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지레코드와의 연계를 통한 폭소노미 태그 프레임워크 구축
Construction of Folksonomy Tag Framework Using Bibliographic Record 원문보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45 no.2, 2011년, pp.185 - 207  

이승민 (중앙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현재의 정보환경에서 정보자원을 표현하는데 있어 여러 가지 방법들이 많이 적용되고 있다. 이 가운데 최근에는 태그를 이용한 폭소노미가 정보의 표현과 조직에 있어 새로운 방식으로 급격하게 대두되고 있다. 이는 기존의 방법들이 지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으로서의 가능성을 지니고 있기는 하지만, 태그 자체가 지닌 모호성, 비일관성, 의미적 복합성 등으로 인해 효과적인 정보조직에 어려움을 가져오기도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서지레코드와의 연계를 통해 태그의 의미적 제어를 위한 개념적 프레임워크를 구축하여 태그가 지닌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태그의 고유한 문제를 해결하여 보다 효과적인 정보의 표현과 검색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e current information environment, many approaches have been adopted to represent and organize information resources. Among these approaches, folksonomy using tags is now being used in knowledge representation and organization. Although it may be an efficient approach to overcome the limitation...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태그를 이용한 폭소노미의 단점은 무엇인가? 이 가운데 최근에는 태그를 이용한 폭소노미가 정보의 표현과 조직에 있어 새로운 방식으로 급격하게 대두되고 있다. 이는 기존의 방법들이 지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으로서의 가능성을 지니고 있기는 하지만, 태그 자체가 지닌 모호성, 비일관성, 의미적 복합성 등으로 인해 효과적인 정보조직에 어려움을 가져오기도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서지레코드와의 연계를 통해 태그의 의미적 제어를 위한 개념적 프레임워크를 구축하여 태그가 지닌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태그의 고유한 문제를 해결하여 보다 효과적인 정보의 표현과 검색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 있다.
국내 도서관계에서 사용하는 폭소노미를 적용한 서비스는 무엇이 있는가? 이 가운데 최근에는 소셜 태깅(social tagging), 협동 태깅(collaborative tagging) 등과 같은 태깅 시스템을 이용한 폭소노미(folksonomy)가 정보의 표현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국내 도서 관계에서도 이러한 폭소노미를 적용한 소셜 북마킹(social bookmarking), 소셜 온라인 목록 (social online cataloging) 등과 같은 서비스가 점차 폭넓게 제공되고 있는데, 이러한 흐름은 폭소노미가 엄격한 규칙과 형식에 얽매여 있는 기존 도서관 목록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는 효과적인 대안으로서의 가능성을 제공해 주고 있기 때문이다(노지현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구중억, 이응봉. 2006. Open API 기반 OPAC 2.0 서비스 구현 및 유용성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0(2): 315-332. 

  2. 김동숙, 정연경. 2010. 저작관련 요소분석을 통한 폭소노미 태그의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LibraryThing을 중심으로. 정보관리학회지, 27(1): 41-60. 

  3. 노지현. 2009. 도서관 목록에서 폭소노미 적용의 의미와 한계.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0(4): 381-400. 

  4. 박미성. 2008. Web 2.0 기술적용 사이트 분석을 통한 도서관 정보 시스템의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9(1): 139-168. 

  5. 유시내. 2007. 기록 검색 서비스 개선을 위한 폭소노미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학회 봄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5: 58-59. 

  6. 이성숙. 2008. 대학도서관 폭소노미 태그의 형태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2(4): 463-480. 

  7. 이성숙, 정서영. 2009. 국내 도서관 폭소노미 태그의 일반적 패턴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0(1): 137-150. 

  8. 이지연. 2007. 라이브러리 2.0과 도서관 서비스 발전 방향.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KR 2007-11. 

  9. 이재윤, 황혜경. 2006. 이용자 생성 메타데이터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연구, 37(3): 1-24. 

  10. 조재인. 2008. 도서관 정보 수요자를 위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도입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9(2): 169-186. 

  11. 조재인. 2008. 학술정보서비스의 폭소노미 분석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2(4): 95-112. 

  12. 정은증. 2007. 미국 인터넷 사용자들의 Tag(태그) 이용 현황: 인터넷 사용자들의 혁명적인 정보 분류법. 정보통신정책, 19(3): 44-51. 

  13. 최진원. 2008. 키워드 태그를 활용한 영화 서사의 연관성 계산 및 시각화 어플리케이션. 석사학위논문, 한국과학기술원 문화기술대학원. 

  14. Allen, Matthew. 2008. Web 2.0: An argument against convergence. First Monday, 13(33). [online]. [cited 2011.2.14]. . 

  15. Damme, V. C., Hepp, M., & Siorpaces, K. 2007. "FolksOntology: An integrated approach for turning folksonomies into ontologies." ESWC 2007 "Bridging the Gap between Semantic Web and Web 2.0" Workshop. 

  16. Fichter, D. 2006. "Intranet applications for tagging and folksonomies." Online, 30(3): 43-45. 

  17. Echarte, Francisco, Astrain, Jose Javier, Cordoba, Alberto, & Villandangos, Jesus. 2007. "Ontology of folksonomy: A new modeling method." Proceedings of Semantic Authoring, Annotation and Knowledge Markup(SAAKM). 

  18. Golder, S. A. & Huberman, B. A. 2006. "Usage patterns of collaborative tagging systems."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32(2): 198-208. 

  19. Marlow, C., Naaman M., Boyd, D., & Davis, M. 2006. "HT06, tagging paper, taxonomy, Flickr, academic article, toread." Proceedings of Hypertext 2006. New York: ACM Press. 

  20. Mathes, A. 2004. "Folksonomies: Cooperative classification and communication through shared metadata." [online]. [cited 2011.2.11]. . 

  21. Peters, Isabella. 2009. Folksonomies: Indexing and Retrieval in Web 2.0. [Berlin]: Walter de Gruyter. 

  22. Specia, L., & Motta, E. 2007. "Integrating folksonomies with the semantic web." The Semantic Web: Research and Applications, LNCS 4519: 624-639. [online]. [cited 2011.1.20]. .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