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의료기관 가정전문간호사의 직무분석
Job Descriptions of Hospital Based Home Care Nurse Practitioners in Korea by DACUM Technique 원문보기

가정간호학회지, v.18 no.1, 2011년, pp.48 - 57  

황문숙 (우석대학교 간호학과) ,  이승자 (삼성서울병원 특수간호팀) ,  임난영 (한양대학교 간호학과) ,  이미경 (성균관대학교병원 임상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to analyze the task of hospital based home care nurse practitioners in Korea. Method: The definition of home care nurse practitioners and job description was developed based on developing a curriculum(DACUM) by 7 panels who have experienced in home 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가정간호는 병원을 퇴원한 이후에도 계속적으로 요구되는 의료서비스를 환자의 집에서 제공하는 것으로 간호의 전문영역으로 확고한 자리를 잡고 있으며, 만성질환 및 노인인구 증가로 인한 의료비 절감과 제한된 의료자원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한 목적으로 도입되었다.
  • 본 연구는 의료기관 중심 가정전문간호사의 직무를 분석하기 위하여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로, DACUM직무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의료기관 중심 가정전문간호사의 직무를 임무와 작업으로 개발하였다. 개발한 직무 지침서의 내용타당도를 검증받은 후 의료기관 중심 가정전문간호사로 근무하고 있는 154명을 대상으로 직무의 중요도, 빈도, 난이도를 확인하여 가정전문간호사의 수행작업표(데이컴 챠트)를 작성할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 따라서 본 연구는 DACUM기법을 이용하여 의료기관중심 가정전문간호사의 직무를 분석하여 가정전문간호사의 전문성과 정체성을 확인하고, 가정간호가 활성화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의료기관 중심 가정전문간호사의 직무를 분석하기 위하여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로, DACUM직무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의료기관 중심 가정전문간호사의 직무를 임무와 작업으로 개발하였다. 개발한 직무 지침서의 내용타당도를 검증받은 후 의료기관 중심 가정전문간호사로 근무하고 있는 154명을 대상으로 직무의 중요도, 빈도, 난이도를 확인하여 가정전문간호사의 수행작업표(데이컴 챠트)를 작성할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의료기관에 근무하는 가정전문간호사의 직무를 분석하고 개발된 직무의 중요도, 빈도 그리고 난이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직무분석은 특정직군의 실제적 성질을 파악하기 위해 직무의 구성요소를 설정하고 직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는데 필요한 자격요건을 구체화하여 확인하는 과정으로, 실무자가 실제로 수행하는 의무, 과제, 책임 등을 규명하고 구체화하여 나열하는 과정을 말한다(Ignatavicius & Griffith, 1982). 본 연구에서는 가정전문간호사가 실제 근무상황에서 수행하는 임무와 작업 그리고 이에 대한 중요도, 빈도, 난이도를 말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의료기관 중심 가정전문간호사의 직무내용을 분석하므로써, 그 내용의 결과로 직무기술서를 작성하여 가정전문간호사의 직무를 규명하고자 하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정간호란 무엇인가? 가정간호는 병원을 퇴원한 이후에도 계속적으로 요구되는 의료서비스를 환자의 집에서 제공하는 것으로 간호의 전문영역으로 확고한 자리를 잡고 있으며, 만성질환 및 노인인구 증가로 인한 의료비 절감과 제한된 의료자원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한 목적으로 도입되었다.
가정간호 도입의 목적은 무엇인가? 가정간호는 병원을 퇴원한 이후에도 계속적으로 요구되는 의료서비스를 환자의 집에서 제공하는 것으로 간호의 전문영역으로 확고한 자리를 잡고 있으며, 만성질환 및 노인인구 증가로 인한 의료비 절감과 제한된 의료자원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한 목적으로 도입되었다.
본 연구에서 의료기관중심 가정전문간호사의 직무분석에 DACUM기법을 이용한 이유는 무엇인가? 직무분석 방법 중 Developing a Curriculum(DACUM)방법은 그 분야의 직무에 대하여 가장 잘 알고 있는 현장 전문가들이 패널로 참여하여 현장에서 필요한 실무 중심의 직무를 분 석할 수 있어(Byun, Kim, Kim, Ha, & Joen, 2003; Kim, Kim, & Kang, 2008) 현재까지 직무분석 연구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장기이식 전문간호사(Byun et al., 2003), 노인전문간호사(Kim et al, 2008), 외래간호사(Cho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Byun, S. J., Kim, H. K., Kim, A. R., Ha, H. S., & Joen, K. O. (2003). Task analysis of Korean transplantation nurse practitioners. J Korean Acad Nurs, 33(2), 179-188. 

  2. Cho, K. S., Kang, H. S., Kim, J. H., Son, H. M., Han, H. J., Sung, Y. H., Park, J. W., & Song, M. S. (2008). Job Description of the Nurses Working in Outpatient Department by DACUM Technique. J Korean Clin Nurs Res, 14(2), 31-45. 

  3. Hong, J. S., & Lee, G. E. (2004). Scale development of job stress for home care nurses. J Korean Acad Nurs, 34(6), 1097-1107. 

  4. Ignatvicius, D., & Griffith, J. (1982) Job analysis: The basis of effective appraisal. J Nurs Adm, 12(7-8), 37-41. 

  5. Kim, H. S., Kim, S. K., & Kang, J. S. (2008) The study on education course for exercise instructors fo demential by DACUM job analysis. J Korean Geront Soc, 28(2), 357-375. 

  6. Kim, H. Y. (2005) Development of home health care standards. Department of nursing scien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7. Kim, K. S., Park, Y. H., & Lim, N. Y. (2008) Task analysis of the job description of gerontological nurse practitioners based on DACUM. J Korean Acad Nurs, 28(6), 859-865. 

  8. Kim, S. J., Yi, M. S., Eun, Y., Ko, M. H., Kim, J. H., Kim, D. O., Son, H. M., & Choi, K. S. (2006). Role-identity of home care nurse practitioners. J Korean Acad Nurs, 36(1), 103-113. 

  9.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2009, February). Qualification of Nurse Practioners http://www.kabon.or.kr/ kabon04/index03.php 

  10. Lee, J. S. (2005). A study of awareness on the home health care of medical personnel in a university hospital.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11. Marianne B., & Julie R. (2010).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an advanced wound management class: Preparing for OASIS-C. Home Healthc Nurse, 28(3), 154-164. 

  12.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0). Hospital based on Home Health Care Guideline. 

  13. Rhee, S. J., Shin, E. Y., & Jang, S. R. (2001). A study on discharge service needs for discharge planning program development to the elderly at the hospital. J Korean Acad Community Gealth Nurs, 15(2), 376-386. 

  14. Ryu, H. S. (2006). Current status of costs and utilizations of hospital based home health nursing care in Korea. J Korean Acad Nurs, 36(7), 1193-1204. 

  15. Seo, I. Y., & Kim, Y. J. (2003) Improvement of narcotic analgesics management flow. J Korean Soc Hosp Pharm, 20(3), 312-318. 

  16. Song, C. R. (1999). Development of Korean standards of home health nursing practi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17. Suh, M. J., Kim, S. S., Shin, K. R., Kang, H. S., Kim, K. S., Park, H. R., & Kim, H. S. (2000). A study on the lived experiences of homecare nurses. J Korean Acad Nurs, 30(1), 84-97. 

  18. Sung, Y. H., Lim, N. Y., Park, K. O., Jung, J. H., Kwon, I. G., & Hwang, M. S. (2008). Job analysis for role identification of clinical nurses with expanded role-Clinical nurses with education and clinical nurse with coordination-. J Korean Clin Nurs Res, 15(2), 139-155. 

  19. Susan, S., & Patricia, E. R. (2005). Job stress and general well-bing: A comparative study of medical-surgical and home care nurses. Medsurg Nurs, 14(5), 301-30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