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려사" 예지(禮志)의 복식사적 검토
Historiographical Study of Costume Depicted in the "Ye-Ji(禮志)" Section of the Book "Goryosa(高麗史)" 원문보기

服飾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61 no.4, 2011년, pp.52 - 62  

이승해 (이화여자대학교 의류학과) ,  홍나영 (이화여자대학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about the history of costumes depicted on the book Goryosa(高麗史) Ye-Ji(禮志). Researches about the costumes of Goryo dynasty are very rare and are mostly based on Goryodogyung(高麗圖經) and Goryosa Yebok-Ji(與服志). However, records about suitable costumes for a special scene of a rite can also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고려사』​​​​​​​ 예지를 복식사적 관점에서 검토하고자 하였던 이유는 지금까지는 예지가 의례적 관점에서만 주로 분석이 되었지만 복식사적 관점에서 보더라도 복식사 연구에 훌륭한 사료가 될 수 있다는 사실을 주지하고자 함이었다. 또한 본 논문이 검토의 수준이기 때문에 예지의 내용이 아직은 단순한 사실의 나열뿐일 수 있지만 앞으로 고려시대 복식이라는 전체 그림을 그릴 때는 완성도를 높일 수 있는 주요한 구성요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고려사』 복식 연구의 첫 단계로서 여복지 다음으로 복식관련기사가 가장 풍부한 예지를 인물별, 상황별로 검토하고자 한다. 인물은 왕, 종사관·시자·경위관 등의 백관, 왕태자·왕비·공주·부마 등의 왕족(王族) 및 공후백(公侯伯), 사서인·외국사신으로 나눈다.
  • 예지에 집중한 복식 연구는 김문숙1)의 예가 있는데 연구 범위를 왕의 관복으로 한정하였다. 본고에서는 왕 뿐 아니라 백관들을 비롯한 그 외 인물들까지 살펴보고자 한다. 한편, 천문, 오행, 백관 등 직접적으로 연관은 없지만 복식관련 기사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항목도 많다.
  • 38) 흑대가홍의 정확한 의미는 자료의 부족으로 알 수 없으나 조정대 등 기존에 사용하였던 흑색 대에 홍색을 임시로 덧붙이거나 장식하여 사용한 것이 아닌가 추측된다. 이는 성종과 의종대의 관복을 비교해보면 좀 더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므로 다음 연구 예정인 「고려시대 관복의 시대구분」에서 좀 더 깊이있게 논의하고자 한다. 태묘에 합사하는 의식에서 경위관인 지유, 견룡, 도지가 금의(錦衣)를 입은 것은39) 특이한 점이다.

가설 설정

  • 2) 이 때, 전후 이동시 복장은 크게 부각되지 않았는데 궁을 떠날 때는 자황포(赭黃袍)를 입고 다시 환궁할 때는 강사포(絳紗袍)를 입는다.3) 이는 이동 중 간편성 등의 이유라 생각된다. 경령전과 여러 왕릉에서의 예에서는 화포(靴袍) 차림인데4) 화포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가례에서 논의하도록 한다.
  • 상원연등회 대회일에 좌우승제, 근시관, 합문원 등이 그 예이다.63) 소회일에는 편복을 입는다.64) 중동 팔관회에서의 복식은 특별히 언급되어 있지 않으나 태조대의 기록에서 백관은 포를 입고 홀을 든다고 하였다.
  • 이름상 복두사는 관모의 소재라고 추정되는데 단위가 필이 아닌 매이므로 부드러운 옷감이라기보다는 여러 겹을 겹치는 등의 방법으로 물성이 변형된 판(板)과 비슷한 형태일 것이다.71) 옷을 만드는데 사용되었다고 추정되는 생문라와 후라도 각각 1필씩 사여되었는데 무늬가 있는 생문라가 겉감이나 겉옷감으로, 후라가 안감이나 받침옷감으로 사용되었을 것이다.72) 관모와 옷의 소요량은 재추와 3품관이 같지만 홍정피를 틀로 하는 허리띠의 장식에서는 차이가 있다.
  • 71) 옷을 만드는데 사용되었다고 추정되는 생문라와 후라도 각각 1필씩 사여되었는데 무늬가 있는 생문라가 겉감이나 겉옷감으로, 후라가 안감이나 받침옷감으로 사용되었을 것이다.72) 관모와 옷의 소요량은 재추와 3품관이 같지만 홍정피를 틀로 하는 허리띠의 장식에서는 차이가 있다. 보통 1근은 16량이므로 요대은의 경우 재추는 16량, 3품관은 12량으로 4량만큼 적고 금은 1목 5도와 1목으로 5도만큼 차이가 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옷감의 폭이 확인된다면, 고려시대 희종대 재추와 3품 이상의 관복을 재현하는데 직접적인 근거가 될 것이라 생각된 이유는? 재추와 3품관 모두 홍정피가 1요(腰)인 것으로 보아 하사한 물품은 1명분을 기준으로 한 것으로 생각된다. 이름상 복두사는 관모의 소재라고 추정되는데 단위가 필이 아닌 매이므로 부드러운 옷감이라기보다는 여러 겹을 겹치는 등의 방법으로 물성이 변형된 판(板)과 비슷한 형태일 것이다.71) 옷을 만드는데 사용되었다고 추정되는 생문라와 후라도 각각 1필씩 사여되었는데 무늬가 있는 생문라가 겉감이나 겉옷감으로, 후라가 안감이나 받침옷감으로 사용되었을 것이다.72) 관모와 옷의 소요량은 재추와 3품관이 같지만 홍정피를 틀로 하는 허리띠의 장식에서는 차이가 있다. 보통 1근은 16량이므로 요대은의 경우 재추는 16량, 3품관은 12량으로 4량만큼 적고 금은 1목 5도와 1목으로 5도만큼 차이가 난다.73) 따라서 옷감의 폭이 확인된다면, 고려시대 희종대 재추와 3품 이상의 관복을 재현하는데 직접적인 근거가 될 것이라 생각된다.
『고려사』를 지금까지 복식사학계에서는 무엇에 한정하여 연구해왔는가? 그런데 이러한 『고려사』를 지금까지 복식사학계에서는 “지(志)”, 특히 여복지(輿服志)에 한정하여 연구해왔다. 그러나 여복지뿐만 아니라 예지(禮志)에서도 복식에 관련된 풍부한 자료를 얻을 수 있다.
고려복식 연구에서 활용할 수 있는 사료는? 고려복식 연구에서 활용할 수 있는 사료는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고려도경(高麗圖經)』과 주변국가의 역사서 등이다. 『​​​​​​고려사』는 크게 세가(世家), 지(志)와 연표, 열전(列傳)으로 구분되는데, 『고려사』의 편찬시기는 조선초기이기 때문에 대의명분에 맞게, 존주사상(尊周思想)과 사대사상에 부합되도록 편찬하였을 것은 두말할 여지가 없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7)

  1. 김문숙 (2008). 고려사 예지를 통해본 고려시대 왕의 관복. 동방학, 14, pp. 161-185. 

  2. 유희경 (1980). 韓國服飾史硏究(제3 판).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p. 163. 

  3. 신서원 편 (1991). 북역 고려사, 제7책. 서울: 신서원, p. 3. 

  4. 신서원 편 (1992). 북역 고려사 (제2 개정판), 제6책. 서울: 신서원, p. 27, 38. 

  5. 신서원 편 (1992). 북역 고려사 (제2 개정판), 제6책. 서울: 신서원, p. 127. 

  6. 신서원 편 (1992). 북역 고려사 (제2 개정판), 제6책. 서울: 신서원, p. 213, 214, 216, 218. 

  7. 신서원 편 (1992). 북역 고려사 (제2 개정판), 제6책. 서울: 신서원, p. 219, 221. 

  8. 신서원 편 (1992). 북역 고려사 (제2 개정판), 제6책. 서울: 신서원, p. 218, 219. 

  9. 신서원 편 (1992). 북역 고려사 (제2 개정판), 제6책. 서울: 신서원, p. 416. 

  10. 신서원 편 (1992). 북역 고려사 (제2 개정판), 제6책. 서울: 신서원, p. 227. 

  11. 신서원 편 (1992). 북역 고려사 (제2 개정판), 제6책. 서울: 신서원, p. 226. 

  12. 신서원 편 (1992). 북역 고려사 (제2 개정판), 제6책. 서울: 신서원, p. 242. 

  13. 신서원 편 (1992). 북역 고려사 (제2 개정판), 제6책. 서울: 신서원, p. 231. 

  14. 신서원 편 (1992). 북역 고려사 (제2 개정판), 제6책. 서울: 신서원, p. 244. 

  15. 신서원 편 (1992). 북역 고려사 (제2 개정판), 제6책. 서울: 신서원, p. 249, 250. 

  16. 신서원 편 (1992). 북역 고려사 (제2 개정판), 제6책. 서울: 신서원, p. 256, 257. 

  17. 신서원 편 (1992). 북역 고려사 (제2 개정판), 제6책. 서울: 신서원, p. 263, 264. 

  18. 신서원 편 (1992). 북역 고려사 (제2 개정판), 제6책. 서울: 신서원, p. 270, 272, 286, 302. 

  19. 신서원 편 (1992). 북역 고려사 (제2 개정판), 제6책. 서울: 신서원, p. 270. 

  20. 신서원 편 (1992). 북역 고려사 (제2 개정판), 제6책. 서울: 신서원, p. 311, 334, 352, 367. 

  21. 신서원 편 (1992). 북역 고려사 (제2 개정판), 제6책. 서울: 신서원, p. 357. 

  22. 신서원 편 (1992). 북역 고려사 (제2 개정판), 제6책. 서울: 신서원, p. 330, 331, 332. 

  23. 신서원 편 (1992). 북역 고려사 (제2 개정판), 제6책. 서울: 신서원, p. 387. 

  24. 신서원 편 (1992). 북역 고려사 (제2 개정판), 제6책. 서울: 신서원, p. 399. 

  25. 신서원 편 (1992). 북역 고려사 (제2 개정판), 제6책. 서울: 신서원, p. 388, 391, 399, 400. 

  26. 신서원 편 (1992). 북역 고려사 (제2 개정판), 제6책. 서울: 신서원, p. 171. 

  27. 신서원 편 (1992). 북역 고려사 (제2 개정판), 제6책. 서울: 신서원, p. 282. 

  28. 신서원 편 (1992). 북역 고려사 (제2 개정판), 제6책. 서울: 신서원, p. 28, 66. 

  29. 신서원 편 (1992). 북역 고려사 (제2 개정판), 제6책. 서울: 신서원, p. 39. 

  30. 신서원 편 (1992). 북역 고려사 (제2 개정판), 제6책. 서울: 신서원, p. 138. 

  31. 신서원 편 (1992). 북역 고려사 (제2 개정판), 제6책. 서울: 신서원, p. 31. 

  32. 신서원 편 (1992). 북역 고려사 (제2 개정판), 제6책. 서울: 신서원, p. 22, 49, 156, 174. 

  33. 신서원 편 (1992). 북역 고려사 (제2 개정판), 제6책. 서울: 신서원, p. 131. 

  34. 신서원 편 (1992). 북역 고려사 (제2 개정판), 제6책. 서울: 신서원, p. 182. 

  35. 신서원 편 (1992). 북역 고려사 (제2 개정판), 제6책. 서울: 신서원, p. 227. 

  36. 신서원 편 (1992). 북역 고려사 (제2 개정판), 제6책. 서울: 신서원, p. 223. 

  37. 신서원 편 (1992). 북역 고려사 (제2 개정판), 제6책. 서울: 신서원, p. 239. 

  38. 신서원 편 (1992). 북역 고려사 (제2 개정판), 제6책. 서울: 신서원, p. 236. 

  39. 신서원 편 (1992). 북역 고려사 (제2 개정판), 제6책. 서울: 신서원, p. 237. 

  40. 신서원 편 (1992). 북역 고려사 (제2 개정판), 제6책. 서울: 신서원, p. 238. 

  41. 신서원 편 (1992). 북역 고려사 (제2 개정판), 제6책. 서울: 신서원, p. 238-239. 

  42. 신서원 편 (1992). 북역 고려사 (제2 개정판), 제6책. 서울: 신서원, p. 240. 

  43. 신서원 편 (1992). 북역 고려사 (제2 개정판), 제6책. 서울: 신서원, p. 242. 

  44. 신서원 편 (1992). 북역 고려사 (제2 개정판), 제6책. 서울: 신서원, p. 248. 

  45. 신서원 편 (1992). 북역 고려사 (제2 개정판), 제6책. 서울: 신서원, p. 247. 

  46. 신서원 편 (1992). 북역 고려사 (제2 개정판), 제6책. 서울: 신서원, p. 250. 

  47. 신서원 편 (1992). 북역 고려사 (제2 개정판), 제6책. 서울: 신서원, p. 257. 

  48. 신서원 편 (1992). 북역 고려사 (제2 개정판), 제6책. 서울: 신서원, p. 260, 259. 

  49. 신서원 편 (1992). 북역 고려사 (제2 개정판), 제6책. 서울: 신서원, p. 262. 

  50. 신서원 편 (1992). 북역 고려사 (제2 개정판), 제6책. 서울: 신서원, p. 263. 

  51. 신서원 편 (1992). 북역 고려사 (제2 개정판), 제6책. 서울: 신서원, p. 272, 285, 330, 331. 

  52. 신서원 편 (1992). 북역 고려사 (제2 개정판), 제6책. 서울: 신서원, p. 334. 

  53. 신서원 편 (1992). 북역 고려사 (제2 개정판), 제6책. 서울: 신서원, p. 346. 

  54. 신서원 편 (1992). 북역 고려사 (제2 개정판), 제6책. 서울: 신서원, p. 349. 

  55. 신서원 편 (1992). 북역 고려사 (제2 개정판), 제6책. 서울: 신서원, p. 265. 

  56. 신서원 편 (1992). 북역 고려사 (제2 개정판), 제6책. 서울: 신서원, p. 270. 

  57. 신서원 편 (1992). 북역 고려사 (제2 개정판), 제6책. 서울: 신서원, p. 343. 

  58. 신서원 편 (1992). 북역 고려사 (제2 개정판), 제6책. 서울: 신서원, p. 391. 

  59. 신서원 편 (1992). 북역 고려사 (제2 개정판), 제6책. 서울: 신서원, p. 387. 

  60. 신서원 편 (1992). 북역 고려사 (제2 개정판), 제6책. 서울: 신서원, p. 415. 

  61. 신서원 편 (1992). 북역 고려사 (제2 개정판), 제6책. 서울: 신서원, p. 336. 

  62. 신서원 편 (1992). 북역 고려사 (제2 개정판), 제6책. 서울: 신서원, p. 382. 

  63. 신서원 편 (1992). 북역 고려사 (제2 개정판), 제6책. 서울: 신서원, p. 363. 

  64. 신서원 편 (1992). 북역 고려사 (제2 개정판), 제6책. 서울: 신서원, p. 376. 

  65. 신서원 편 (1992). 북역 고려사 (제2 개정판), 제6책. 서울: 신서원, p. 360-361. 

  66. 신서원 편 (1992). 북역 고려사 (제2 개정판), 제6책. 서울: 신서원, p. 296. 

  67. 신서원 편 (1992). 북역 고려사 (제2 개정판), 제6책. 서울: 신서원, p. 338. 

  68. 신서원 편 (1992). 북역 고려사 (제2 개정판), 제6책. 서울: 신서원, p. 305-310. 

  69. 신서원 편 (1992). 북역 고려사 (제2 개정판), 제6책. 서울: 신서원, p. 316. 

  70. 신서원 편 (1992). 북역 고려사 (제2 개정판), 제6책. 서울: 신서원, p. 326, 328. 

  71. 신서원 편 (1992). 북역 고려사 (제2 개정판), 제6책. 서울: 신서원, p. 146. 

  72. 신서원 편 (1992). 북역 고려사 (제2 개정판), 제6책. 서울: 신서원, p. 212, 216. 

  73. 신서원 편 (1992). 북역 고려사 (제2 개정판), 제6책. 서울: 신서원, p. 219. 

  74. 신서원 편 (1992). 북역 고려사 (제2 개정판), 제6책. 서울: 신서원, p. 233-241. 

  75. 신서원 편 (1992). 북역 고려사 (제2 개정판), 제6책. 서울: 신서원, p. 250. 

  76. 신서원 편 (1992). 북역 고려사 (제2 개정판), 제6책. 서울: 신서원, p. 257, 259. 

  77. 신서원 편 (1992). 북역 고려사 (제2 개정판), 제6책. 서울: 신서원, p. 33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