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려 초조대장경 각판의 발원 장소 및 일자에 관한 연구

A Research on the Place and Date of Praying for the Engraving of the First Edition of Tripitaka Koreana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45 no.2, 2011년, pp.75 - 96  

김성수 (청주대학교 인문대학 문화정보학부 문헌정보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논문은 고려 초조대장경 각판(刻板: 雕造)과 관련한 발원(發願)의 장소(發願地) 및 그 일자(發願日)의 문제를 규명한 연구이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초조대장경 각판 발원의 단서는 이규보의 <대장각판군신기고문>에서 '초조대장경의 초창지단(初創之端)'의 내용에 입각하였다. 2) 거란군이 침략하고, 현종이 남순(南巡: 몽진)하다가 다시 개경(開京)으로 환궁하기까지의 기간 사이에, 군신(君臣)이 함께 거란군(契丹軍)을 물리치기 위한 대규모 행사의 개최 또는 신명(神明)이 보답하는 제사(報祠)를 올린 기록을 "고려사"와 "고려사절요"에서 검색하였다. 그 결과, '"고려사절요" 제3권, 현종 2년(1011) 2월 정사일(丁巳: 13일)'條의 내용이 <대장각판군신기고문>의 초조대장경 각판 발원의 내용과 일맥상통함을 파악하였다. 이에 따라 <대장각판군신기고문>의 내용 또한 역사적 진실(史實)을 담고 있는 기록임을 파악하였다. 3) "고려사절요" 현종 2년(1011) 2월 13일의 기록 즉, '거란군이 스스로 물러가도록 신명(神明)이 보답할 수 있는 제사를 올렸다'는 사항은 바로 2월 15일에 청주 행궁(行宮)에서 거행된 <연등회(燃燈會)>의 의식 및 제사를 말하는 것이며, 이 연등회의 제례(祭禮)에서 신명께 기고(祈告)한 내용은 곧 '초조대장경 각판의 발원'이었을 것임을 입증하였다. 4) 그리하여 초조대장경 각판의 발원장소는 청주행궁(淸州行宮)이며, 그 발원일자(發願日)는 1101년(현종 2) 음력 2월 15일임을 규명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facts about the place and date of praying for the engraving of the first edition of Tripitaka Koreana.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 very first idea of engraving the first edition of Tripitaka Koreana was evidenced in the record of 'The beginning of Tripitaka K...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필자는 2010년에 발표한 “초조대장경 조조의 동기 및 배경에 관한 연구”에서 <대장각판군신기고문>과 『고려사』 제129권의 내용을 결합하여 ‘초조대장경 조조의 동기는 거란군의 침략을 물리치는 데 있었음’을 재확인하면서 이규보의 <기고문> 내용이 역사적 진실임을 입증(김성수 2010, 133-165)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필자의 위 논문을 기반으로 하여, 정사(正史: 一次史料)인 『고려사』와 『고려사절요』에서 초조대장경 관련 기사를 발굴ㆍ재해석함으로써, 초조대장경의 각판과 관련한 그 구체적인 발원지(發源地) 및 그 발원일(發願日)을 규명하고자 한다. 그리하여 ‘초조대장경 각판의 발원’에 관한 사항은 역사적 진실(史實)임을 증명하고자 한다.
  • 이상의 본론에서는 지금까지 학계에서 규명되지 못한 고려 초조대장경 각판 발원의 장소(發願地)와 그 일자(發願日)의 문제를 고구(考究)하여 보았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위 이규보의 내용을 단서로 하여, 초조대장경 각판 발원의 장소(發源地) 및 일자(發願日)를 규명하고자 한다.
  • 라 하였다. 이제 위의 인용문에 함축된 의미를 상세하게 풀이하면서 분석해 보기로 하자.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초조대장경의 각판 발원 1000주년을 기념하게 하는 단서는? 올해 2011년은 고려 초조대장경(初雕大藏經)의 각판(刻板: 雕造)이 발원(發願)된 지 꼭 1000년이 되는 해이다. 초조대장경의 각판 발원 1000주년을 기념하게 하는 단서는, 이규보(李奎報)가 고종(高宗)을 대신하여 작성한<대장각판군신기고문(大藏刻板君臣祈告文)>에서 초조대장경이 만들어지게 된 처음의 연유(緣由), 즉 ‘그 初創之端(초창지단)은 현종 2년(1011)의 일’1)이라는 기록에 입각한 것이다.
고려 초조대장경(初雕大藏經)의 각판(刻板: 雕造)이 발원(發願)된 지 꼭 1000년이 되는 해는? 올해 2011년은 고려 초조대장경(初雕大藏經)의 각판(刻板: 雕造)이 발원(發願)된 지 꼭 1000년이 되는 해이다. 초조대장경의 각판 발원 1000주년을 기념하게 하는 단서는, 이규보(李奎報)가 고종(高宗)을 대신하여 작성한<대장각판군신기고문(大藏刻板君臣祈告文)>에서 초조대장경이 만들어지게 된 처음의 연유(緣由), 즉 ‘그 初創之端(초창지단)은 현종 2년(1011)의 일’1)이라는 기록에 입각한 것이다.
현종이 그의 부모를 위하여 판각한 명복경은 이 4종의 불경(佛經)에 국한되어 있음을 알 수 있기 때문이라고 본 이유는? 그러나 池內宏의 주장은 우리의 분명한 역사적 기록을 왜곡(歪曲)하면서 억지로 날조(捏造)한 것이다. 왜냐하면, <玄化寺碑陰記(현화사비음기)>에 의하면, 실제로 현종이 현화사를 창건하면서 그의 부모를 위한 명복경(冥福經)으로 엄선한 불경은 ‘『대반야경』 600권․ 『화엄경』 [40권․60권․80권 본]3부류․ 『금광명경』․ 『묘법연화경』을 목판으로 판각하여 이 절에 비치하였다’라고 위 비문(碑文)에 굳건하게 새겨져 있기 때문이다.7) 따라서 현종이 그의 부모를 위하여 판각한 명복경은 이 4종의 불경(佛經)에 국한되어 있음을 알 수 있기 때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高麗史 제4권, 世家 제4, 현종 庚戌 원년(1010) 및 二年條. 

  2. 高麗史 第129卷, 列傳第42, 反逆3, 崔忠獻[崔怡?崔沆?崔?]條. 

  3. 高麗史節要 제3권, 玄宗 元年 및 二年條. 

  4. 金斗鐘. 1980. 韓國古印刷技術史. 서울: 탐구당. 

  5. 김성수. 2005. 고려 초조대장경의 연구 과제. 書誌學硏究, 32: 35-60. 

  6. 김성수. 2006. 고려 초조대장경의 분류체계 및 소장 초조본의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7(1): 405-428. 

  7. 김성수. 2010. 고려대장경 조조의 동기 및 배경에 관한 연구. 佛敎硏究, 32: 133-166. 

  8. 金潤坤. 2002. 고려대장경의 새로운 이해. 서울: 불교시대사 

  9. 김윤곤. 2008. 대구 符仁寺藏 고려대장경판과 그 특성. 민족문화논총, 39: 441-511. 

  10. 남권희. 2007. 일본 남선사 소장의 고려 초조대장경. 書誌學硏究, 36: 81-121. 

  11. 남권희. 2009. 高麗 初雕大藏經의 硏究: 日本 南禪寺 所藏本을 중심으로. 제2발표: 초조대장경의 현존 현황과 재조대장경과의 비교, 1-44. 고려시대 초조대장경과 부인사: 한국중세사학회?팔공산 부인사 공동 학술회의. 2009년 9월 11일. [대구]: 팔공산 부인사 삼광루. 

  12. 남권희, 정재영. 2010. 日本 南禪寺 所藏 高麗初雕大藏經 調査報告書. 南禪寺藏 高麗版 初雕本大藏經 調査完了 報告會. 2010년 1월 25일. 일본 교토: 가든팔래스호텔 쿠라마룸 

  13. 文暻鉉. 1991. 高麗大藏經 雕造의 史的 考察. 李箕永博士 古稀紀念論叢, 佛敎와 歷史, 477-530. 서울: 한국불교연구원. 

  14. 朴泳洙. 1959. 高麗大藏經板의 硏究. 白性郁博士 頌壽紀念 佛敎學論文集, 413-453. 서울: 동국문화사. 

  15. 常盤大定. 1913. 大藏經彫印攷. 哲學雜誌 28-321. 1164. 재인용: 金潤坤, 고려대장경의 새로운 이해. 서울: 불교시대사. 2002, 21. 

  16. 安啓賢. 1959. 燃燈會攷. 백성욱박사 頌壽기념 불교학논문집. 韓國佛敎思想史硏究. 서울: 동국대학교출판부, 1983, 238. 

  17. 安啓賢. 1975. 大藏經의 雕板. 한국사, 제6권: 19-69. 

  18. 安智源. 1999. 高麗 燃燈會의 기원과 성립. 震壇學報, 88: 87-114. 

  19. 오윤희. 2011. 대장경, 천년의 지혜를 담은 그릇. 서울: 불광출판사 

  20. 윤용혁. 2009. 몽고 침입과 부인사 대장경의 소실. 제4발표: 몽고 친입과 부인사장 대장경판 소실 문제, 1-14. 고려시대 초조대장경과 부인사: 한국중세사학회?팔공산 부인사 공동 학술 회의. 2009년 9월 11일. [대구]: 팔공산 부인사 삼광루. 

  21. 義天. 代宣王諸宗敎藏彫印疏. 大覺國師文集 卷第15. 

  22. 李奎報. 大藏刻版君臣祈告文(丁酉(1237)年行). 東國李相國集 제25권. 雜著. 18-20(張). 

  23. 李箕永. 1976. 高麗大藏經, 그 歷史와 意義. 高麗大藏經, 제48권: 1-17. 서울: 동국대학교 역경원. 

  24. 張愛順 외. 2006. 고려대장경의 연구. 서울: 동국대학교 출판부. 

  25. 장애순. 2006. 高麗大藏經의 편찬 배경. 高麗大藏經의 硏究, 19-58. 서울: 동국대학교 출판부. 

  26. 정필모. 1987. 고려초조대장목록의 복원. 書誌學硏究, 2: 3-108. 

  27. 池內宏. 1923. 高麗朝の大藏經. 東洋學報, 13(3): 307-362. 

  28. 蔡忠順. 玄化寺碑陰記. [online]. . 

  29. 千惠鳳. 1980. 羅麗印刷術의 硏究. 서울: 경인문화사. 

  30. 千惠鳳. 1990. 韓國典籍印刷史. 서울: 범우사 

  31. 최연주. 2009. 符仁寺藏 高麗大藏經 조성과 체제. 제1발표: 초조대장경의 성립 배경과 성격, 1-11. 고려시대 초조대장경과 부인사: 한국중세사학회?팔공산 부인사 공동 학술회의. 2009년 9월 11일. [대구]: 팔공산 부인사 삼광루. 

  32. 한기문. 2009. 고려전기 부인사의 위상과 초조대장경판 소장 배경. 제3발표: 부인사의 위상과 초조대장판 소장 경위, 1-14. 고려시대 초조대장경과 부인사: 한국중세사학회?팔공산 부인사 공동 학술회의. 2009년 9월 11일. [대구]: 팔공산 부인사 삼광루.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