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케피어그레인으로 제조한 요쿠르트로부터 Enterococcus faecalis OA18 균주의 분리 및 특성규명
Isolation,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Ornithine-Producing Enterococcus faecalis OA18 from Kefir Grain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 미생물학회지, v.47 no.3, 2011년, pp.218 - 224  

유진주 (우석대학교 대학원 생명공학과) ,  김수곤 (우석대학교 대학원 생명공학과) ,  서경원 (우석대학교 대학원 생명공학과) ,  오석흥 (우석대학교 대학원 생명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케피어그레인을 이용하여 제조한 요쿠르트로부터 젖산균 OA18을 분리하여 그 특성을 조사하였다. 분리된 균주는 그람양성, 구균이었으며, 혐기적 조건에서 이산화탄소를 생성하였다. 균주는 MRS 배지에서 $30-37^{\circ}C$ 온도 범위와 pH 7.0-9.0범위에서 잘 자랐으며, 성장을 위한 최적 온도와 pH는 각각 $37^{\circ}C$와 pH 7.0이었다. 분리된 젖산균은 리보오스, D-글루코오스, cellobiose, D-trehalose 등을 분해하여 산을 생성하였고, L-xylose, D-melibiose, inositol은 분해하지 못하였다. 16S rRNA gene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OA18 균주는 유전자은행(NCBI)에 등재되어 있는 Enterococcus faecalis (AB012212)의 염기서열과 99.8% 동질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생화학적 특성과 염기서열 분석 결과를 토대로 분리된 균주를 Enterococcus faecalis OA18로 명명하였다. E. faecalis OA18균주는 오르니틴 생성능력과 Streptomyces coelicolor subsp. Flavus, S. coeruleorubidus, S. coeruleoaurantiacus, S. coelicolor, S. coeruleoprunus 대한 항균 활성을 보유하고 있었으며, 0-7% NaCl을 함유하는 MRS 배지에서 증식이 가능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Lactic acid bacteria (LAB) OA18 was isolated from yogurt prepared by using Kefir Grain as a starter. The OA18 strain was a Gram-positive, cocci-type bacterium, and able to grow anaerobically with $CO_2$ production. The OA18 strain grew well on MRS broth supplemented with 50 mM arginine 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식용 식품자원인 티벳버섯으로부터 오르니틴 생성능력이 있는 젖산균 Enterococcus faecalis OA18를 분리하여 특성을 조사함으로써 티벳버섯 유래 젖산균의 정보를 파악하고, 그 활용 가능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 faecalis strain의 투여가 diarrhea를 경감시키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chicken/pig/cattle의 설사를 줄이기 위한 probiotics로 사용되기도 하였다(10). 본 연구에서는 케피어그레인으로 제조한 요쿠르트로부터 E. faecalis OA18를 분리하여 동정하고 ornithine 생산능, 항균능 등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E.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면 티벳버섯은 어떤 형태로 되어 있는가? 티벳버섯은 일명 케피어그레인(Kefir Grain)이라고도 하며, 전자현미경으로 살펴보면 원형의 다당류 집락에 골이 파여 있고, 이곳에 주요 종균들이 분포되어 있는 형태를 하고 있다. Kefir Grain에 함유되어 있는 미생물로는 Lactobacillus caucasium, Lactococcus lactis ssp.
케피어는 어디서 유래되었는가? 코카시안(Caucasian) 산악지대에서 유래된 것으로 알려진 케피어(Kefir)는 Kefir Grain으로 발효를 시켜서 만드는데 산과 알코올 발효가 함께 일어나서 발효가 끝나면 0.6-0.
케피어그레인에 함유되어 있는 미생물로는 무엇이 있는가? 티벳버섯은 일명 케피어그레인(Kefir Grain)이라고도 하며, 전자현미경으로 살펴보면 원형의 다당류 집락에 골이 파여 있고, 이곳에 주요 종균들이 분포되어 있는 형태를 하고 있다. Kefir Grain에 함유되어 있는 미생물로는 Lactobacillus caucasium, Lactococcus lactis ssp. lactis, Streptococcus salivarius subsp. thermophilus 등의 젖산균과 Torula keffir와 Saccharomyces kefi 등의 효모가 주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3, 14, 15, 2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Arena, M.E., F.M. Saguir, M.C. Manca, and M. Nadra. 1999. Arginine, citrulline and ornithine metabolism by lactic acid bacteria from wine. Int'l. J. Food Microbiol. 52, 155-161. 

  2. Baum, G., L.Y. Simcha, Y. Fridmann, T. Arazi, H. Katsnelson, and M. Zik. 1996. Calmodulin binding to glutamate decarboxylase is required for regulation and GABA metabolism and normal development in plants. EMBO J. 15, 2988-2996. 

  3. Behr, J., M.G. Ganzle, and R.F. Vogel. 2006. Characterization of a highly hop-resistant Lactobacillus brevis strain lacking hop transport. Appl. Environ. Microbiol. 72, 6483-6492. 

  4. Davidson, P.M. and M.E. Parish. 1989. Method for testing the efficacy of food antimicrobials. Food Technol. 43, 148-155. 

  5. Demain, A.L. 1988. Contribution of genetics to the production and discovery of microbial pharmaceuticals. Pure Appl. Chem. 60, 833-836. 

  6. Du Toit, M., C.M. Franz, L.M. Dicks, and W.H. Holzapfel. 2000. Preliminary characterization of bacteriocins produced by Enterococcus faecium and Enterococcus faecalis isolated from pig faeces. J. Appl. Microbiol. 88, 482-494. 

  7. Eguchi, T., K. Kaminaka, J. Shima, S. Kawamoto, K. Mori, S.H. Choi, K. Doi, S. Ohmomo, and S. Ogata. 2001.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enterocin SE-K4 produced by thermophilic enterococci, Enterococcus faecalis K-4. Biosci. Biotechnol. Biochem. 65, 247-253. 

  8. Evain-Brion, D., M. Donnadieu, M. Roger, and J. Job. 1982. Simultaneous study of somatotrophic and corticotrophic pituitary secretions during ornithine infusion test. Clin. Endocrinol. 17, 119-122. 

  9. Garrote, G.L., A.G. Abraham, and G.L. De Antoni. 1998. Characteristics of kefir prepared with different grain: milk ratios. J. Dairy Res. 65, 149-154. 

  10. Gilmore, M.S., D.B. Clewell, P. Courvalin, G.M. Dunny, B.E. Murray, and L.B. Rice. 2002. Nonhuman reservoirs of Enterococci, pp. 56-100. In M.S. Gilmore (ed.), The Enterococci: pathogenesis, molecular biology, and antibiotic resistance, American Society for Microbiology Press, Washington, DC, USA. 

  11. Jang, S.H. 2011. Control of Listeria monocytogenes on smoked salmon by antimicrobial effect of lactic acid bacteria. Food Industry Nutr. 16, 1-4. 

  12. Jeevanandam, M., N.I. Holaday, and S.R. Petersen. 1996. Ornithine $\alpha$ -ketoglutarate (OKG) supplementation is more effective than its component salts in traumatized rats. J. Nutrition 126, 2141-2150. 

  13. Jeong, K.H., J.H. Choi, J.M. Lee, J.H. Lee, S.Y. Jang, and Y.J. Jeong. 2002. Fermentation characteristic of kefir beverage added fruit juice. Food Ind. Nutrition 7, 35-38. 

  14. Kandler, O. and P. Kunath. 1983. Lactobacillus kefir sp., component of microflora of kefir. Syst. Appl. Microbiol. 4, 286-294. 

  15. Kemp, N. 1984. Kefir, the champagne of cultured dairy products. Cultured Dairy Products J. 19, 29-30. 

  16. Kim, M.J. 2010.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kimchi using lactic acid bacteria having GABA and ornithine producing capacity and its some functional properties. MS thesis, Chonbuk Nat'l. Univ., Jeonju. 

  17. Kim, J.Y., J.A. Lee, K.L. Kim, W.J. Yoon, W.J. Lee, and S.Y. Park. 2007.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Sargassum muticum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663-669. 

  18. Kim, D.S., S.K. Park, H.S. Kwak, and K.W. Lee. 1994. Isolation,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lactose non-fermenting yeast from kefir cultures. Korean J. Food Sci. Resour. 14, 175-178. 

  19. Lee, J.S., K.C. Lee, J.S. Ahn, T.I. Mheen, Y.R. Byun, and Y.H. Park. 2002. Weissella. koreensis sp. nov., isolated from kimchi. Int. J. Syst. Evol. Microbiol. 52, 1257-1261. 

  20. Lim, S.M. 2005. Synergistic effect of physico-chemical treatment and bacteriocin produced by Enterococcus faecium MJ-14. J. Fd. Hyg. Safety 20, 217-224. 

  21. Lim, Y.S., S.Y. Kim, and S.K. Lee. 2008. Characteristics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efir made of goat milk.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8, 82-90. 

  22. Liu, S.Q., R. Holland, and V.L. Crow. 2003. The potential of dairy lactic acid bacteria to metabolise amino acids via non-transaminating reactions and endogenous transamination. Int. J. Food Microbiol. 86, 257-269. 

  23. Muting, D. and J.F. Kalk. 1992. Long-term effectiveness of highdosed ornithine-aspartate on urea synthesis rate and portal hypertension in human liver cirrhosis. Amino Acids 3, 147-153. 

  24. Nam, H.R., M.S. Ha, E.J. Lee, and Y.H. Lee. 2002. Effect of Enterococcus faecalis strain PL9003 on adherence and growth of Helicobacter pylori. J. Microbiol. Biotechnol. 12, 746-752. 

  25. Park, K.B. and S.H. Oh. 2006.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Lactobacillus buchneri strains with high $\gamma-aminobutyric $ acid producing capacity from naturally aged cheese. Food Sci. Biotechnol. 15, 86-90. 

  26. Sabia, C., S. Niederhausern, P. Messi, G. Manicardi, and M. Bondi. 2003. Bacteriocin-producing Enterococcus casseliflavus IM 416K1, a natural antagonist for control of Listeria monocytogenes in Italian sausages ("cacciatore"). Int. J. Food Microbiol. 87, 173-179. 

  27. Sharpe, M.E., T.F. Fryer, and D.G. Smith. 1996. Identific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pp. 65-79. In B.M. Gibbs and F.A. Skinner (eds.). Identification Methods for Microbiologists: part A. Academic Press, Inc., New York, USA. 

  28. Shi, H.P., R.S. Fishel, D.T. Efron, J.Z. Williams, M.H. Fishel, and A. Barbul. 2002. Effect of supplemental ornithine on wound healing. J. Surgical Res. 106, 299-302. 

  29. Uchisawa, H., A. Sato, J. Ichita, H. Matsue, and T. Ono. 2004. Influence of low-temperature processing of the brackish water bivalve, Corbicula japonica, on the ornithine content of its extract. Biosci. Biotechnol. Biochem. 68, 1228-1234. 

  30. Wolpert, M., B. Gust, B. Kammerer, and L. Heide. 2007. Effects of deletions of mbtH-like genes on clorobiocin biosynthesis in Streptomyces coelicolor. Microbiology 153, 1413-1423. 

  31. Yu, J.J. and S.H. Oh. 2010.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strains with ornithine producing capacity from natural sea salt. J. Microbiol. 48, 467-472. 

  32. Yu, J.J., H.J. Park, S.G. Kim, and S.H. Oh. 2009. Isolation,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Weissella strains with high ornithine producing capacity from kimchi. Korean J. Microbiol. 45, 339-34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