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산지역 해안매립지의 복토높이에 따른 토양화학성, 수목 고사율 및 생장 특성

Soil Chemical Property, Mortality Rates and Growth of Planting Trees from Soil Covering Depths in Coastal Reclaimed Land of Asan Area

韓國土壤肥料學會誌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 fertilizer, v.44 no.3, 2011년, pp.502 - 509  

변재경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복원연구과) ,  김춘식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임채철 (한국토지주택공사) ,  정진현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복원연구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해안매립지에서 식재지반 조성을 위한 복토높이에 따른 토양의 채취, 운반 및 매립에 소요되는 비용이 매우 큰 차이가 있기 때문에 수목의 정상생육이 가능한 적정 복토높이를 구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아산국가산업단지에서 해송, 화백, 느티나무 및 상수리나무에 대하여 복토처리별 (대조구, 0.5 m, 1.0 m, 1.5 m, 2.0 m 복토구) 로 식재 후 2년 6개월 경과한 후 토양화학성, 수목 고사율, 수고 및 근원경 생장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토양화학성은 복토높이가 낮을수록 pH, EC, 염기총량 및 염기포화도가 높아지고 $K^+$, $Na^+$, $Ca^{2+}$, $Mg^{2+}$, $Cl^-$ 등 염류함량이 증가하였다. 특히 1 m 복토구 이하에서 이들 화학성분의 농도가 높아져, 수목의 고사율 및 생장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수목 고사율은 복토높이가 높을수록 낮아지는 경향이 있었으며, 1.5 m 복토구 미만에서 고사율이 급격히 증가하였다. 수고와 근원경 생장은 복토처리가 높을수록 양호하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었다. 수고생장은 해송의 경우 0.5 m 복토구와 나머지 3개 처리 간에 유의적인 생장차이가 있었으며 화백, 느티나무, 상수리나무는 1.5 m 복토구 미만에서 유의적인 생장차가 있었다. 근원경의 경우 식재수종 모두 복토높이가 높을수록 생장이 양호하였으며 1.5 m 복토구와 2.0 m 복토구 간 생장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해안매립지의 복토높이에 따른 고사율 및 생육특성은 식재수종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해송의 경우 1 m 이내의 복토도 가능한 반면에 화백, 느티나무 및 상수리나무는 1.5 m 이상 복토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t is important to determine optimum soil covering depths for tree survival and growth because soil covering depths for establishing tree planting bases in coastal reclaimed lands are related to the costs for soil collection, transportation and land reclamation.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ca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해안매립지에서 정상적인 수목생장을 위한 최적 복토높이의 구명을 위해 경기도 평택시 포승면 내기리 일대 아산국가산업단지 포승지구를 대상으로 복토높이에 따른 토양 화학성 변화와 임해매립지에 주로 식재되는 해송, 화백, 느티나무, 상수리나무의 생장특성의 구명을 위해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해안매립지에 식재한 수목의 상태가 불량한 이유는 무엇인가? 이들 해안매립지에는 근린공원, 어린이공원 및 가로수 등을 조성하고 녹지공간의 확장을 위해 많은 수목이 식재되고 있다. 그러나 해안매립지는 수목생장에 불리한 토양의 이화학적 성질, 염분피해, 해풍, 각종 병충해, 수종선정 오류, 이식에 따른 스트레스, 이식시기 및 식재기술상의 문제점 등 여러 요인에 의해 식재한 수목이 고사하거나 생육이 매우 불량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Choi, 1988; Choi et al, 2000; Kim, 2001; Koo et al., 1999).
복토높이별 수고생장 및 근원경 차이는 무엇때문에 발생하는가? 0 m 복토구 간 생장차이가 없었다. 이와 같이 복토높이에 따른 근원경 및 수고생장의 차는 토양 내 염분함량이 식재수목의 생육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Allen, 1994; Niknam and McComb, 2000). 예를 들면 토양내 과도한 염분함량은 양분흡수를 담당하는 세근의뿌리로부터 탈수 (dehydration)를 증가하여 뿌리손상에 따른 수분과 양분흡수가 저해되고 (Madsen and Mulligan, 2006; Storey, 1995) 엽에서는 부분적인 기공폐쇄와 함께 이산화탄소의 흡수가 감소되어 광합성 효율 감소에 의한 생장 저하 (Pallardy, 2008)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해안매립지를 조성하는 방법은 무엇이 있는가? , 2000). 해안매립지를 조성하는 방법은 바다에 방조제를 쌓고 그 안에 인근의 산림지역에서 채취한 흙으로 매립하거나, 바다 속의 모래나 갯벌을 펌프로 끌어 올려 매립하는 두 가지 방식을 취하고 있다 (Byun, 1997; Choi et al, 2000; Kim, 2001). 이들 해안매립지에는 근린공원, 어린이공원 및 가로수 등을 조성하고 녹지공간의 확장을 위해 많은 수목이 식재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Allen, J.A., J.L. Chambers, and M. Stine. 1994. Prospects for increasing that salt tolerance of forest trees: a review. Tree Physio. 14:843-853. 

  2. Byun, J.K. 1997. Rooting rate of each tree species planted in coastal reclaimed areas - In Gunsan National Industrial Complex-.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78:31-34. 

  3. Choi, K., J.K. Byun et al. 2000. Restoration and management of forest in environmentally damaged areas - soil management and planting technology development in coastal reclaimed areas-. pp. 119-278. MIFAFF (in Korean). 

  4. Choi, M.K. 1988. Characteristics of salt tolerance in woody species. p.53, Ph. D. Thesi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hunchon, Korea. 

  5. Dunn, G.M., D.W. Taylor, M.R. Nester, and T.B. Beetson. 1994. Performance of twelve selected Australian tree species on a saline site southeast Queensland. For. Ecol. Manage. 70:255-264. 

  6. Forest Research Institute, 1992. An illustrated guide to Korean Tree. p. 562. Seoul, in Korean. 

  7. Honma, T. 1973. A study for landscape planting in the reclaimed seaside areas by sand pump. Ph.D.Thesis, The University of Tokyo (in Japanese). 

  8. Jeoung, J.H., K.S. Koo, C.H. Lee, and C.S. Kim. 2002.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orean forest soils by regions. Korean J. Soil. Sci. Fert. 91(6):694-700. 

  9. Kim, D.K. 2001.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oils at the ground of landscape planting in reclaimed land from the s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Environmental Restoration and Revegetation Tecnolog. 4(4):12-18. 

  10. Kodaira, T., K. Aonuma, and K. Sano. 1984. An investigation for the factor of hindering growth and for the condition on growth of Japanese black pine planted forest on reclaimed land of chiba makuhari residential area, Bulletin of the Chiba Prefectural Forestry Technology Center 4:63-69 (in Japanese). 

  11. Koo, B.H., J.S. Kang, and K.S. Jang. 1999. A study of soil characteristics in coastal reclaimed areas for planting Ground Treatment.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and Ecology 13(1):89-95 (in Korea). 

  12. Loveland, P.J. 1990. Electrical Conductivity-Salts and Soils. Landscape Design. pp. 189. 

  13. Madsen, P.A. and D.R. Mulligan. 2006. Effect of NaCl on emergence and growth of a range of provenances of Eucalyptus citriodora, Eucalyptus populnea, Eucalyptus camaldulensis and Acacia salicina. For. Ecol. Manage. 228: 151-159. 

  14. Nakajima, Y. 1992. Planting design, build, management. Economic Research Institute (in Japanese). 

  15.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2000. Methods of soil and plants chemical analysis. NIAST. 202pp. 

  16. Niknam, S.R. and J. McComb. 2000. Salt tolerance screening of selected Ausralian woody species- a review. For. Ecol. Manage. 139:1-19. 

  17. Okazaki, M., I. Yamane, T. Kodaira. 1982. Physiochemical property of soil in reclaimed land. Japanese Society of Soil Science and Plant Nutrition. 53(3):203-208 (in Japanese). 

  18. Pallardy, S.G. 2008. Physiology of woody plants. 3rd ed. Elsevier. 454pp. 

  19. Richards, L.A. 1954. Diagnosis and improvement of saline and alkali soils. Agriculture handbook No. 60. USDA. 

  20. SAS Institute Inc. 2003. SAS/STAT Statistical software. Version 9.1. SAS publishing Cary, NC. 

  21. Storey, R. 1995. Salt tolerance, ion relation, and the effect of root medium on the response of citrus to salinity. Aus. J. of Plant Physio. 22:101-114. 

  22. Tomar, O.S., P.S. Minhas, V.K. Shrma, Y.P. Singh, and R.K. Gupta. 2003. Performance of 31 tree species and soil conditions in a plantation established with saline irrigation. For. Ecol. Manage. 177:333-346. 

  23. Yun, K.B. 1989. Landscape planting and design. pp. 319. Ilchokak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보고서와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