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여성의 제왕절개술 영향요인에 관한 생태학적 접근

Impact Factors of Korean Women's Cesarean Section according to Ecological Approach

KJWHN :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17 no.2, 2011년, pp.109 - 117  

김현경 (이화여자대학교 건강과학대학 간호과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impact factors of cesarean section based on the ecological approach in Korea. Methods: Population-based data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were used from 2,849 delivery cases during 2003~2009. Data were analyzed using geographic statistics with ST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지역적 요인에서도 단지 지방과 수도권을 양분하여 분석하는 것이 아니라 세분화된 지역 영향요인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제왕절개술을 선택한 이유, 권유자에 관한 종적인 분석이 간호중재에 어떠한 시사점을 주는지 살펴볼 수 있다. 이러한 요인의 확인은 모성분야의 임상간호사가 임부를 사정하고 상담, 교육, 중재하는 데에 직접적인 도움을 줄 수 있으며, 국가 정책의 참고 자료로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는 2003년, 2006년, 2009년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전국출산력 및 가족보건복지 실태조사 국가자료로 한국 여성의 높은 제왕절개율을 생태학적으로 설명하였다. 제왕절개율의 지역적 분포가 28.
  • 61)가 제왕절개술 선택을 예측하였다. 본 연구는 개인적 건강의 마이크로 수준보다는 사회적 건강의 매크로 수준으로 생태학적 접근을 함으로서, 한국 여성의 높은 제왕절개율의 복잡하고 다차원적 요인을 분석하는데 기여 하였다. 또한 연구의 결과에서 시사하는 바와 같이 간호사는 여성의 정상 분만을 돕기 위해 산전, 분만 중 지지, 상담, 교육의 역할을 담당하여야 할 것이다.
  • 본 연구는 생태학적 접근을 통해 지리적 위치의 영향에 의해 제왕절개율이 다른 분포를 보이고 있음을 가시화 하였다. 제왕절개율이 최저 28.
  • 본 연구는 한국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하여 제왕절개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McLeroy, Bibeau, Steckler와 Glanz(1988)의 생태학적 모형으로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Figure 1).
  • 본 연구는 한국 여성이 제왕절개율이 높은 요인을 여성 개인의 측면 뿐 아니라 그를 둘러싼 환경적 측면까지 위계 적으로 분석하였다는 특징이 있다. 앞으로 높은 불임율, 저출산 등의 한국의 사회건강 이슈를 분석하는 데에 매크로 수준의 생태학적인 접근법이 널리 사용되었으면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여성의 제왕절개술 분만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생태학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제왕절개술이란? 15명인 저 출산 국가 상황에서나 한 가족의 삶의 질 측면에서도 출산은 안전하고 건강하게 이루어져야 한다(Korea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11). 제왕절개술은 생명을 보존하고 산모와 태아의 안녕을 도모하기 위하여 산부의 복벽과 자궁벽을 절개 하여 분만하는 외과적 수술이다(Lee et al., 2010).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파악한 제왕절개술의 4대 이유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파악한 제왕절개술의 4대 이유는 제왕절개술의 기왕력, 아두 골반 불균형, 태아위치 이상, 태아 곤란증이었다(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2011). 본 연구에서는 제왕절개술의 이유가 ‘전치태반, 아두 골반 불균형, 임신중독증의 모측 요인’, ‘첫 아이를 제왕절개술 했기 때문에’, ‘태아측 요인’, ‘조기 파수’, ‘정상 분만에 대한 두려움’의 순으로 나타났다.
출산에서 제왕절개술에 대한 고려를 신중하게 해야 하는 이유는? , 2010). 제왕절개술의 안전성이 증가하고는 있지만 정상 분만에 비해 모체 사망률이 2~10배에 이르고, 모아접촉 지연, 감염, 통증, 재원일수 증가, 신생아 사망률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적응증을 고려하여 신중하게 이루어져야 한다(Collard, Diallo, Habinsky, Hentschell, & Vezeau, 2008; Lee et al.,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hn, H. S. (2000). Cesarean section: We need a count measure.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6 , 32-33. 

  2. Bakker, R., Steegers, E. A. P., Biharie, A. A., Mackenbach, J. P., Hofman, A., & Jaddoe, V. W. V. (2011). Explaining differences in birth outcomes in relation to maternal age: The generation R study. An International Journal of Gynaecology and Obstetrics, 118 (4), 500-509. 

  3. Bronfenbrenner, U. (1979). The Ecology of human development: Experiments by nature and design.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4. Bujold, E., Hammoud, A. O., Hendler, I., Berman, S., Blackwell, S. C., Duperron, L., et al. (2004). Trial of labor in patients with a previous cesarean section: Does maternal age influence the outcome? Americ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190 (4), 1113-1118. 

  5. Cesaroni, G., Forastiere, F., & Perucci, C. A. (2008). Are cesarean deliveries more likely for poorly educated parents? A brief report from Italy. Birth, 35 (3), 242-244. 

  6. Chhabra, P., Sharma, A. K., & Tupil, K. A. (2006). Obstetric and neonatal outcomes in women who live in an urban resettlement area of Delhi, India: A cohort study.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aecology Research, 32 (6), 567-573. 

  7. Chung, J. J. (2006). Cesarean section and women's health. Gender Review, 2, 42-48. 

  8. Chung, J. J. (2008). Causes of increasing rate of C-section and desirable birth environment perceived by women with C-section. Women's Health, 9 (1), 57-85. 

  9. Churchill, H., & Francome, C. (2009). British midwive's views on rising cesarean section. British Journal of Midwifery, 17 (12), 774-778. 

  10. Collard, T. D., Diallo, H., Habinsky, A., Hentschell, C., & Vezeau, T. M. (2008). Elective cesarean section: Why women choose it and what nurses need to know. Nursing for Women's Health, 12 (6), 480-498. 

  11.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2011). Evaluation of appropriateness of cesarean section rate. Retrieved February 13, 2011, from http://www.hira.or.kr 

  12. Hwang, J. Y. (2003). A clinical study of pregnancy and delivery in pregnant women 35 year and older. The Dongguk Journal of Medicine, 10 (2), 289-306. 

  13. Hyunh, T., & Alderson, M. (2009). Concept analysis of human ecology. Nursing Forum, 44 (2), 115-128. 

  14. Jo, Y. B. (2010). Impact of hospital market competition on cesarean section rate.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15. Kim, Y. M., & Ko, S. K. (2002). Factors determining cesarean section frequency rates of the OBGY clinics in metropolitan area.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8 (3), 389-401. 

  16.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1). Korean health and welfare information. Retrieved February 11, 2011, from http://www.kihasa.re.kr 

  17. Korea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11). Census of population trends. Retrieved February 11, 2011, from http://www.kosis.kr 

  18. Lee, K. H., Lee, Y. S., Ko, M. S., Kim, H. J., Park, N. J., Park, Y. J., et al. (2010). Maternity & women 's health nursing (2nd ed.). Seoul: Hyunmoonsa. 

  19. Lee, K. Y. (2003). Suggestion for reducing cesarean section rate. The Korean Association of Obstetricians and Gynecologists Symposium, 89 , 74-79. 

  20. Logsdon, M. C., & Gennaro, S. (2005). Bioecological model for guiding social support research and interventions with pregnant adolescents. Issues in Mental Health Nursing, 26 (3), 327-339. 

  21. McLeroy, K. R., Bibeau, D., Steckler, A., & Glanz, K. (1988). An ecological perspective on health promotion program. Health Education Quarterly, 15 , 351-377. 

  22. Menaker, F., MacDorman, M. F., & Declercq, E. (2010). Neonatal mortality risk for repeat cesarean compared to vaginal birth after cesarean (VBAC) deliveries in the United States, 1998-2002 birth cohorts. Maternal and Child Health Journal, 14 (2), 147-154. 

  23. Novilla, M. L. B., Barnes, M. D., De La Cruz, N. G., & Williams, P. N. (2006). Public health perspectives on the family: An ecological approach to promoting health in the family and community. Family & Community Health, 29 (1), 28-42. 

  24. Seo, K. (2003). Actual condition and trend of cesarean section rate. The Korean Association of Obstetricians and Gynecologists Symposium, 89 , 59-63. 

  25. Tschudin, S., Alder, J., Hendriksen, S., Bitzer, J., Popp, K. A., Zanetti, R., et al. (2009). Pregnant women's perception of cesarean section on demand. Journal of Perinatal Medicine, 37 (3), 251-256. 

  26. Vecino-Ortiz, A. I., Bardey, D., & Castano-Yepes, R. (2009). Small-area variation in health care affecting the choice of cesarean delivery: The case of a Colombian health insurer. Serie Documentos de Trabajo, 73 (1), 1-23. 

  27. Wilcox, P. (2003). An ecological approach to understanding youth smoking trajectories: Problems and prospects. Addiction, 98 (1), 57-77. 

  28. World Health Organization (1985). Appropriate technology for birth. Lancet, 2 , 436-437. 

  29. Xirasagar, S., Lin, H. C., & Liu, T. C. (2006). Do group practices have lower caesarean rates than solo practice obstetric clinics? Health Policy and Planning, 21 (4), 319-325.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보고서와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