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냄새저감형 율무청국장 제조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Odor-Reduced Korean Traditional Cheonggukjang Added with Job's Tear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0 no.2, 2011년, pp.259 - 266  

박주헌 (한국식품연구원) ,  한찬규 (한국식품연구원) ,  최숙현 (한국식품연구원) ,  이복희 (중앙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혜정 (가천의과학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성수 (한국식품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율무의 첨가가 청국장 냄새 저감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해 대두와 율무의 혼합 비율별 가공 적성 조사 및 적정 배합비 설정, 이에 따른 관능특성 평가, 향기 패턴 및 성분 분석을 실시하였다. 대두만 사용된 대조구와, 대두와 율무를 각각 1:1, 2:1, 3:1, 4:1의 비율로 혼합한 처리구에 Bacillus subtilis 종균을 접종하여 발효시킨 청국장과 재래식 청국장을 실험에 사용하였다. 율무청국장의 열량, 지방, 단백질, 회분, 아미노태 질소의 함량이 대조구보다 낮았으며, 수분과 탄수화물은 높았다. pH는 율무청국장이 상대적으로 낮았고, 색도는 율무의 함량이 높을수록 백색도와 황색도는 높고 적색도는 낮은 경향을 보였다. 점질물 함량은 율무청국장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고, 점질물 중의 glutamic acid 함량은 율무청국장이 상대적으로 낮았고 fructose 함량은 상대적으로 높았다. 관능평가 결과 대두와 율무 4:1 처리구의 기호도가 가장 높았다. 대조구와 율무청국장의 향기패턴은 재래식 청국장과 확연하게 달랐으며, 두 처리구는 비슷한 패턴이지만 구별이 가능하였다. 또한 대조구보다 율무청국장에서 pyrazine류 화합물이 적게 동정되어 청국장 냄새가 적게 난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냄새의 강도 관능평가 결과도 율무청국장이 유의적으로 낮았다. 이상에서 율무청국장을 제조할 때 율무의 함량은 20%를 첨가하는 것이 가장 적합하며, 율무청국장은 일반 청국장에 비해 냄새 저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velop an odor-reduced Korean traditional Cheonggukjang (fermented soybean paste) by adding Job's tears to Cheonggukjang made with soybean (control) only. The study included the determination of best addition percentage of Job's tears versus soybean, sensory evaluatio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청국장을 제조할 때 대두에 율무를 혼합한 율무청국장을 제조하여 청국장 특유의 냄새를 저감시키고자 대두와 율무의 혼합 비율별 가공 적성 조사 및 적정 배합비 설정, 그리고 이에 따른 관능적 특성을 평가하고, 청국장의 향기 패턴 및 향기성분 등을 분석하여 율무청국장의 냄새 저감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최근 우수한 기능성식품으로 각광받고 있는 율무를 청국장에 혼합하여 기능성 증진 및 냄새 저감 효과를 얻고자 청국장을 제조할 때 대두와 율무의 혼합 비율별 가공 적성 조사 및 적정 배합비 설정, 그리고 이에 따른 관능적 특성을 평가하고, 향기 패턴 및 성분 등을 분석하여 율무 청국장의 냄새 저감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청국장의 수요가 한정되어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최근 청국장은 혈전형성 억제능(4), 체중감소 및 혈압강하 효과(5), 항암효과, 혈청의 콜레스테롤 저하 효과(6) 등 다양한 기능성이 알려지면서 새로운 건강식품으로써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하지만 청국장 발효과정에서 생산되는 독특한 향을 선호하는 소비자들이 많지 않기 때문에 다양한 생리활성에도 불구하고 수요가 한정되어 있는 실정이다(7). 청국장의 독특한 냄새는 주로 Bacillus에 의하여 생성되는 alkylpyrazine류나 함황화합물, 암모니아 화합물 등에서 유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8-11).
율무란 무엇인가? 율무는 포아풀과에 속하는 1년초로서 벼과에 속하며 열대, 아열대, 온대남부에서 재배된다(12). 우리나라에서 율무 생산량의 85%가 경기도 연천군에서 재배 생산되고 있으며, 생산량 대부분이 율무쌀로 이용되고 있다(13).
율무는 체내에서 어떻게 지질대사에 관여하는가? 율무는 다른 곡류에 비하여 고단백, 고지방의 곡류이고 전분의 대부분이 amylopectin으로 되어 있으며 섬유소뿐만 아니라 Ca, Fe, Vit B1, Vit B2 등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건강식품으로 각광받고 있다(14). 또한 혈장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 함량을 저하시키고 조직과 혈장간의 콜레스테롤 재분배를 담당하는 HDL-콜레스테롤 함량을 증가시켜 전체적인 지질대사에 관여한다(15,16). 율무는 우리나라에서 약용으로 자양강장제, 이뇨제, 건위제, 진통제, 소염제 및 폐결핵, 관절통 등에 효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1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Kim JS, Kim JG, Kim WJ. 2004. Changes in isoflavone and oligosaccharides of soybeans during germin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294-198. 

  2. Ko HS, Cho DO, Hwang SY, Kim YM. 1999. The effect of quality improvement by Chungkukjang processing methods. Korean J Food Nutr 12: 1-6. 

  3. Sumi H, Hamada H, Tsushima H, Mihara H, Muraki H. 1987. A novel fibrinolytic enzyme (nattokinase) in the vegetable cheese natto: a typical and popular soybean food in the Japanese diet. Experientia 43: 1110-1111. 

  4. Heo S, Lee SK, Joo HK. 1998.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fibrinolytic bacteria from Korean traditional cheonggukjang. Agric Chem Biotechnol 41: 119-124. 

  5. Yang JL, Lee SH, Song YS. 2003. Improving effect of powders of cooked soybean and cheonggukjang on blood pressure and lipid metabolism in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899-905. 

  6. Byun MW, Son JH, Yook HS, Jo C, Kim DH. 2002. Effect of gamma irradiation on the physiological activity of Korean soybean, fermented foods, Chungkookjang and Doenjang. Radiat Phys Chem 64: 245-248. 

  7. Lee HJ, Kim SI, Park JG, Park JN, Han IJ, Song BS, Kim JH, Byun MW, Lee JW. 2008. Effect of choi-cha on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sensory quality of chungkookjang (Korean fermented soybean). Korean J Food Preserv 15: 144-149. 

  8. Allagheny N, Obanu ZA, Campbell-Platt G, Owens JD. 1996. Control of ammonia formation during Bacillus subtilis fermentation of legumes. Int J Food Microbiol 29: 321-333. 

  9. Choi SH, Ji YA. 1989. Changes in flavor of chungkookjang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1: 229-234. 

  10. Kim DH, Lim DW, Bai S, Chun SB. 1997.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whole soybean meju model system inoculated four Bacillus strains.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1006-1015. 

  11. Larroche C, Besson I, Gros JB. 1999. High pyrazine production by Bacillus subtilis in solid substrate fermentation on ground soybeans. Process Biochem 34: 667-674. 

  12. Lee SW. 1992. Research on ancient Korea dietary life history in the East Asia. Hyangmoonsa, Seoul, Korea. p 122. 

  13. Yoon WB, Kim BY, Shin DH. 1997. Viscosity and dynamic rheological properties of Job's-tears as a function of moisture content.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932-938. 

  14. Jin KD. 1975. Studies on coix ma-yuen roman. J Korean Pharm Sci 5: 307-311. 

  15. Chung BS, Suzuki H, Hayakawa S, Kim JH, Nishizaawa Y. 1988. Studied on the plasma cholesterol-lowing component in Coix. J Japan Food Technol 35: 618. 

  16. Park YJ, Lee YS. 1988. Effect of coix on plasma cholesterol and lipid metabolism in rats. Korean J Nutr 21: 88-98. 

  17. Lee JE, Suh MH, Lee HG, Yang CB. 2002. Characteristics of Job's tear gruel by various mixing ratio, particle size and soaking time of Job's tear and rice flour.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8: 193-199. 

  18. AOAC. 198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p 211-260. 

  19. Lee BY, Kim DM, Kim KH. 1991.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viscous substance extracted from chungkookjang. Korean J Food Sci Technol 23: 599-604. 

  20. Korean Food Standards Codex. 2009.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85th ed.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Korea. p 324-325. 

  21. Hacker LR, Steinkraus KH, Van Buren JP, Hand DB. 1964. Studies on the utilization of tempeh protein by weanling rats. J Nutr 82: 452-456. 

  22. In JP, Lee SK. 2004. Effect of yucca (Yucca shidigera) extract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ungkookjang using Bacillus subtilis p01.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7: 176-181. 

  23. Kim DH, Yook HS, Youn KC, Cha BS, Kim JO, Byun MW. 2000. Changes of microbiological and general quality characteristics of gamma irradiated Chungkukjang.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896-901. 

  24. Kim JS, Yoo SM, Choe JS, Park HJ, Hong SP, Chang CM. 1998.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raditional chonggugjang produced in different regions. Agric Chem Biotechnol 41: 377-383. 

  25. Lee MY, Park SY, Jung KO, Park KY, Kim SD. 2005. Quality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cheonggukjang prepared with various Bacillus sp. isolated from traditional cheonggukjang. J Food Sci 70: 191-196. 

  26. Park SI. 2006. Preparation of Natto (unripe Chungkukjang) using small soybeans and Bacillus subtilis KCCM 11315. Korean J Culinary Res 12: 225-235. 

  27. Park MO, Choi WY, Lim JY. 1994.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olyglutamate-producing bacterium Bacillus sp. CL II62. Proceedings of '94 international symposium on agricultural biotechnology. The Korean Society for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Suwon, Korea. p 149. 

  28. Lee YL, Kim SH, Choung NH, Yim MH. 1992. A study on the production of viscous substance during the Chungkookjang fermentation. J Korean Agric Chem Soc 35: 202-209. 

  29. Shin JA, Lee KT. 2003. The identification of blended sesame oils by electronic nose.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648-652. 

  30. Fors S. 1983. Sensory properties of volatile Maillard reaction products and related compounds: A literature review. In The Maillard Reaction in Foods and Nutrition. Waller GR, Feather MS, eds. American Chemical Society, Washington, DC, USA. p 185-286. 

  31. Bock JY. 1993. Changes in chemical composition of steamed soybean during fermentation and in alkylpyrazines during aging of chunggugjang. PhD Dissertation. Chung-Ang University, Seoul, Korea. 

  32. Kim HW, Lee YK, Shim GS, Chang YK. 1998. Identification of off-flavor in sea mustard and rice syrup sold in the marke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728-73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