 발달속도가 비정상적으로 느린 아동을 말한다[1]. 발달장애아동은 대부분 중도 장애나 신경학적 손상, 그리고 감각 손상 등의 문제점을 가지며 이로 인해 균형감각, 위치감각, 방향감각 등에서 여러 가지 문제점을 나타내게 된다[2].
전정감각이 예측할 수 있는 것은? 이와 같이 전정감각은 균형을 유지하고 인지하는 기능을 담당하고 있으며, 또한 안구의 운동, 자세균형, 근긴장조절, 신체상, 양측협응 등에 영향을 주게 된다[8]. 또한 어떤 활동을 할 때 내부 환경과 외부 환경과의 관계에 기초를 만듦으로 아동의 운동 발달에 영향을 미치며 전정계의 기능을 통하여 아동의 감각 운동 기능을 예측할 수 있다. 전정 감각 처리에 장애를 가지는 아동들은 수직자극, 가속도, 회전자극, 수평자극 등을 과도하게 탐색하거나 회피하며 이것은 학습이나 일상 활동에서 필요로 하는 복잡한 과제를 수행할 때 정보를 조직화 하고 실행하는 것을 어렵게 할 수 있다[9][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C. R. Reynolds, Encyclopedia of special education. 1, John Wiley and Sons. Inc. 2000. 

  2. 이선미, "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의 운동능력과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6. 

  3. H. Sigmundsson, A. V. Pedersen, and H. T. Z. Whiting, "We can cure your child's clumsiness: a review of intervention methods," Scan J Rehabil Med. Vol.30, pp.101-106, 1998. 

  4. A. J. Ayres, Sensory integration and learning disorders, Los Angeles, Western Psychological Services, 1972. 

  5. A. J. Ayres, Sensory integration and the child, Los Angels, Western Psychological Services, 1979. 

  6. V. J. Wilson and J. G. Melvill, Mammalian vestibular physiology, Plenum Press, New York, 1979. 

  7. A. J. Ayres, Sensory integration dysfunction: Test score constellations, Part II of a final project report, Torrence, CA: Sensory Integration International, 1986. 

  8. 이수연, 손길수, 전혜진, 이문환, "치료적 운동이 노인의 균형과 보행에 미치는 효과", 대한물리치료학회지, 제19권, 제2호, pp.1-10, 2007. 

  9. 이미희, "감각 조절 장애 아동에 대한 감각통합치료 캠프의 효과-사례보고, 대한 감각통합치료학회지", 제1권, 제1호 pp.39-51, 2003. 

  10. 김미혜, 남궁은영, 부경희, "학령기 정상아동의 운동 기술 및 자세 조절에 관한 임상관찰,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제1권, 제1호, pp.17-23, 2003. 

  11. G. Dawson and A. Lewy, Arousal, attention and the socioemotional impairments of individuals with autism, Autism: Nature, diagnosis and treatment. Guolford, 1989. 

  12. Warren M, Evaluation and Treatment of Visual Deficits, In LW Pedretti & MB Early, Occoupational Therapy Practice Skill fo Physical Dysfunction, 5th ed, pp.386-415, St Luis, Missouri : Mosby, 2001. 

  13. K. N. Fong, C. C. Chan, and D. K. Au, "Relationship of motor and cognitive abilityies to functional performance in stroke rehabilitation," Brain Inj, Vol.12, No.5, pp.443-53. 

  14. K. O. Berg, C. Tiliket, and D. Boisson, "Predominance of postural imbalance in left hemiparetic patient," Scand J rehabil Med, Vol.29, No.1, pp.11-16, 1997. 

  15. 이승민, 권영실, 김상수, 김진상, "정상아동과 청각장애아동의 전정기능과 정적 균형수행력의 비교", 대한물리치료학회지, 제11권, 제2호, pp.29-36, 1999. 

  16. 이승민, 김진상, 김진호, "정상아동과 청각장애아동의 전정기능과 동적 균형수행력의 비교", 대한물리치료학회지, 제12권, 제1호, pp.33-40, 2000. 

  17. 이동진, 김성렬, 송창호, "뇌졸중환자의 균형, 기능적보행, 시지각, 일상생활평가도구의 상관성", 대한물리치료학회지, 제21권, 제1호, pp.39-45, 2009. 

  18. 서동권, 오덕원, 이상호, "발목 시지각-되먹임 훈련이 편마비환자의 균형과 보행기능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치료학회지, 제22권, 제4호, pp.35-41, 2010. 

  19. 홍소영, 이준우, "편마비환자의 시지각능력과 균형유지 능력간의 상관관계", 대한작업치료학회지, 제13권, 제2호, pp.63-71, 2005. 

  20. 박화문, 장애아를 위한 감각통합법, 서울 : 도서출판 특수교육, 1992. 

  21. 박경숙, 특수아동의 감각통합훈련 프로그램 적용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989. 

  22. A. J. Ayres, Southern California postrotary nystagmus test manual, Los Angeles, Western Psychological Services, 1975. 

  23. M. Frostig, D. W. Leferver, and J. R. B. Whittlesey, "A developmental test of visual perception for evaluating normal and neurologically handicapped children," Perceptual and Motor Skills, Vol.12 pp.383-389, 1961. 

  24. D. D. Hammill, N. A. Pearson, and J. K. Voress, Developmental Test of Visual Perception(2nd ed) , Austin, TX:Pro-Ed, 1993. 

  25. Shumway Cook A and F. B. Horak, "Assessing the influence of sensory interaction on balance," Phys Ther, Vol.66, pp.1548-1550, 1986. 

  26. T. K. Crowe, J. C. Deitz, P. Richardson, and S. W. Atwater, "Interrater reliability of the pediatric clinical test of sensory interaction for balance," Occupational Therapy Journal of Research, Vol.10, No.4, pp.1-27, 1990. 

  27. J. C. Deitz, P. R. Richardson, S. W. Atwater, T. K. Crowe, and M. Odidrne, "Performance of normal children on the Clinical Test of Sendory Interaction for Balance," Occupational Therapy Journal of Research, Vol.11, pp.336-356, 1991. 

  28. 이한숙, 권혁철, 김진상, "소아용 균형 감각검사를 이용한 6세 및 7세 아동의 균형 수행력 비교", 대한물리치료학회지, 제11권, 제1호, pp.87-93, 1991. 

  29. R. H. Bruininks, Bruininks Oseretsky test of motor proficiency: Manual. American Guidence Service, 1978. 

  30. A. J. Ayres, The effect of sensory integrative therapy on learning disabled children: the final report of a research project,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ia, 1976. 

  31. J. B. DeQuiros, Diagnosis of vestibular disorders in the learning disabled, Learning disabil, 1976. 

  32. E. L. Zee-Chen and M. L. Hardman, "Postrotary nystagmus response in children with Down's syndrome," Am J Occup Ther, Vol.37, No.4, pp.260-265, 1983. 

  33. 진홍신, "자폐성 아동의 감각통합훈련 프로그램에 의한 감각통합기능과 관련 기능 행동의 효과",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1. 

  34. L. C. Gregg, E. M. Haffner, and F. A. Korner, "The Relative Efficacy of Vestiblar Proprioceptive Stimulation and th Upright Postion in Enhancing Visual Pursuit in Neonates," Child Development. Vol.47, pp.309-314, 1976. 

  35. E. W. Maclean and A. Baumerister, "Effects of Vestibular Stimulation on Motor Development and Stereotyped Behavior or Developmentally Delayed Children," AJOT, Vol.35, No.2, pp.101-104, 1981. 

  36. D. L. Clark, J. R. Kreutzberg, and F. K. Chee, "Vestibular stimulation influence on motor development in infant," Science, Vol.196, No.10, pp.124-131, 1977. 

  37. 이현주, "전정 감각 훈련 프로그램이 Down 증후군 아동의 운동기술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38. 지석연, 남궁연, "감각통합치료가 발달지연 아동의 자세조절, 양측협응, 운동계획능력의 향상에 미치는 효과 : 단일사례연구", 대한작업치료학회지, 제10권, 제1호, pp.63-69, 2002. 

  39. 이병희, "아동중심 감각통합훈련이 뇌성마비아동의 균형에 미친 효과",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40. M. Neal, "Vestibular stimulation and development behavior of the small premature infant," Nursive Research Report, Vol.3, pp.1-5, 1968. 

  41. H. Levinson, A Solution to the Riddle Dyslexia, N. Y. : Springer Berlag, 1980. 

  42. W. K. F. Chee, J. R. Kreutzberg, and D. R. Clark, "Semicircular canal Stimulation in cerebral palsied children," Phys. Ther, Vol.58, pp.1031-1075, 1978. 

  43. 우상수, "전정 기능 훈련이 자폐성 장애 아동의 상동 행동 개선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2002. 

  44. 김종만, 치료사를 위한 임상신경학, 정담미디어, pp.72-74. 20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