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구절초 꽃의 항산화 활성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Antioxidative Activity and Flavonoid Content of Chrysanthemum zawadskii Flowers 원문보기

원예과학기술지 =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v.29 no.1, 2011년, pp.68 - 73  

현미란 (순천향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영상 (순천향대학교 의료생명공학과) ,  박영현 (순천향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차로써 이용이 증대되고 있는 구절초 꽃의 항산화 능력과 이와 관련된 유효한 성분을 탐색하고자 수행되었다. 구절초 꽃을 MeOH로 추출한 수율은 16%였고, MeOH 추출물을 다시 용매별로 분획한 결과 잔류 water > n-hexane > EtOAc > n-BuOH > $CHCl_3$ 분획물 순으로 추출수율을 보였다. 총 polyphenol 함량은 EtOAc분획물이 $195mg{\cdot}g^{-1}$으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MeOH 추출물, $CHCl_3$, 잔류 water, n-BuOH, n-hexane 분획물 순으로 높게 나왔다. Flavonoid 함량 역시 EtOAc 분획물이 $143mg{\cdot}g^{-1}$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n-BuOH, n-hexane, 메탄올, 잔류 water, $CHCl_3$ 분획물 순으로 높았다. 구절초의 전자공여능과 총 항산화력 측정에서는 추출물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활성이 증가하였으며 EtOAc 분획물이 $100{\mu}g{\cdot}mL^{-1}$에서 81.56%, 68.12%의 가장 높은 전자공여능 및 총 항산화력을 나타내었다. 구절초 MeOH 추출물과 EtOAc분획물을 HPLC로 분석한 결과 flavonoid 유효성분으로 quercetin과 luteolin이 확인되었으며 EtOAc 분획물 경우 각각의 함량이 $20.02mg{\cdot}g^{-1}$, $1.65mg{\cdot}g^{-1}$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볼 때, 구절초 꽃의 항산화력은 MeOH 추출물의 EtOAc 분획에 포함된 quercetin에 주로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identify and quantify the major antioxidants present in Chrysanthemum zawadskii var. latilobum (C. zawadskii, hereafter), the flowers of C. zawadskii were cut into pieces, extracted with methanol (MeOH), and fractionated by using n-hexane, chloroform ($CHCl_3$), ethyl acetate (EtOAc),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구절초 꽃차에 관한 효능 연구를 통해 건강기능성에 대한 구체적 근거를 제시하고자 구절초 꽃으로부터 다양한 용매의 분획을 얻고 이들의 항산화력과 flavonoid 함량을 측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구절초는 무엇인가? 구절초(Chrysanthemum zawadskii var. latilobum)는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전초의 생약명은 선모초(仙母草), 구절초(九折草)라 하며, 개화기는 8-10월이며 결실기는 10-11월이다(Kim et al., 2001).
구절초의 개화기는 언제인가? 구절초(Chrysanthemum zawadskii var. latilobum)는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전초의 생약명은 선모초(仙母草), 구절초(九折草)라 하며, 개화기는 8-10월이며 결실기는 10-11월이다(Kim et al., 2001).
구절초의 MeOH 추출물과 그 분획물의 총 polyphenol 함량과 flavonoid 함량 측정 결과, 분획물 1g당 polyphenol 함량이 가장 높은 것은 무엇인가? 2에 나타내었다. 분획물 1g당 polyphenol 함량은 EtOAc 분획물이 195mg・g-1으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MeOH 추출물이 94mg・g-1으로 높았고 나머지 CHCl3, 잔류 water 분획물, n-BuOH, n-hexane 분획물 순으로 높게 나왔다(Fig. 2A).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Afanase'ev, I.B., A.I. Dorozhko, A.V. Brodskii, V.A. Kostyuk, and A.I. Potapovitch. 1989. Chelating and free radical scavenging mechanisms of inhibitory action of rutin and quercetin in lipid peroxidation. Biochem. Pharmacol. 38:1763-1769. 

  2. Azuma, K., M. Nakayama, M. Koshica, K. Lppoushi, Y. Yamaguchi, K. Kohata, Y. Yamaguchi, H. Ito, and H. Higashio. 1999. Phenolic antioxidants from the leaves of Corchorus olitorius L. J. Agric. Food Chem. 47:3963-3966. 

  3.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1199-1200. 

  4. Byun, M.S., B.N. Seo, and K.W. Kim. 2008. Analysis of flower teas for their oriental medicinal efficacy through literature. Flower Res. J. 26:449-453. 

  5. Chio, J.I., Y.J. Kim, J.H. Kim, B.S. Song, Y. Yoon, M.W. Byun, J.H. Kwon, S.S. Chun, and J.W. Lee. 2009.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extract fractions from Suaeda japonica. J. Kor. Soc. Food Sci. Nutr. 38:131-135. 

  6. Cho, K.S., J.K. Suh, and K.P. Bang. 1999a. Development of functional flower tea using Chrysanthemum indicum and Rosa hybrid. I. Physiochemical properties before and after flower tea processing. J. Korean Soc. People Plant Environ. 2(2):1-7. 

  7. Cho, K.S., J.K. Suh, and H.S. Jung. 1999b. Development of functional flower tea using Chrysanthemum indicum and Rosa hybrid. II. Quality characteristics of flower tea. J. Korean Soc. People Plant Environ. 2(2):8-16. 

  8. Cho, K.S., J.K. Suh, K.H. Shin, and J.S. Jung. 2000. Development of flower tea according to the mixture ratio by green tea and flower. J. Kor. Tea Soc. 6:95-108. 

  9. Choi, S.H. 1991. Studies of flavor components of commercial Korean green tea. Kor. J. Food Sci. Technol. 23:98-101. 

  10. Jang, D.S., K.H. Park, H.M. Kim, D.H. Hong, H.K. Chun, Y.H. Kho, and M.S. Yang. 1998. Biological activities of sesquiterpene lactones isolated from several compositae plants. Part 1 cytotocicity against cancer cell lines. Kor. J. Pharmacogn. 29: 243-347. 

  11. Jo, G.S. 2002. Flower tea and aroma tea. J. Korean Soc. People Plant Environ. 5(1):47-58. 

  12. Kim, H. and S.W. Lee. 2007. The effects of quercetin on paraquat-induced cell damage. J. Kor. Soc. Emerg. Med. 18:41-47. 

  13. Kim, I.W., D.H. Shin, and U. Choi. 1999. Isolation of antioxidative components from the bark of Rhus verniciflua STOKES screened from some chinese medical plants. Kor. J. Food Sci. Technol. 31:885-863. 

  14. Kim, J.H. and D.K. Ahn. 1989. A study on the effect of Chrysathemum siviricum Fischer. Kor. J. Herbology 4:15-21. 

  15. Kim, Y.Y., S.Y. Lee, and D.S. Yim. 2001. Biological activities of linarin Chrysanthemum zawadskii var. latilobum. Yakhak Hoeji 45:604-610. 

  16.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04. Health Supplement Food Code. Seoul, Korea. 

  17. Kwon, H.S., T.J. Ha, S.W. Hwang, Y.M. Jin, S.H. Nam, K.H. Park, and M.S. Yang. 2006. Cytotoxic flavonoids from the whole plants of Chrysanthemum zawadskii Herbich var. latilobum Kitamura. J. Life Sci. 16:746-749. 

  18. Lim, A.K., J.O. Kim, M.J. Jung, H.K. Jung, J.H. Hong, and D.I. Kim. 2008. Functional biological activity of hot water and ethanol extracts from Taraxaci herba. J. Kor. Soc. Food Sci. Nutr. 37:1231-1237. 

  19. Matrez-Vazquez, M., T.O. Ramiz, H. Aguilar, and R. Bye. 1996. Analggesic and antipyretic activities of an aqueous extract and of the flavone linarin of Buddleia cordata. Planta Med. 62: 137. (Abstr.) 

  20. Miller, N.J., C. Rice-Evans, M.J. Davies, V. Gopinathan, and A. Milner. 1993. A novel method for measuring antioxidant capacity and its application to monitoring the antioxidant status in premature neonates. Clinical Sci. 84:407-412. 

  21. Park, S.J., W.J. Park, B.C. Lee, S.D. Kim, and M.H. Kang. 2006. Antioxidative activity of different species Lycium chinensis Miller extracts by harvest time. J. Kor. Soc. Food Sci. Nutr. 35:1146-1150. 

  22. Park, Y.J., H.J. Kim, J.Y. Cho, W.Y. Hou, and B.G. Heo. 2006. Analysis of chemical components in 10 kinds of edible flowers. Flower Res. J. 14:211-217. 

  23. Park, Y.J., J.B. Park, J.H. Jeong, Y.K. Yoo, J.Y. Cho, H.G. Jang, and B.G. Heo. 2005. Analysis of tea associated patent informations for the developing of flower tea. J. Kor, Flower Res. Soc. 13:313-320. 

  24. Singleton, V.L. and J.A. Rossi. 1965. Colorimetry of total phenolics with phosphomolybdic-phosphotungstic acid reagents. Am. J. Enol. Viticult. 16:144-158. 

  25. Wang, M.F., Y. Shao, J.G. Li, N.Q. Zhu, M. Rngarajan, E.J. Lavoie, and C.T. Ho. 1998. Antioxidative phenolic compounds from sage (Salivia officinalis). J. Agric. Food Chem. 46:4869-487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