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주산 차의 발효 정도에 따른 생리활성 기능에 관한 연구
The Analysis of the Physiologic Activities of the Jeju Teas according to the Fermentational Degree 원문보기

韓國資源植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v.24 no.2, 2011년, pp.236 - 242  

박신영 (제주한라대학 임상병리학과) ,  이선주 (제주대학교 화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제주산 녹차 및 발효 정도를 20%, 50%, 80%로 달리한 3종류의 발효차를 $90^{\circ}C$ 열수에 추출하여 추출물의 항산화능, 지질과산화 억제능 그리고 혈관내피세포(CPAE)를 이용하여 산화스트레스에 대한 세포 보호효과를 조사하였다. 녹차나 다른 발효차에 비해 20% 발효차에서 항산화능을 평가하는 DPPH 소거능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20% 발효차의 80 ${\mu}g/mL$ 처리 시 50 ${\mu}M$ 농도의 EGCG 처리와 거의 유사한 free radical 소거율을 보였다. 녹차와 3종류의 발효차 모두 LDL 산화를 억제하여 우수한 지질과 산화 억제능을 보였으나 특히 저농도인 40 ${\mu}g/mL$ 처리 시에 녹차와 20% 발효차의 경우 다른 발효차에 비해 25~30% 정도 더 LDL의 산화가 억제 되어 50 ${\mu}M$/mL EGCG 처리 시와 거의 동일한 수준의 지질과산화 억제 효과를 보였다. CPAE 세포에 녹차 및 3종류의 발효차 추출물을 처리한 실험에서 전혀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은 세포에 비해 세포활성이 40~60% 증가하였다. 특히 세포에 1 mM 과산화수소를 처리하여 산화스트레스를 유발한 실험에서 녹차 및 발효차 추출물의 처리가 세포의 산화스트레스에 대한 보호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들은 녹차 및 발효차 추출물이 세포 내 free radical을 제거함으로써 산화스트레스에 대한 세포 보호효과에 중요한 기능 중의 하나로 작용한 것과 20% 발효차가 다른 발효차에 비해 우수한 항산화기능을 나타낸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anti-oxidant activity, the inhibition ability of lipid peroxidation, and the protective effect of cow pulmonary epithelium (CPAE) cells under oxidative stress using green tea and 3 types of fermented teas of Jeju Island. To compare the physiological activi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항산화능의 평가를 위해 free radical 소거능, 혈관내피 세포를 이용하여 산화스트레스를 가한 후 녹차나 발효정도에 따른 발효차들의 산화스트레스에 대한 극복효과 그리고 동맥경화를 유발하는 주요 요인이 되는 LDL(Low density lipoprotein) 산화 억제능을 조사하였다. 녹차와 발효차 간의 생리학적 효능 차이를 규명함으로써 제주산 차가 가지고 있는 다양한 생리활성 기능에 대한 효능을 검증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제주산 녹차와 발효차의 효능을 검증하기 위해 1차적으로 in vitro에서의 녹차와 발효 정도를 3단계로 달리한 발효차의 항산화능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항산화능의 평가를 위해 free radical 소거능, 혈관내피 세포를 이용하여 산화스트레스를 가한 후 녹차나 발효정도에 따른 발효차들의 산화스트레스에 대한 극복효과 그리고 동맥경화를 유발하는 주요 요인이 되는 LDL(Low density lipoprotein) 산화 억제능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에서 제조되는 차의 대부분은 무엇인가? 차의 풍미는 제조방법에 따라 비발효차, 반발효차, 발효차, 후발효차로 구분되며 차의 성분, 색, 향기, 맛, 체내의생리활성 작용 등이 달라지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 우리나라에서 제조되는 차의 대부분은 비발효차인 녹차이며 발효차나 후발효차의 상품화는 녹차에 비해 미미한 실정이다. 녹차는 flavonol, flavanone, flavonoid 등의 polyphenol 류를 많이 함유하고 있어 강한 항산화력을 나타내며 이러한 물질들은 차 건조중량의 약 30%를 차지한다.
차의 풍미는 제조방법에 따라 무엇으로 구분되는가? 차의 풍미는 제조방법에 따라 비발효차, 반발효차, 발효차, 후발효차로 구분되며 차의 성분, 색, 향기, 맛, 체내의생리활성 작용 등이 달라지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 우리나라에서 제조되는 차의 대부분은 비발효차인 녹차이며 발효차나 후발효차의 상품화는 녹차에 비해 미미한 실정이다.
효소발효차는 발효과정에서 카테킨류가 무엇으로 변화하는가? 발효차의 경우 미생물이 관여하는 발효가 아니고 찻잎에 존재하는 효소에 의한 반응을 이용하므로 효소발효차로 불리운다. 발효과정에서 카테킨류가 teaflavin류로 변화하며 고급지방산이 산화 분해되어 카보닐화합물이 증가한다(Chen et al.,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Byun, K.S., Y.W. Lee, H.J. Jin, M.K. Lee, H.Y. Lee, K.J. Lee, M.Y. Heo, C.Y. Yu and J.H. Lee. 2005. Genotoxicity and cytotoxicity in human cancer and normal cell lines of the extracts of Thododendron brachycarpium D. Don leaves. Kor. J. Medicinal Crop Sci. 13(4):199-205 (in Korean). 

  2. Chen, H., Z. Qu, L. Fu, P. Dong, X. Zang. 2009.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nt capacity of 3 polysaccharides from green tea, oolong tea, and black tea. J. Food Sci. 6:469-474. 

  3. Choi, O.J. and K.H. Choi. 2003.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orea teas (green tea, semi-fermented tea, and black tea) according to degree of fermentation. J. Kor. Soc. Food Sci. Nutr. 32(3):356-362 (in Korean). 

  4. Feldman, E.B. 2001. Fruits and vegetables and the risk of stroke. Nutr. Rev. 59:24-27. 

  5. Gardner, E.J., C.H.S. Ruxton, A.R. Leeds. 2007. Black tea helpful or harmful? A review of the evidence. Eur. J. Cli. Nutr. 61:3-18. 

  6. Harvey, B., R.T. Gottesman, E.J. Liebling and A.G. Schuck. 2008. Theaflavin-3-gallate and theaflavin-3'-gallate, polyphenols in black tea with prooxidant properties. Basic & Clinical Pharmacology & Toxicology 103:66-74. 

  7. Heinonen, I.M., P.J. Lehtonen, A.I. Hopia. 1998. Antioxidant activity of berry and fruit wines and liquors. J. Agric. Food Chem. 46:25-31. 

  8. Ishikawa, T., M. Suzukawa and T. Ito. 1997. Effect of tea flavonoid supplementation on the susceptibility of low-density lipoprotein to oxidative modification. Amer. J. Cli Nut. 2:261-266. 

  9. Jankun, J., S. H. Selman, R. Swiercz, and E. Skrzypczak-Jankun. 1997. Why drinking green tea could prevent cancer. Nature 387:561-565. 

  10. Kim. B.S., W.M. Yang and J. Choi. 2002. Comparison of caffeine, free amino acid, vitamin C and catechins content of commercial green tea in Bosung, Sunchon, Kwangyang, Hadong. J. Kor. Tea Soc. 8(1):55-62 (in Korean). 

  11. Kurihara, H., H. Fukami, Y. Toyoda, N. Kageyama, N. Tsuruoka, H. Shibata, Y. Kiso and T. Tanaka. 2003. Inhibitory effect of Oolong tea on the oxidative state of low density lipoprotein (LDL) Bio. Pharm, Bull. 26(5):739-742. 

  12. Kuriyama, S., T. Shimazu and K. Ohmori. 2006. Green tea consumption and mortality due to cardiovascular disease, cancer, and all causes in Japan. J. Amer. Med. Asso. 10:1255-1265. 

  13. Lee E. 2011. Effects of Ixeris dentate ext. on lowering lipid and anti-oxidation. J. Kor. Plant Res. 24(1):55-60 (in Korean). 

  14. Lin, J.K., P.C. Chen, C.T. Ho and S.Y. Lin-Shiau. 2000. Inhibition of xanthine oxidase and suppression of intracellular reactive oxygen species in HL-60 cells by theaflavin-3, 3'-digallate, (-)-epigallocatechine-3-gallate, and propyl gallate. J. Agri. Food Chem. 48:2736-2743. 

  15. Luczaj, W., E. Skrzydlewska, 2005. Antioxidative properties of black tea. Preventive Medicine 40:910-918. 

  16. Nanjo, F., M. Mori, K. Goto and Y. Hara. 1999. Radical-scavenging activity of tea catechins and their related compounds. Bioscience, Biotechnology, and Biochemistry 63:1621-1623. 

  17. Oh J.H., E.H. Kim, J.L. Kim, Y.I. Moon, Y.H. Kang and J.S. Kang. 2004. Study on antioxidant potency of green tea by DPPH method. J. Kor. Soc. Food Sci. Nutr. 33(7):1079-1084 (in Korean). 

  18. Ohmori, R., T. Iwamoto, M. Tago, T. Takeo, T. Unno and H. Itakura. 2005. Antioxidant activity of various teas against free radicals and LDL oxidation. Lipids 40:849-853. 

  19. Park, J. H., K. S. Kim and H. K. Choi. 1997. Studies on free amoino acid, organic and fatty acid content of Korean tea plants. J. Kor. Tea Soc. 3:73-87. 

  20. Park, J. H., H. K. Choi and K. H. Park. 1998. Chemical components of various green teas on market. J. Kor. Tea Soc. 4:83-92. 

  21. Park, S.Y. 2008. Protective effects of kaempferol and quercetin on oxidative stress I CPAE cell. J. Kor. Plant Res. 21(5):395-401 (in Korean). 

  22. Singh, N. and P.S. Rajini. 2004.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an aqueous extract of potato peel. Food Chem. 85:611-616. 

  23. Visioli, F., L. Borsani, C. Galli. 2000. Diet and prevention of coronary heart disease: the potential role of phytochemicals. Cardiovas. Res. 47:410-425. 

  24. Ziyin, Y., G. Jie, F. Dong, Y. Xu, N. Watanabe and Y. Tu. 2008. Radical-scavenging abilities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theaflavins and their gallate esters in $H_2O_2$ -mediated oxidative damage system in the HPF-1 cells. Toxidology in Vitro 22:1250-125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