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2010년 일개 회사에서 집단발생한 바실루스 세레우스 식중독에 관한 역학조사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 for Outbreak of Food Poisoning Caused by Bacillus cereus Among the Workers at a Local Company in 2010 원문보기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예방의학회지, v.44 no.2, 2011년, pp.65 - 73  

최금발 (동국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임현술 (동국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이관 (동국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하경임 (동국대학교 의과대학 진단검사의학교실) ,  정광현 (경상북도 보건환경연구원 미생물검사과) ,  손창규 (경상북도 보건환경연구원 미생물검사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s: In July 2 2010, a diarrhea outbreak occurred among the workers in a company in Gyeungju city, Korea. An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 was performed to clarify the cause and transmission route of the outbreak. Methods: We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among 193 persons, and we examined 21...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일개 회사에서 2010년 6월 30일부터 설사 환자가 발생하여 계속 증가하였고 복통, 오한 등의 동반증상으로 인한 결근자가 발생하여 7월 2일 지역 보건소에 신고하였다. 이에 유행의 특성과 전파양식 등을 규명하여, 유행의 예방 및 관리대책을 수립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바실루스 세레우스 식중독 설사형 독소와 구토형 독소 각각의 잠복기는 어떠한가? 주로 토양에 상주하여 채소류를 잘 감염시키나 고기, 계란, 유제품 등에도 존재한다 [9]. 바실루스 세레우스 식중독은 설사형과 구토형으로 나뉘는데 잠복기는 구토형의 경우 1-6시간, 설사형의 경우 6-24시간이다[10]. 구토형 독소는 열에 강하지만 설사형 독소는 열에 약해 56℃에서 5분 처리에 불활성화 된다.
수인성·식품매개전염병이란 무엇인가? 직장 또는 학교에서 단체 급식이 보편화되어 수인성·식품매개질병의 위험성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수인성·식품매개전염병은 물과 식품이 전염성이 있는 병원성 미생물에 오염되어 발생하는 질병으로 콜레라, 세균성이질, 장티푸스 등의 법정전염병뿐만 아니라 각종 식중독 을 의미한다 [1].
바실루스 세레우스는 어디에 존재하는가? 바실루스 세레우스는 그람 양성 균으로 포자를 형성하여 생존하는 균이다. 주로 토양에 상주하여 채소류를 잘 감염시키나 고기, 계란, 유제품 등에도 존재한다 [9]. 바실루스 세레우스 식중독은 설사형과 구토형으로 나뉘는데 잠복기는 구토형의 경우 1-6시간, 설사형의 경우 6-24시간이다[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Lim HS. Contributing factors of infectious waterborne and foodborne outbreaks in Korea. J Korean Med Assoc 2007; 50(7): 582-591. (Korean) 

  2. Shin H, Lee S, Kim JS, Kim J, Han KH. Socioeconomic costs of food-borne disease using the cost-of-illness model: applying the QALY method. J Prev Med Public Health 2010; 43(4): 352-361. (Korean) 

  3. Kotiranta A, Lounatmaa K, Haapasalo M. Epidemiology and pathogenesis of Bacillus cereus infections. Microbes Infect 2000; 2(2): 189-198. 

  4.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 Surveillance for foodborne disease outbreaks --- United States, 2007. MMWR Morb Mortal Wkly Rep 2010; 59(31): 973-979. 

  5.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Food poisoning statistics system [cited 2011 Jan 14]. Available from: http://e-stat.kfda.go.kr/. 

  6. Gaur AH, Patrick CC, McCullers JA, Flynn PM, Pearson TA, Razzouk BI, et al. Bacillus cereus bacteremia and meningitis in immunocompromised children. Clin Infect Dis 2001; 32(10): 1456-1462. 

  7. Miller JM, Hair JG, Hebert M, Hebert L, Roberts FJ Jr, Weyant RS. Fulminating bacteremia and pneumonia due to Bacillus cereus. J Clin Microbiol 1997; 35(2): 504-507. 

  8.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 guideline for water & foodborne diseases. Seoul: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2009, p. 84-85. (Korean) 

  9. Chin J. Foodborne intoxication. In: Control of communicable diseases manual. 17th ed. Washington DC: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2000. p. 207-208. 

  10. Ihde DC, Armstrong D. Clinical spectrum of infection due to Bacillus species. Am J Med 1973; 55(6): 839-845. 

  11. Granum PE, Lund T. Bacillus cereus and its food poisoning toxins. FEMS Microbiol Lett 1997; 157(2): 223- 228. 

  12. Ryu JH, Beuchat LR. Biofilm formation and sporulation by Bacillus cereus on a stainless steel surface and subsequent resistance of vegetative cells and spores to chlorine, chlorine dioxide, and a peroxyacetic acid-based sanitizer. J Food Prot 2005; 68(12): 2614-2622. 

  13. Granum PE. Bacillus cereus. In: Fratamico PM, Bhunia AK, Smith JL, editors. Foodborne pathogens. Norfork: Caister Academic Press; 2005. p. 409-419. 

  14. Guerrant RL, Van Gilder T, Steiner TS, Thielman NM, Slutsker L, Tauxe RV, et al. Practice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infectious diarrhea. Clin Infect Dis 2001; 32(3): 331-351. 

  15. Hedberg CW, Palazzi-Churas KL, Radke VJ, Selman CA, Tauxe RV. The use of clinical profiles in the investigation of foodborne outbreaks in restaurants: United States, 1982- 1997. Epidemiol Infect 2007; 136(1): 65-72. 

  16. McCabe-Sellers BJ, Beattie SE. Food safety: emerging trends in foodborne illness surveillance and prevention. J Am Diet Assoc 2004; 104(11): 1708-1717. 

  17.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Weather forecast. [cited 2010 Nov 15]. Available from: http://www.kma.go.kr. 

  18. Lee HD, Lee SO, Lim HS, Lee KC, Chang KJ, Kang YA. An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 on an outbreak of Bacillus cereus food poisoning in a girls' high school in Sangju-si, Korea, 2008. Korean J Epidemiol 2008; 30(2): 168-177.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