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Lactobacillus plantarum 발효 식물추출물질(MBN)의 in vitro 및 in vivo 발모 효과
In vitro and In vivo Hair Growth Promotion Effects of Lactobacillus plantarum-Fermented Plant Extracts (MBN)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3 no.3, 2011년, pp.381 - 386  

주성수 (강릉원주대학교 생명과학대학 생물의약신소재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실험물질은 두피건강 및 발모에 유용한 소재를 혼합하여 열수 추출한 후 유산균에 발효시킨 2차 발효물질로서 고기능성이 예상되는 물질이다. C57BL/6 마우스의 등을 제모하고 실험물질을 처리하였을 때 암 수 모두에서 양성대조군인 minoxidil과 비교하였을 때 동등이상의 우수한 발모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수컷의 경우 200 mg/kg 이하의 농도에서 우수한 효과가 관찰되었고 암컷에서는 고용량인 500 mg/kg까지 현저한 발모효과가 관찰되어 성별 처치 용량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또한 양성대조군 minoxidil이 신속한 발모효과를 보이는 반면 털의 긁기가 감소하는 현상이 관찰되었으나 실험물질을 처리한 군에서는 제모전과 동등이상의 굵기를 유지하였다. 이러한 발모효과를 확인하기위해 모발성장관련 유전자 발현을 분석한 결과 실험물질이 KGF, VEGF 등의 모발성장촉진인자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반면 탈모를 유도하는 $TGF{\beta}1$의 발현에는 반응을 하지 않아 유용한 발모제제로서의 가능성이 입증되었다. 더불어 실험물질에 의한 NO 분비가 두피의 혈류개선을 유도하여 탈모억제효능을 나타낼 것으로 사료되어 발효생약추출물인 MBN이 모발성장 및 탈모예방제제로의 개발이 가능 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herbal extracts fermented by Lactobacillus plantarum (MBN) on hair growth in C57BL/6 mice and HaCaT cells. Five week old mice were applied with MBN topically (0.2 mL) once per for 21 days. Hair regrowth was evaluated by gross examination and verified by hematox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고 지속적 사용에도 안전한 천연 소재유래 물질의 개발이 다양하게 시도되고 있으며, 특히 식물유래 추출물의 연구가 활발히 수행되고 있다(14).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민간요법으로 두피건강 및 발모에 유용한 소재로 알려진 생약초들(박하/지모/시호/지장수/창포/ 측백나무잎/쓴풀/검은콩/검은깨)을 열수 추출한 후 유산균에 발효시킨 2차 발효물질을 사용하여 모발성장 증대 및 발모관련유전자 발현을 분석하여 유용한 발모제제로서의 가능성을 입증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동물은 자발적 탈모가 진행되는 특징을 가진 C57BL/6 마우스 모델을 사용하여 발모의 효능을(양성 대조군, 3% 미녹시딜) 육안적 관찰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 본 실험에서는 1, 10, 50 µg/mL의 용량에서 혈관의 생성을 유도해주는 물질인 VEGF 유전자 및 발모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KGF와 TGFβ1 유전자 발현을 통해 MBN의 기전적 발모 효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 반면, TGFβ1은 모발의 퇴행기 전환 시 증가되는 인자로 상피세포의 증식을 억제하고 세포사를 유도하여 일반적으로 모발의 성장을 억제하는 쪽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모발성장과 관련된 성장인자의 반응 여부를 관찰하여 MBN의 기전적 잠재성을 입증하고, 이들 성장인자의 mRNA 발현을 확인하여 동물실험에서 도출된 결과를 지지하는 기전적 배경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결과에서와 같이 MBN 처리 군에서 모발성장에 기여를 하는 KGF와 VEGF의 mRNA가 다량 발현됨을 알 수 있었고, 모발성장억제와 관련이 있는 TGFβ1의 경우 mRNA 발현 증가가 관찰되지 않았다(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모발은 무엇인가? 모발은 머리보호, 외향에 대한 영향, 머리의 온도유지 등 인체에서 다양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생명유지에 중요한 기관은 아니지만, 건강상태의 척도이자 외모를 결정짓는 신체의 중요한 일부분이다(1). 탈모가 일련의 노화현상으로 인식되어왔으나, 최근 여러 유전적인 요인과 함께 스트레스, 서구화된 식습관, 영양 불균형, 사회활동의 변화 등의 다양한 원인에 의해 탈모가 진행됨이 밝혀지고 있다(2,3).
모발은 무엇을 거치면서 성장과 탈모를 거듭하는가? 모발의 형성은 주기적으로 순환하는 패턴을 가진다. 즉, 정상모발의 90%를 차지하는 성장기(anagen, gowing phase), 생장정지와 모근이 위축되는 퇴행기(catagen, transitional phase), 모구가 건조되고 곤봉모가 되는 휴지기(telogen, resting phase), 그리고 탈락기(exogen) 등 4 단계의 모주기(hair cycle)을 거치면서 모발은 성장과 탈모를 거듭한다. 특히, 퇴행기 동안 많은 모낭이 세포사(apoptosis)가 진행되어 휴지기에 들어가면서 모낭의 크기가 줄어들게 된다(4).
탈모를 위해서 사용되는 발모제의 단점은 무엇인가? 또한, 최근 임상적 적용이 증가하고 있는 피나스테리드제제는 남성호르몬 대사에 작용하는 효소인 5α-reductase의 활성을 억제시키는 물질로서 이 제제 또한 전립선 비대증 치료제 개발로부터 유래된 탈모 억제 제제로 사용되고 있다(11). 하지만 발모제의 임상사례로부터 약물 이상반응(미녹시딜-체중증가, 부종, 심강박동 증가, 협심증, 피부염, 가려움증 등; 피나스테리드-남성 성기능 장애, 기형아 출산 등)이 보고되고 있어 적극적 치료에 상당한 제한성을 가지고 있다(12,13).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고 지속적 사용에도 안전한 천연 소재유래 물질의 개발이 다양하게 시도되고 있으며, 특히 식물유래 추출물의 연구가 활발히 수행되고 있다(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Stenn KS. Molecular insights into the hair follicle and its pathology: A review of recent developments. Int. J. Dermatol. 42: 40- 43 (2003) 

  2. Trueb RM. Molecular mechanisms of androgenic alopecia. Exp. Gerontol. 37: 981-990 (2002) 

  3. Peters EMJ, Arck PC, Paus R. Hair growth inhibition by psychoemotional stress: A mouse model for neural mechanisms in hairgrowth control. Exp. Dermatol. 15: 1-13 (2006) 

  4. Buhl AE, Waldon DJ, Miller BF, Brunden MN. Differences in activity of minoxidil and cyclosporin A on hair growth in nude and normal mice. Lab. Invest. 62: 104-107 (1990) 

  5. Cotsarelis G, Millar SE. Towards a molecular understanding of hair loss and its treatment. Trends Mol. Med. 7: 293-301 (2001) 

  6. Olsen EA. Current and novel methods for assessing efficacy of hair growth promoters in pattern hair loss. J. Am. Acad. Dermatol. 48: 253-262 (2003) 

  7. Skalnaya MG, Tkahev VP. Trace elements content and hormonal profiles n women with androgenic alopecia. J. Trace Elem. Med. Bio. 24: in press (2010) 

  8. Messenger AG, Rundegren J. Minoxydil: Mechanisms of actionon hair growth. Brit. J. Dermatol. 150: 186-194 (2004) 

  9. Burton JL, Marshall A. Hypertrichoasis due to minoxidil. Brit. J. Dermatol. 101: 593-595 (1979) 

  10. Meissheri KD, Cipkus LA, Tayor CJ. Mechanism of action of minoxidil sulfate-induced vasodilation: A role for incerased K+ permeability. J. Pharmacol. Exp. Ther. 245: 751-760 (1988) 

  11. Drake L, Hordinsky M, Fiedler V, Swinehart J, Unger WP, Cotterill PC, Thiboutot DM, Lowe N, Jacobson C, Whiting D, Stieglitz S, Kraus SJ, Griffin EI, Weiss D, Carrington P, Gencheff C, Cole GW, Pariser DM, Epstein ES, Tanaka W, Dallob A, Vandormael K, Geissler L, Waldstreicher J. The effects of finasteride on scalp skin and serum androgen levels in men with androgenetic alopecia. J. Am. Acad. Dermatol. 41: 550-554 (1999) 

  12. McClellan KJ, Markhan A. Finasteride: A review of its use in male pattern hair loss. Drugs 57: 111-126 (1999) 

  13. Hagemann T, Schlutter-Bohmer B, Allam JP, Bieber T, Novak N. Positive lymphocyte transformation test in a patient with allergic contact dermatitis of the scalp after short-term use of topical minoxidil solution. Contact Dermatitis 53: 53-55 (2005) 

  14. Rho SS, Park SJ, Hwang SL, Lee MH, Kim CD, Lee IH, Chang SY, Rang MJ. The hair growth promoting effect of Asiasari radix extract and its molecular regulation. J. Dermatol. Sci. 38: 89-97 (2005) 

  15. Buhl AE, Waldon DJ, Baker CA, Johnson GA. Minoxidil sulfate is the active metabolite that stimulates hair follicles. J. Invest. Dermatol. 95: 553-557 (1990) 

  16. Tsuboi R, Sa C, Kurita Y, Ron D, Rubin JS, Ogawa H. Keratinocyte growth factor (FGF-7) stimulates migration and plasminogen activator activity of normal human keratinocytes. J. Invest. Dermatol. 1: 49-53 (1993) 

  17. Ozeki M, Tabata Y. In vivo promoted growth of mice hair follicles by the controlled release of growth factors. Biomaterials 24: 2387-2394 (2003) 

  18. Dulak J. Nutraceuticals as anti-angiogenic agents: Hopes and reality. J. Physiol. Pharmacol. 1: 51-67 (2005) 

  19. Boushel R. Metabolic control of muscle blood flow during exercise in humans. Can. J. Appl. Physiol. 28: 754-73 (200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