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상악골낭종 적출술 후 이식된 이종골지지체의 술 후 8년 감염 증례
8 Years Follow-up of Complications after Maxillary Cyst Enucleation with Xenograft: Case Report 원문보기

大韓顎顔面成形再建外科學會誌 =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ons, v.33 no.5, 2011년, pp.425 - 429  

이은영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구강악안면외과학교실, 의학연구소) ,  김경원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구강악안면외과학교실, 의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one grafts are becoming increasingly common in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to improve bone healing procedures. Bovine bone as a xenograft is a representative osteoconductor and space filler; however, sometimes complications, such as infection and wound dehiscence are encountered with its use. W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구강악안면외과 영역에서 발생하는 치성낭종 제거 후 낭종으로 인한 광범위한 치조골 결손의 치료방법 중의 하나로 다양한 뼈이식술이 사용되고 있다[8]. 골이식을 시행하는 목적은 결손부의 형태적 붕괴를 막고, 수혜부로부터의 신생골 형성을 촉진하고자 하는 것이다. 골이식의 치유방법은 골형성(osteogenesis), 골유도(osteoinduction), 골전도(osteoconduction)로 구분된다.
  • 본 증례는 12세 여아의 상악골에 발생한 치성낭종 치료 시낭종적출술과 함께 탈단백 우골(LUBBOC Transphyto S.A., Clermont-Ferrand, France)을 이식한 후 8년 동안 여러 차례 부종, 누공 등의 합병증이 발생하여 문헌고찰과 함께 LUBBOC과 같은 방법으로 처리된 이종골의 이식 후 치료 경과과정 및 최종 적출술 후 조직검사를 통한 이식재 성분에 따른 골치유에 대한 고찰을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 이러한 이종골 내 림프구 침윤 등의 소견은 이종골이 미약하나마 거부 반응을 일으키고 있다는 사실을 시사한다. 이 논문에서는 금속판 제거 후 이식부위에서 경화성 병변이 더욱 뚜렷이 판별하였는데 이는 조직학적 소견상 이식된 LUBBOC이 사골(dead bone)로 남아 석회화(calcification) 침착의 결과로 보고하였다. LUBBOC과 유사하게 과산화수소수와 에탄올 등의 시약으로 처리한 Surgibone의 경우 71∼80%의 HAP와 20∼29%의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27명의 고관절치환술에 자가골과 혼합하여 사용한 경우 약 25%에서 이식골의 실패가 발생하였다고 보고되었다[12].
  • 저자들은 12세 여아의 상악에 발생한 치성낭종 적출술 후 이종골인 LUBBOC을 이식한 후 8년간 발생한 합병증의 치료와 함께 의료기기인 이종골 가공방법에 따른 골치유능의 차이를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비록 한 증례로 이식재 가공방법에 따른 골치유 과정을 예측하기는 어려우나 이식재의 성분 또는 가공방법에 따라 골치유양상이 상이하므로 향후 보다 많은 증례의 장기간 추적 관찰 및 가공방법에 따른 이식재 골치유능과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가골을 이식재로 사용했을 때의 단점은 무엇인가? 동종골이나 이종골의 경우 가공방법에 따라 성상의 차이가 발생한다. 가장 많이 사용되어 왔던 이식재는 자가골이나, 채취 가능한 골양이 제한적이고 동통, 출혈, 감염, 감각신경손상, 심미적 문제 등의 공여부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는 단점이 있다[2]. 자가골 이식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대체이식재로 동종골, 이종골, 합성골 및 최근에는 줄기세포 및 성장인자를 포함한 이식재까지 다양한 가공 방법이 진행 중이나 이러한 이식재 또한 감염, 면역학적 거부반응, 골형성능의 한계, 이식골의 흡수 등의 단점이 있다[3].
골조직 이식술은 어떤 경우에 사용하는가? 1668년 골이식을 처음 시도한 독일의 Job Van Meek'ren 이후로 수혈을 제외하고 가장 많이 이식되는 인체조직 중의 하나가 골조직이다[1]. 골조직 이식술이 사용되는 때는 질병, 사고, 노화 등 다양한 원인으로 경조직 결손이 발생되거나 원활한 골유 합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이다. 사용되는 이식재는 자가골, 동종골, 이종골, 합성골 등으로 분류된다.
골조직 이식술에 사용되는 이식재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골조직 이식술이 사용되는 때는 질병, 사고, 노화 등 다양한 원인으로 경조직 결손이 발생되거나 원활한 골유 합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이다. 사용되는 이식재는 자가골, 동종골, 이종골, 합성골 등으로 분류된다. 동종골은 가공방법에 따라 단순가공을 한 경우 인체조직(human tissues)이나, 가공방법에 따라 다른 합성 성분이 포함되는 경우에 의료기기(medical devices)로 분류되며 이종골과 합성골은 의료기기로 분류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Lane JM, Sandnu HS. Current approaches to experimental bone grafting. Orthop Clin North Am 1987;18:213-25. 

  2. Younger EM, Chapman MW. Morbidity at bone graft donor sites. J Orthop Trauma 1989;3:192-5. 

  3. Friedlander GE. Current concepts review: Bone banking. J Bone Joint Surg 1982;64A:307-11. 

  4. Rim JS, Kim SM, Ryu JJ, Kim HJ, Yi SE, Cho M. A clinico- radiographic study on effect of hap used after odontogenic cyst enucleation. J Korean Assoc Maxillofac Plast Reconstr Surg 1990;12:57-62. 

  5. Lee DK, Min SK, Kwon KH, et al. Effect of decalcified freeze-dried allogeneic bone graft (DFDB) on the jaw defects after cyst enucleation. J Korean Assoc Maxillofac Plast Reconstr Surg 1999;21:360-5. 

  6. Lee EY, Kim KW, Choi HW, Um IW, Chung HY. The histologic study of hBMP-I for immediate implant fixation. J Korean Assoc Maxillofac Plast Reconstr Surg 2004;30:316-22. 

  7. Park JW. Evaluation of deprotenized bovine bone mineral as a bone graft substitute: a comparative analysis of basic characteristics of three commercially available bone substitute. J Korean Acad Periodontol 2005;5:863-75. 

  8. Horowitz I, Bodner L. Use of xenograft bone with aspirated bone marrow for treatment of cystic defects of the jaws. Head Neck 1989;11:516-23. 

  9. Ahn JK, Kang MK, Park HS. Histopathologic Evaluation of Obliterating materials in the Temporal Dorsal Bullae of Rat. Korean J Otolaryngol 2007;50:391-8. 

  10. Chappard D, Zhioua A, Grizon F, Basle MF, Rebel A. Biomaterials for bone filling: Comparisons between autograft, hydroxyapatitie and one highly purified bovine xenograft. Bull Assoc Anat (Nancy) 1993;77:59-65. 

  11. Kim KS, Choi YS, Yeom KS, Joe KJ, Kim KS. Biologic changes of xenograft (LUBBO) in the surgical treatment of calcaneal fractures. J Korean Orthop Assoc 1999;34:699-706. 

  12. Charalambides C, Beer M, Cobb AG. Poor results after augmenting autograft with xenograft (Surgibone) in hip revision surgery: a report of 27 cases. Acta Orthop 2005;76:544-9. 

  13. Hartl A, Bitzan P, Wanivenhaus A, Kotz R. Faster integration of human allograft bone than of the bovine substitute Lubboc. Acta Orthop Scand 2004;75:217-20. 

  14. Cha SK, Kim IK, Oh SS, et al. Clinical study of cyst in the jaw. J Korean Assoc Oral Maxillofac Surg 2001;27:167-7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